연봉 6000만원·키 179cm…"남편감으로 이 정도는 돼야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30이 꼽은 배우자상
최선호 직업 '일반 사무직'
외모보다 성격·가치관 고려
최선호 직업 '일반 사무직'
외모보다 성격·가치관 고려

6일 결혼정보회사 듀오는 지난 9월부터 10월까지 전국 25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남녀 각 500명씩 총 1000명을 대상으로 결혼 인식을 조사·연구해 '2023년 이상적 배우자상'을 발표했다.
이상적인 아내는 △신장 164.2cm △연 소득 4377만원 △자산 2억1692만원 △2.3세 연하 △4년제 대졸 △일반 사무직 여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적 배우자의 평균 연 소득을 월급 실수령액으로 환산하면 남성은 월 426만원, 여성은 월 319만원가량을 버는 셈이다. 이상적 배우자의 연 소득을 구간으로 살펴보면 남성은 아내가 '3000만원 이상~4000만원 미만'(29.4%)으로 벌길 바랐고, 여성은 '7000만원 이상'(22.6%) 버는 남편을 선호했다.
남성이 선호하는 아내의 직업은 '일반 사무직'(47.2%), '공무원·공사'(39.0%), '의사·약사'(22.0%), '교사'(17.8%), '간호사·의료 관련직'(17.8%) 순이었다.
배우자 자산 규모를 구간대로 물어본 질문에선 '중요하지 않다'(남 36.0%, 여 30.8%)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남녀 모두 상대를 평가하는 중요 요소로는 성격과 가치관을 1, 2순위로 고려하겠다고 답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