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中 신용 강등, 美 고용 둔화…2024년 경제 운용도 만만찮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과 중국에서 주목할 만한 경제뉴스가 동시에 들어왔다. 중국의 경우 재정 건전성에 문제를 제기한 무디스의 신용 강등 가능성이 예사롭지 않다. 아직 신용등급을 바꾼 것은 아니지만 전망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아졌다. 부채가 많은 지방정부와 국영기업에 대한 중앙정부 지원 부담이 커진다는 게 이유다. 과도한 부동산 개발·투자로 인한 지방정부의 부실은 중국의 해묵은 아킬레스건이다. 무디스 전망으로 이 약점이 재부각되면서 중국 재정과 금융의 취약성이 또 거론되고 있다.
미국의 고용시장이 급랭 조짐을 보인다는 소식에도 함의점이 적지 않다. 미국 노동부의 10월 통계를 보면 구인 건수가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다. 좋은 일자리의 증감을 보여주는 이직률도 1년6개월 만에 떨어져 경기 둔화 속도가 빨라진다는 해석이 이어진다. 그간 넘치는 일자리와 구인난이 고임금을 재촉했고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가속화하는 ‘임금-물가 맞물리기 상승(스파이럴)’이 끝났다는 평가도 나온다. 미국 금리 인상의 주된 근거였던 고물가는 꺾이는 모습이지만 경기가 둔화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내년도 세계 경제 성장률을 2.7%로 예측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이 지난주에 나왔지만 파장이 큰 변수가 속속 나타나고 있다. 중국 재정난도, 미국 경기의 빠른 냉각도 한국으로서는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내수 진작이 여의치 않은 판에 수출 확대 전망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터여서 더욱 그렇다. 인공지능(AI) 혁명의 가속화로 반도체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지만 최근 AI·AGI(범용 인공지능)에 대한 국제적 회의론과 규제 주장을 보면 낙관론에만 빠질 수가 없다.
내년에는 4월 총선도 있어 ‘선거 리스크’까지 겹친다. 대부분 국내외 전망이 올해보다는 나을 것이라고는 하지만 낙관불허다. 최상목 경제팀 어깨가 더 무거워진다. “구조개혁으로 경제 역동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겠다”는 그의 지명 일성에 모든 게 함축돼 있다. 시장을 어떻게 다뤄 나갈지, 기업과는 어떻게 소통·협력할지에 2024년 경제 향배가 달려 있다.
미국의 고용시장이 급랭 조짐을 보인다는 소식에도 함의점이 적지 않다. 미국 노동부의 10월 통계를 보면 구인 건수가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다. 좋은 일자리의 증감을 보여주는 이직률도 1년6개월 만에 떨어져 경기 둔화 속도가 빨라진다는 해석이 이어진다. 그간 넘치는 일자리와 구인난이 고임금을 재촉했고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가속화하는 ‘임금-물가 맞물리기 상승(스파이럴)’이 끝났다는 평가도 나온다. 미국 금리 인상의 주된 근거였던 고물가는 꺾이는 모습이지만 경기가 둔화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내년도 세계 경제 성장률을 2.7%로 예측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이 지난주에 나왔지만 파장이 큰 변수가 속속 나타나고 있다. 중국 재정난도, 미국 경기의 빠른 냉각도 한국으로서는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내수 진작이 여의치 않은 판에 수출 확대 전망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터여서 더욱 그렇다. 인공지능(AI) 혁명의 가속화로 반도체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지만 최근 AI·AGI(범용 인공지능)에 대한 국제적 회의론과 규제 주장을 보면 낙관론에만 빠질 수가 없다.
내년에는 4월 총선도 있어 ‘선거 리스크’까지 겹친다. 대부분 국내외 전망이 올해보다는 나을 것이라고는 하지만 낙관불허다. 최상목 경제팀 어깨가 더 무거워진다. “구조개혁으로 경제 역동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겠다”는 그의 지명 일성에 모든 게 함축돼 있다. 시장을 어떻게 다뤄 나갈지, 기업과는 어떻게 소통·협력할지에 2024년 경제 향배가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