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은 한달만에 하락세 전환…외신 "연말특수·기저효과 등 원인" 신중론
中 11월 수출, 7개월만에 증가세 전환…제조업경기 되살아나나(종합)
중국의 11월 수출이 지난 4월 이후 7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수입은 한 달 만에 증가세가 멈췄지만, 수출이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중국이 경제의 반등 모멘텀을 되살려갈지 주목된다.

7일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에 따르면 11월 수출액(달러 기준)은 2천919억3천만 달러(약 386조원)로 전년 동기 대비 0.5% 늘어났다.

중국의 전년 동기 대비 수출 증가율은 4월 8.5%를 기록한 이후 줄곧 감소세를 유지해 오다 11월 들어 7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중국의 11월 수출실적은 시장 전망치보다도 상당히 높았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경제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1월 수출이 1.1%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이날 발표된 통계는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중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한 직후 처음 나온 중국 당국의 월별 공식 통계여서 주목된다.

중국의 수출이 반등한 것은 세계적 수요 위축 속에도 불구하고 유동성 공급을 비롯한 당국의 경기부양책 등으로 제조업 경기가 되살아나고 있기 때문이란 관측이 나온다.

그럼에도 중국의 11월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는 10월에 이어 두 달째 기준치 50 미만(49.4)으로 떨어지며 경기 수축 국면이 계속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중국 경제의 회복세가 계속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다.

내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수입은 2천235억4천만 달러(약 296조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0.6% 하락했다.

11월 수입 증가율은 전달(3.0%)과 전망치(3.3%)를 모두 밑돌았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계속해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던 중국의 수입은 지난 10월 1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한 달 만에 다시 하락세로 전환됐다.

국가별로 보면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가장 감소 폭이 큰 20.1%로 나타났다.

대만으로부터의 수입도 16.1% 줄어 감소 폭이 컸다.

이로써 11월 무역흑자는 684억 달러(약 90조5천억원)로 10월(565억3천만 달러)에 비해 증가했다.

1월부터 11월까지 11개월간 수출은 전년 동기에 비해 5.2% 줄어들었고 수입도 6.0% 감소했다.

중국의 무역통계는 위안화를 기준으로 보면 더 나은 실적을 기록했다.

위안화 기준 11월 수출은 전년 동기에 비해 1.7% 증가했고 수입 역시 0.6% 늘어났다.

올해 1∼11월을 기준으로 보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했고 수입은 0.5% 감소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11월 수출입 실적과 관련, "외국의 크리스마스와 연휴 시즌을 앞두고 수요가 급증하기 때문에 수출은 일반적으로 연말에 더 강세를 보이는 데다 작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기저효과 등이 요인일 수 있다"고 분석하면서 중국 경제는 부동산 위기와 국내수요 위축 등 도전과제가 여전히 많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