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악몽 떠올린 농가…비료대란 일어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인산암모늄도 통제
韓 넉달치 물량 확보했다지만
2021년에도 비료값 3배 급등
농번기까지 지속땐 피해 심각
韓 넉달치 물량 확보했다지만
2021년에도 비료값 3배 급등
농번기까지 지속땐 피해 심각
중국 정부가 요소에 이어 인산암모늄의 수출 제한에 나서면서 국내 농가의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인산암모늄은 소화기 분말과 화학비료의 주원료로, 수입 물량의 95%가량이 중국산이다.
7일 기획재정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는 중국의 인산암모늄 수출 제한 조치에 대응해 국내 수급 상황을 긴급 파악 중이다. 조사에 따르면 현재 인산암모늄의 연간 국내 수요량(10만4000t)보다 1만t 많은 11만4000t의 물량을 확보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재고를 감안할 때 내년 1분기까지 인산암모늄 공급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수출 통제가 장기화하면 국내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인산암모늄은 요소, 염화칼륨, 암모니아와 함께 화학비료의 핵심 원재료다. 주로 뿌리 발육을 촉진하기 위한 비료로 활용된다. 한국무역협회와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10월 인산암모늄 수입액은 4075만달러(약 540억원)로, 이 중 95.3%를 중국에서 들여왔다. 문제는 중국산 의존도가 올 들어 더 높아졌다는 점이다. 요소수 파동이 발생한 2021년 81.6%이던 중국산 의존도는 올해 95.3%까지 급등했다. 요소와 마찬가지로 중국산 인산암모늄의 가격 경쟁력이 월등한 영향이다.
중국은 요소수 대란이 벌어진 2021년에도 인산암모늄 염화칼륨 등 다른 비료 원료의 수출을 제한했다. 당시 한국은 농업용 비료 재고가 급속히 줄면서 비료값이 세 배 이상 치솟는 등 고초를 겪었다. 이듬해 농번기가 오기 전에 중국이 수출 제한 조치를 풀면서 혼란이 진정됐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인산암모늄의 중국 의존도가 90%를 초과하는 일본도 당시 비료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일본 정부는 농가 생산 차질에 따른 식량위기로 이어질 조짐이 보이자 모로코와 요르단을 통해 인산암모늄을 긴급 구매해 급한 불을 껐다.
이번 중국의 인산암모늄 수출 통제 조치도 장기화 여부가 변수다. 내년 초 농번기까지 수출 제한이 풀리지 않으면 비료 부족으로 인한 농가 피해가 현실화할 수 있다. 가격 폭등을 예상해 일부 농가가 사재기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정부는 모로코 베트남 등 대체 수입처의 인산암모늄 수입을 확대하고, 남해화학 등 국내 기업의 수출용 비료를 국내에서 소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남해화학의 인산 생산능력은 연 34만t에 달해 국내 수요를 감당하는 데 무리가 없을 전망이다. 이 경우 농가 생산비용 증가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우려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수출 통제가 본격화하면 다른 국가로 수입처를 다변화할 계획”이라며 “상황이 심각해지면 수출하는 국내 생산 물량을 국내 수요로 돌리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강경민/신정은 기자 lizi@hankyung.com
7일 기획재정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는 중국의 인산암모늄 수출 제한 조치에 대응해 국내 수급 상황을 긴급 파악 중이다. 조사에 따르면 현재 인산암모늄의 연간 국내 수요량(10만4000t)보다 1만t 많은 11만4000t의 물량을 확보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재고를 감안할 때 내년 1분기까지 인산암모늄 공급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수출 통제가 장기화하면 국내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인산암모늄은 요소, 염화칼륨, 암모니아와 함께 화학비료의 핵심 원재료다. 주로 뿌리 발육을 촉진하기 위한 비료로 활용된다. 한국무역협회와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10월 인산암모늄 수입액은 4075만달러(약 540억원)로, 이 중 95.3%를 중국에서 들여왔다. 문제는 중국산 의존도가 올 들어 더 높아졌다는 점이다. 요소수 파동이 발생한 2021년 81.6%이던 중국산 의존도는 올해 95.3%까지 급등했다. 요소와 마찬가지로 중국산 인산암모늄의 가격 경쟁력이 월등한 영향이다.
중국은 요소수 대란이 벌어진 2021년에도 인산암모늄 염화칼륨 등 다른 비료 원료의 수출을 제한했다. 당시 한국은 농업용 비료 재고가 급속히 줄면서 비료값이 세 배 이상 치솟는 등 고초를 겪었다. 이듬해 농번기가 오기 전에 중국이 수출 제한 조치를 풀면서 혼란이 진정됐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인산암모늄의 중국 의존도가 90%를 초과하는 일본도 당시 비료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일본 정부는 농가 생산 차질에 따른 식량위기로 이어질 조짐이 보이자 모로코와 요르단을 통해 인산암모늄을 긴급 구매해 급한 불을 껐다.
이번 중국의 인산암모늄 수출 통제 조치도 장기화 여부가 변수다. 내년 초 농번기까지 수출 제한이 풀리지 않으면 비료 부족으로 인한 농가 피해가 현실화할 수 있다. 가격 폭등을 예상해 일부 농가가 사재기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정부는 모로코 베트남 등 대체 수입처의 인산암모늄 수입을 확대하고, 남해화학 등 국내 기업의 수출용 비료를 국내에서 소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남해화학의 인산 생산능력은 연 34만t에 달해 국내 수요를 감당하는 데 무리가 없을 전망이다. 이 경우 농가 생산비용 증가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우려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수출 통제가 본격화하면 다른 국가로 수입처를 다변화할 계획”이라며 “상황이 심각해지면 수출하는 국내 생산 물량을 국내 수요로 돌리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강경민/신정은 기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