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6개월만에 최저치 '뚝'…中 수입 감소 영향 [오늘의 유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가, 중국 원유 수입 감소에 소폭 하락
美 산유량 늘려…OPEC+감산 발표후 약세 지속
국제 유가는 중국의 원유 수입이 감소했다는 소식에 6거래일째 약세를 이어갔다.
7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4센트(0.06%) 하락한 배럴당 69.3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같은날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선물도 전 거래일 종가 대비 25센트(0.33%) 내린 배럴당 74.05달러로 마감했다
유가는 6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WTI와 브렌트유 모두 6월 말 이후 6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WTI 기준 6일간 하락률은 10.94%에 달한다. 유가가 6거래일 동안 하락한 건 올해 2월 22일 이후 처음이다. 다만 유가 약세가 장기간 이어지며 이날 하락 폭은 크지 않았다. 유가는 원유 공급 과잉 우려에 하락했다. 미국의 원유 생산량은 늘어나고 있는데 중국의 수요는 둔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에 따르면 달러화 기준으로 중국 11월 수출액은 전년 대비 0.5% 늘어났다. 하지만 11월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6% 감소했다. 수입(10월)은 1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한 달 만에 다시 하락세로 전환된 것이다.
수출 개선은 중국의 제조업 부문에 호조지만, 수입이 감소한 건 내수가 아직 부진하다는 신호다. 중국의 원유 수입 역시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11월 중국의 원유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9% 감소했다. 경제지표 악화 속에 소형 정유사들의 주문이 둔화해 수요가 줄었다는 분석이다. 반면 미국의 산유량은 늘고 있다. 전날 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원유 생산량은 하루 1300만 배럴 이상으로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다. 휘발유 재고는 지난주 540만 배럴 증가해 예상했던 증가분 100만배럴의 5배를 넘어섰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가 내년 1분기까지 원유 생산량을 하루 약 90만 배럴 추가 감산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이후 유가는 약 10% 하락했다. 추가 감산 규모가 예상보다 작고, 강제력이 없는 ‘자발적 감산’이라는 점에서 실제로 이행할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프라이스퓨처스그룹의 필 플린 애널리스트는 "시장은 OPEC+가 감산을 이행할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
美 산유량 늘려…OPEC+감산 발표후 약세 지속
국제 유가는 중국의 원유 수입이 감소했다는 소식에 6거래일째 약세를 이어갔다.
7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4센트(0.06%) 하락한 배럴당 69.3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같은날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선물도 전 거래일 종가 대비 25센트(0.33%) 내린 배럴당 74.05달러로 마감했다
유가는 6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WTI와 브렌트유 모두 6월 말 이후 6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WTI 기준 6일간 하락률은 10.94%에 달한다. 유가가 6거래일 동안 하락한 건 올해 2월 22일 이후 처음이다. 다만 유가 약세가 장기간 이어지며 이날 하락 폭은 크지 않았다. 유가는 원유 공급 과잉 우려에 하락했다. 미국의 원유 생산량은 늘어나고 있는데 중국의 수요는 둔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에 따르면 달러화 기준으로 중국 11월 수출액은 전년 대비 0.5% 늘어났다. 하지만 11월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6% 감소했다. 수입(10월)은 1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한 달 만에 다시 하락세로 전환된 것이다.
수출 개선은 중국의 제조업 부문에 호조지만, 수입이 감소한 건 내수가 아직 부진하다는 신호다. 중국의 원유 수입 역시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11월 중국의 원유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9% 감소했다. 경제지표 악화 속에 소형 정유사들의 주문이 둔화해 수요가 줄었다는 분석이다. 반면 미국의 산유량은 늘고 있다. 전날 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원유 생산량은 하루 1300만 배럴 이상으로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다. 휘발유 재고는 지난주 540만 배럴 증가해 예상했던 증가분 100만배럴의 5배를 넘어섰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가 내년 1분기까지 원유 생산량을 하루 약 90만 배럴 추가 감산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이후 유가는 약 10% 하락했다. 추가 감산 규모가 예상보다 작고, 강제력이 없는 ‘자발적 감산’이라는 점에서 실제로 이행할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프라이스퓨처스그룹의 필 플린 애널리스트는 "시장은 OPEC+가 감산을 이행할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