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유가가 7거래일 만에 상승세로 마감했다.

전날까지 6거래일 연속 하락한 만큼 낙폭 과대라는 인식 속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풀이된다.

*그림*
[뉴욕유가] 7거래일 만에 상승…하락세는 7주째 지속
8일(현지시각)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배럴당 1.89달러(2.73%) 오른 71.23달러에 장을 마쳤다.

7거래일 만에 상승했으나 유가는 이번 주에만 4% 가까이 하락하며 여전히 비관론이 우세했다.

이번 주까지 WTI는 7주 연속 하락했고 이 기간 낙폭은 20%에 이른다.

WTI 가격이 7주 연속 하락했던 경우 지난 2018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이날 유가는 미국 경기의 연착륙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수요 불안이 완화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 11월 비농업 고용이 19만9천명을 기록하며 월가 예상치를 상회하자 미국 경기가 여전히 견고하며 내년 연착륙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었다.

고용이 증가하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조기에 내릴 것이라는 기대감은 꺾였지만 경기 흐름에 대한 낙관론은 다소 회복된 셈이다.

국제 유가는 주요 산유국의 감산이 불확실한 점과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로 가격 압박을 받아왔다.

미국 경기가 예상보다 견고한 만큼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도 약해진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 정부가 전략비축유 규모를 다시 늘리겠다고 발표한 것도 유가 상승을 도왔다.

미국 정부는 최소 내년 5월까지 전략비축유를 최대 300만배럴 매입할 계획이 있다고 발표했다.

다만 11월 미국 고용 호조가 국제 유가의 하락세라는 큰 흐름을 뒤집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주요 산유국의 감산이 의무적이지 않다는 점에 시장 참가자들의 실망감은 상당하다.

오안다의 크렉 엘럼 선임 시장 분석가는 "유가의 전반적인 하락세는 시장 참가자들이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의 자발적 감산에 얼마나 실망했는지 여실히 보여준다"며 "투자자들은 특히 내년 글로벌 경제에 대해서도 낙관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