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 승소' 손해배상 판결 확정…실제 배상은 미지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고법 민사33부(구회근 황성미 허익수 부장판사)는 지난달 23일 이용수 할머니와 고(故) 곽예남·김복동 할머니 유족 등 16명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낸 손배소 항소심에서 1심 판결을 취소하고 원고의 청구 금액을 전부 인정한다고 판결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이러한 판결을 25일 0시부로 공시 송달했고, 상고 기한인 2주 내에 일본이 상고장을 제출하지 않아 판결이 확정됐다. 일본 정부는 전날에도 이번 2심 법원 판단에 상고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은 기자회견에서 "상고할 생각은 없다"면서도 "국제법의 주권면제 원칙상 일본 정부가 한국의 재판권에 복종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일본군 위안부 관련 소송에 대해 주권 국가가 다른 나라 법정에 서지 않는다는 국제관습법상의 '국가면제'(주권면제) 원칙에 따라 무대응으로 일관해 왔다. 2021년에도 위안부 피해자 12명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1차 손해배상 청구 소송도 일본이 항소하지 않아 원고 승소한 1심 판결이 확정됐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