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금지인데 딱 걸렸다…김정은 새로 바꿔탄 3억대 車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북제재 대상 '벤츠 마이바흐'로 교체 정황
한두 달 새 교체…여러 나라 거친 밀수입 가능성
유엔 안보리 대북 사치품 제재 감시망 틈새 지적
한두 달 새 교체…여러 나라 거친 밀수입 가능성
유엔 안보리 대북 사치품 제재 감시망 틈새 지적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대북 제재 대상인 '벤츠 마이바흐'를 전용차로 바꾼 정황이 포착됐다. 이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사치품 제재 감시망에 틈새가 발생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1일 조선중앙TV 등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 3일과 4일, 평양에서 열린 제5차 전국어머니대회 참가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평양체육관 앞에 전용차를 타고 도착했다.
공개된 영상에는 김 국무위원장의 전용차 뒷문 후면에 독일 차 메르세데스 벤츠의 고급 브랜드 마이바흐 마크가 새겨져 있고, 트렁크에 'S650'이라는 글자가 드러난 모습이 담겼다.
해당 차량은 2019년부터 출고된 신형 벤츠 마이바흐 S650 차량으로 파악됐다. 이는 국내에서도 옵션을 추가하지 않은 기본가격이 3억1540만원에 달하는 최고급 외제 차에 해당한다.
앞서 김 국무위원장이 지난 9월 북러 정상회담을 위해 러시아에 방문했을 때도 마이바흐 리무진을 이용해 회담장에 가는 모습이 포착됐다. 당시 차량 후면에는 마이바흐 마크가 없었고, 트렁크에 S650이라는 글자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최근 한두 달 사이에 김 국무위원장의 전용차 교체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는 추측이 나온다.
문제는 이번에 김 국무위원장이 교체한 차량이 사치품으로 분류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수출 금지 대상이라는 점이다. '대북 제재 결의 2094호'에 따르면 고급 승용차 등 사치품의 대북 반입은 금지돼 있고, '대북제재결의 2397호'를 통한 운송 수단의 대북 수출도 금지돼 있다.
하지만 북한은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차량과 옷, 시계, 펜, 가방 등 사치품을 꾸준히 들여온 것으로 전해진다. 2019년 미국 비영리 연구단체인 선진국방연구센터 추적 결과에 따르면, 김정은의 방탄 전용차로 보이는 메르세데스-마이바흐 2대는 2018년 6∼10월 4개월 동안 5개국을 거쳐 평양에 도착한 것으로 추정된 바 있다.
이에 이번 전용차 역시 여러 나라를 거쳐 북한에 밀수입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
11일 조선중앙TV 등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 3일과 4일, 평양에서 열린 제5차 전국어머니대회 참가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평양체육관 앞에 전용차를 타고 도착했다.
공개된 영상에는 김 국무위원장의 전용차 뒷문 후면에 독일 차 메르세데스 벤츠의 고급 브랜드 마이바흐 마크가 새겨져 있고, 트렁크에 'S650'이라는 글자가 드러난 모습이 담겼다.
해당 차량은 2019년부터 출고된 신형 벤츠 마이바흐 S650 차량으로 파악됐다. 이는 국내에서도 옵션을 추가하지 않은 기본가격이 3억1540만원에 달하는 최고급 외제 차에 해당한다.
앞서 김 국무위원장이 지난 9월 북러 정상회담을 위해 러시아에 방문했을 때도 마이바흐 리무진을 이용해 회담장에 가는 모습이 포착됐다. 당시 차량 후면에는 마이바흐 마크가 없었고, 트렁크에 S650이라는 글자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최근 한두 달 사이에 김 국무위원장의 전용차 교체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는 추측이 나온다.
문제는 이번에 김 국무위원장이 교체한 차량이 사치품으로 분류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수출 금지 대상이라는 점이다. '대북 제재 결의 2094호'에 따르면 고급 승용차 등 사치품의 대북 반입은 금지돼 있고, '대북제재결의 2397호'를 통한 운송 수단의 대북 수출도 금지돼 있다.
하지만 북한은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차량과 옷, 시계, 펜, 가방 등 사치품을 꾸준히 들여온 것으로 전해진다. 2019년 미국 비영리 연구단체인 선진국방연구센터 추적 결과에 따르면, 김정은의 방탄 전용차로 보이는 메르세데스-마이바흐 2대는 2018년 6∼10월 4개월 동안 5개국을 거쳐 평양에 도착한 것으로 추정된 바 있다.
이에 이번 전용차 역시 여러 나라를 거쳐 북한에 밀수입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