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조6400억에 사겠다"…美 최대 백화점, 기업 사냥꾼에 먹히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e커머스에 뒤처진 美 최대 백화점 메이시스

10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부동산 전문 투자회사인 아크하우스 매니지먼트와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브리게이드 캐피털 매니지먼트가 메이시스 주식을 주당 21달러에 인수하겠다는 제안서를 메이시스 측에 보냈다고 보도했다. 총 58억달러 규모다.
아크하우스는 사무실과 아파트 등 부동산 투자에 집중하는 회사다. 브리게이드 캐피털 매니지먼트는 소매업에 주력하는 투자사로 미 백화점 기업인 JC페니, 니만 마커스 등에 투자했다.

미 최대 백화점 법인인 메이시스는 백화점 매장 약 500개에 고급 백화점 체인인 블루밍데일즈 매장 32개, 블루밍데일즈 아울렛 매장 21개 등을 보유한 거대 유통 체인이다. 뷰티 전문 매장인 블루머큐리 매장도 158개 운영하고 있다. 매년 추수감사절에 뉴욕에서 진행하는 메이시스의 퍼레이드는 1924년부터 100년간 진행된 연례 행사로 미국인이 가장 기다리는 이벤트로 손꼽힌다.
미 백화점 산업은 2020년 팬데믹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JC페니, 니만 마커스 등 대형 기업들의 줄파산을 겪었다. 각종 브랜드들을 매장에 입점시키는 한국과 달리 직매입 중심의 미 백화점들은 셧다운으로 인한 재고 부담을 버텨내지 못했다. 팬데믹 이후에는 e커머스의 급성장과 전문점 중심의 소비 패턴 변화 등으로 뒤처졌다.
메이시스 매출도 지난해 244억달러로 2014년 280억달러, 2021년 245억달러에 비해 감소했다. 3분기 동일 점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 줄었다. 이에 실적이 저조한 매장 구조조정 및 자체 브랜드 출시, 공급망 개선 등 자체적인 수익성 개선 노력을 해왔다.
유통 투자자문사 트라이앵글 캐피탈의 공동창립자 리차드 케스텐바움은 “백화점 사업이 장기적으로 하락 추세인데 상장기업을 인수하는 상황에서는 회사 비즈니스나 구조의 급진적인 변화를 고려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부동산 등 숨겨진 자산을 찾아서 매각하면 투자자는 즉각 수익을 낼 수 있고, 이후 회사를 큰 이익을 남기고 매각할 수 있다”고 포브스에 기고했다. 가치있는 부동산을 소유한 대형 소매업체가 투자사에 인수될 경우, 투자사들이 부동산 사업에 집중하는 동안 본업인 유통업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경영진은 초기 제안에 저항할 가능성이 높지만 투자자들이 제안가를 향후 높일 수 있다”며 “투자자들이 인수에 성공하면 메이시스는 우리가 기억하는 유통업체로 남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