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도시 서울' 만든다더니…정작 내년 녹지예산은 삭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하철역·고가차도 주변
정원조성 관련 예산은 0원
전체 규모도 반토막 수준
정원조성 관련 예산은 0원
전체 규모도 반토막 수준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해 온 ‘정원도시 서울’ 구상에 빨간불이 켜졌다. 관련 예산이 잇달아 삭감되면서 목표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2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정원도시 서울 관련 총예산 규모는 올해 924억원에서 내년 440억원으로 반토막이 났다. 정원도시 서울은 오 시장이 지난 5월 발표한 프로젝트다. 흩어져 있는 공원·숲길·녹지를 초록길로 촘촘하게 연결해 5분 거리 안에서 시민이 자연을 즐길 수 있는 도심을 만드는 35개 프로젝트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 서울시가 서울시의회에 제출한 내년 예산안에서 정원도시 예산은 후순위로 밀렸다. 그중 하나가 실내정원 ‘아래숲길’ 프로젝트다. 용산구는 시에서 1억7000만원가량을 받아 6호선 녹사평역 등에 아래숲길 조성 사업을 했다. 시는 다른 자치구에도 예산을 교부해 실내 정원 세 곳을 추가로 만들기로 했는데 관련 예산이 0원으로 전액 삭감돼 추경에 포함될지 여부를 기다려야 하는 처지다.
어두운 이미지의 고가차도 아래를 편안한 녹지공간으로 바꾸는 ‘그린아트길’ 사업도 이번 본예산에 포함되지 않았다. 시는 2026년까지 최소 11개소를 조성하기로 했는데, 마무리된 건 용산 반포대교 북단 한 곳이다.
박수빈 시의원(더불어민주당·강북4)이 2024년 본예산을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아래숲길, 그린아트길 외에 생활밀착형 공원 조성 사업(99억원)이 전년 대비 120억원 감액 편성됐다. 하천생태 복원 및 녹화 사업(20억원),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및 관리(10억원)도 올해와 비교해 107억원과 13억원씩 깎였다. 그레이트한강 프로젝트와 관련된 리버버스 등 수상교통 선착장 조성(204억원)과 서울항 조성(247억7100만원)에 상당한 금액이 배정된 것과 대조적이라고 박 의원은 지적했다.
다만 서울시는 “정원도시 서울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라 돈을 주고 부지를 사는 방식으로 녹지를 조성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뿐”이라는 입장이다. 김상한 기획조정실장 직무대리는 “세입 여건이 녹록지 않은 만큼 우선순위에 따라 예산을 조정할 수밖에 없었다”며 “시의회 예산 심의를 거쳐 총 예산 규모는 조정될 수 있다”고 밝혔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
12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정원도시 서울 관련 총예산 규모는 올해 924억원에서 내년 440억원으로 반토막이 났다. 정원도시 서울은 오 시장이 지난 5월 발표한 프로젝트다. 흩어져 있는 공원·숲길·녹지를 초록길로 촘촘하게 연결해 5분 거리 안에서 시민이 자연을 즐길 수 있는 도심을 만드는 35개 프로젝트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 서울시가 서울시의회에 제출한 내년 예산안에서 정원도시 예산은 후순위로 밀렸다. 그중 하나가 실내정원 ‘아래숲길’ 프로젝트다. 용산구는 시에서 1억7000만원가량을 받아 6호선 녹사평역 등에 아래숲길 조성 사업을 했다. 시는 다른 자치구에도 예산을 교부해 실내 정원 세 곳을 추가로 만들기로 했는데 관련 예산이 0원으로 전액 삭감돼 추경에 포함될지 여부를 기다려야 하는 처지다.
어두운 이미지의 고가차도 아래를 편안한 녹지공간으로 바꾸는 ‘그린아트길’ 사업도 이번 본예산에 포함되지 않았다. 시는 2026년까지 최소 11개소를 조성하기로 했는데, 마무리된 건 용산 반포대교 북단 한 곳이다.
박수빈 시의원(더불어민주당·강북4)이 2024년 본예산을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아래숲길, 그린아트길 외에 생활밀착형 공원 조성 사업(99억원)이 전년 대비 120억원 감액 편성됐다. 하천생태 복원 및 녹화 사업(20억원),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및 관리(10억원)도 올해와 비교해 107억원과 13억원씩 깎였다. 그레이트한강 프로젝트와 관련된 리버버스 등 수상교통 선착장 조성(204억원)과 서울항 조성(247억7100만원)에 상당한 금액이 배정된 것과 대조적이라고 박 의원은 지적했다.
다만 서울시는 “정원도시 서울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라 돈을 주고 부지를 사는 방식으로 녹지를 조성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뿐”이라는 입장이다. 김상한 기획조정실장 직무대리는 “세입 여건이 녹록지 않은 만큼 우선순위에 따라 예산을 조정할 수밖에 없었다”며 “시의회 예산 심의를 거쳐 총 예산 규모는 조정될 수 있다”고 밝혔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