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번역가 황석희가 최근 출간한 에세이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솔 기자
영화 번역가 황석희가 최근 출간한 에세이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솔 기자
2015년 4월 1일. 풋내기 영화 번역가 황석희는 자신의 SNS에 짧은 만우절 거짓말을 올렸다. “마블 영화를 내가 작업하게 됐다. 계약 꾹.”

밥벌이로 외화드라마 시리즈 ‘뉴스룸’ 등 영상 번역을 한 지 8년, 영화 번역계에 진입한 지는 고작 2년쯤 됐을 때였다. 스스로 생각해도 어처구니없던 소원은 1년도 안 돼 현실이 됐다. 그에게 영화 ‘데드풀’ 번역 의뢰가 들어온 것이다.

이 이야기의 결말은 해피엔딩이다. 데드풀은 ‘구강액션’이란 말이 나올 만큼 주인공이 욕설과 유행어를 넘나드는 화려한 대사를 구사한다. 황 번역가는 ‘말맛’을 살려낸 번역으로 호평받았다. 영화는 청소년관람불가인데도 국내에서 330만 명이 넘는 관객을 끌어모았다. 2년 뒤 국내 개봉한 ‘데드풀2’도 황 번역가가 맡았다. 데드풀이 영어 욕설과 함께 “pumpkin”(호박)을 내뱉으면 “씨(호)박아!”라는 한국어 자막이 떴고 관객들의 웃음소리가 터져 나왔다.

데드풀 성공 이후 황 번역가는 ‘믿고 보는 번역가’로 불리며 ‘스파이더맨’ ‘아바타’ 등 대작 번역을 연이어 맡았다. “‘번역의 신’이 참여한 영화”라며 영화사가 마케팅에 동원할 정도다. 그는 영화를 넘어 연극, 뮤지컬, 그림책도 맡는 ‘잡식성 번역가’로 활약하고 있다.

18년 차 번역가이자 최근 에세이집 <번역: 황석희>를 출간한 그를 최근 경기 고양시에 있는 한 카페에서 만났다. 그는 “제 번역을 좋아해주시는 건 감사한 일이지만 아무래도 제가 거품 같아 책 출간을 오래 망설였다”고 했다. “데드풀 이후 출간 제의가 올 때마다 ‘사람이 마흔 살은 넘어야 책을 쓰죠’라며 다 거절했어요. 어느새 그 나이가 돼 버려서 더 이상 거절할 말이 없더라고요.(웃음)”

데드풀과 더불어 황 번역가를 유명하게 한 또 한 가지 키워드는 ‘사과’다. 영화 개봉 후에도 오역 지적이 합당하다고 생각하면 바로 인정하고 공개 사과한다. 영화사 등을 설득해 DVD 자막을 수정한다. 그는 ‘흔치 않게 오역을 인정하고 수정하는 우직한 번역가’로 통한다. 황 번역가는 “그보다는 문제를 빠르게 수습하려는 약삭빠른 태도에 가깝다”고 손사래 쳤다. “모든 번역가는 늘 최선의 표현을 고민해요. 그래도 아직까지 100% 만족한 대사가 없어요. 작업한 영화를 100번 보면 100번 전부 더 나은 표현이 떠올라요. 저도 한때는 지적을 들으면 오기를 부리고 싸우기도 했어요. 이제는 사태를 수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자진 납세라는 걸 알아요.”

그는 첫 영화만큼이나 처음으로 오역을 수정한 영화가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영화 ‘아메리칸 셰프’의 대사 중 ‘sweetbread’(소의 흉선을 일컫는 요리 용어)를 ‘꿀빵’으로 번역한 것. 황 번역가는 “전문 셰프들에게 몇 달간 자문한 작품이었는데 뒤늦게 실수를 알게 되니 허탈했다”며 “끙끙대다가 영화 커뮤니티에 사과 글을 올리고 영화사에 수정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런 경험이 있기에 ‘인공지능(AI)이 번역가를 대체할 것’이라는 흉흉한 예언엔 그다지 위협을 느끼지 않는다고 했다. 황 번역가는 “번역은 단순히 언어를 옮기는 게 아니라 해석하는 일”이라며 “이미 번역가들은 AI를 활용해 더 나은 번역을 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자신이 번역한 영화 ‘크리에이터’ 속 한 장면을 들려줬다. 이 영화는 ‘AI는 인간의 적’이라고 믿는 세력과 AI에 친화적인 세력 간 미래 전쟁을 다룬다.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은 AI 번역기로 소통하는데, 맥락 없이 직역해 번역의 질이 형편없다. “언어를 해석하고 옮긴다는 건 그토록 복잡 미묘한 작업이에요.”

‘좋은 번역가가 되는 법은 뭔가요’란 질문을 받을 때마다 “반드시 자신의 글을 써보라”고 그가 답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황 번역가는 “번역하려면 외국어는 당연히 잘해야 한다”며 “결국 번역가는 영화든 책이든 원본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정교하게 표현할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터뷰를 마치며 그에게 내년 만우절에는 SNS에 어떤 거짓말을 적고 싶은지 물었다. 그는 잠시 생각에 잠기더니 “먼 훗날 손가락 관절염에 걸려 은퇴하는 날, ‘꾸준히, 계속 영화 번역 일을 해왔다’고 말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번역은 내가 할 수 있는 일 중 성취감이 가장 큰 일, 내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이에요. 저는 앞으로도 번역가로 살 거고, 계속 글을 쓸 것 같아요.”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