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정운오 IT교양관
고려대 정운오 IT교양관
작년 말 서울 마포구 홍익대의 건축 용적률은 199.7%였다. 저밀(低密) 용도지역인 대학에 적용되는 기준인 ‘200%’가 꽉 차 캠퍼스 신축은 물론 기존 건물 증·개축도 불가능했다. 하지만 지난해 서울시가 대학의 신산업·창의 공간에 대해선 용적률 제한을 풀어주며 뜻밖에 숨통이 트였다.

현재 홍익대는 2030년까지 4400억원을 들여 ‘뉴홍익 서울캠퍼스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 운동장과 체육관의 지상·지하를 계단식으로 재구축한 연면적 13만㎡ 규모 복합캠퍼스를 짓는 프로젝트다. 지난 10월 세계적 건축사무소를 대상으로 공모를 벌였고, 네덜란드 기반 건축사무소 OMA를 설계자로 낙점했다. 이현호 홍익대 건축도시대학 학장은 “규제 완화 덕에 한국을 대표하는 디자인·문화 중심 대학인 홍익대의 미래를 보여주고 주변 지역을 활성화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용적률 완화에 서울 대학 캠퍼스 개조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시가 첨단시설을 확충하는 대학에 용적률과 건물 높이 등 부동산 관련 규제를 대폭 풀어주기로 한 뒤 시내 각 대학이 반도체 클린룸, 연구 실험실, 신산업 강의 공간 등을 잇달아 확충하는 ‘캠퍼스 개조’를 벌이고 있다. 이날 오세훈 서울시장과 홍성태 서울총장포럼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홍익대 잔다리홀에서 열린 ‘대학 공간혁신 사례공유 발표회’에는 시내 여덟 개 대학의 건축 프로젝트가 소개됐다.

지난해 규제 완화의 핵심은 대학 전체 용적률을 최대 1.2배(200%→240%)까지 높이고 자연경관지구로 지정된 곳에선 최고 7층(높이 28m) 규제를 풀어주는 것이다. 신산업 학과와 연구 공간이 들어설 ‘혁신성장구역’ 건물은 전체 용적률 범위 내에서 용적률을 최대 1000%까지 높여 지을 수 있도록 했다.

고려대는 ‘정운오IT교양관’을 증축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었는데 연면적 5600㎡를 추가로 확보했다. 조훈희 고려대 캠퍼스타운조성추진단장은 “늘어난 공간은 반도체공학과 스마트모빌리티 학부 등 새로운 산업을 이끌 계약학과 학생들이 주로 쓰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28m 규제’를 받던 연세대는 당초 7층으로 지으려던 ‘제5공학관’을 지상 12층까지 높인다. 덕분에 반도체 클린룸도 500평(1650㎡)에서 1.5배 넓힐 수 있게 됐다. 고려대와 연세대의 건축 프로젝트는 연내 결정 고시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다.

○서울시, “대학, 도시혁신 거점으로”

이화여대 생활환경관
이화여대 생활환경관
‘랜드마크를 짓겠다’는 대학도 나왔다. 중앙대는 기존 중앙도서관 시계탑 옆에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학과, 반도체학과가 수업받을 205관을 대규모로 증축하기로 결정하고 설계용역에 들어갔다. 중앙대 관계자는 “지상 14층으로 지어질 다목적홀 최상층은 지역주민 문화 교육용으로 사용하면서 한강도 조망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화여대도 캠퍼스 중심부에 1972년 조성된 생활환경관(연면적 2만4000㎡)을 연면적을 세 배 키워(6만㎡) 신과학관으로 만든다. “인공지능대학 학생들이 공부하고 다양한 창업이 이뤄지는 이대의 미래를 상징하는 건물이 될 것”(송승영 이화여대 건축본부장)이라는 설명이다.

서울시는 오 시장이 추진 중인 ‘디자인 서울 2.0’ 프로젝트를 위해서라도 대학 공간의 외형과 체질 개선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선진국처럼 도심 내 캠퍼스를 개방하도록 유도하고 부설주차장 설치 기준 완화 등 추가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오 시장은 “대학 혁신이 도시 혁신”이라며 “지역과 소통하는 캠퍼스, 담장 없이 주민과 함께하는 캠퍼스가 서울의 미래를 이끌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김대훈/이상은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