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실징후기업 46곳 늘어난 231곳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채권은행 정기 신용위험평가
수익성 악화에 고금리까지 겹쳐
부동산기업 최다…대기업도 9곳
수익성 악화에 고금리까지 겹쳐
부동산기업 최다…대기업도 9곳
올 들어 경기 냉각에 고금리까지 겹치며 부실 징후를 보이는 기업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들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한 결과 231곳을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작년보다 46곳(24.9%) 늘었다. 평가 대상 기업은 3578개로, 지난해보다 10개 줄었지만 부실징후기업은 오히려 증가했다.
부실징후기업은 2020년 157개로 저점을 찍은 뒤 2021년 160개, 2022년 185개 등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부실징후기업 중 C등급(경영정상화 가능성 높음)은 전년 대비 34개 증가한 118곳, D등급(경영정상화 가능성 낮음)은 12개 늘어난 118곳으로 집계됐다.
규모별로는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이 9개사로 작년 2개에서 7개 늘었다. 대기업 중에선 C등급이 5개 추가된 7개였으며, 2022년과 2021년엔 없던 D등급도 2곳 나왔다. 중소기업은 222곳으로 전년 대비 39개 증가했다. C등급과 D등급이 111개씩이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 경기 침체의 직격탄을 맞은 부동산업에 속한 기업이 7개 늘어난 22개로 가장 많았다. 유통이 6개 증가한 19개였으며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이 각각 18개로 뒤를 이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2조7000억원 수준이며, 이 중 은행권이 73%를 차지했다. 추가로 쌓아야 하는 충당금은 3500억원 안팎이어서 국내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금감원은 추정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들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한 결과 231곳을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작년보다 46곳(24.9%) 늘었다. 평가 대상 기업은 3578개로, 지난해보다 10개 줄었지만 부실징후기업은 오히려 증가했다.
부실징후기업은 2020년 157개로 저점을 찍은 뒤 2021년 160개, 2022년 185개 등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부실징후기업 중 C등급(경영정상화 가능성 높음)은 전년 대비 34개 증가한 118곳, D등급(경영정상화 가능성 낮음)은 12개 늘어난 118곳으로 집계됐다.
규모별로는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이 9개사로 작년 2개에서 7개 늘었다. 대기업 중에선 C등급이 5개 추가된 7개였으며, 2022년과 2021년엔 없던 D등급도 2곳 나왔다. 중소기업은 222곳으로 전년 대비 39개 증가했다. C등급과 D등급이 111개씩이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 경기 침체의 직격탄을 맞은 부동산업에 속한 기업이 7개 늘어난 22개로 가장 많았다. 유통이 6개 증가한 19개였으며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이 각각 18개로 뒤를 이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2조7000억원 수준이며, 이 중 은행권이 73%를 차지했다. 추가로 쌓아야 하는 충당금은 3500억원 안팎이어서 국내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금감원은 추정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