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장기화에…현대차, 러시아 공장 매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년 뒤 재진입 길 열어둬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 두 곳
1만루블에 현지업체에 넘기기로
2년 안에 되살 수 있는 조건 걸어
공백 메우려 체코서 증산 추진
전기차 생산 두 배로…투자 검토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 두 곳
1만루블에 현지업체에 넘기기로
2년 안에 되살 수 있는 조건 걸어
공백 메우려 체코서 증산 추진
전기차 생산 두 배로…투자 검토
현대자동차가 결국 러시아 공장 매각을 확정했다. 현대차는 연 30만 대 이상 생산할 수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 두 곳을 단 1만루블(약 14만원)에 현지 업체에 넘기기로 했다. 이 공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지난해 3월부터 2년 가까이 멈춰서 있었다.
인수 기업은 러시아에 대규모 딜러 네트워크를 보유한 자동차 판매업체 아트파이낸스다. 이 회사는 지난해 러시아에서 철수한 폭스바겐그룹의 칼루가 공장과 현지 사업 부문을 사들이기도 했다.
매각 금액은 단돈 1만루블로 알려졌다. 매각 자산의 장부 가치만 2873억원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현대차로서는 회계상 막대한 손실이 불가피하다. 앞서 러시아 시장 점유율 1위였던 르노그룹 역시 지난해 5월 러시아를 떠나면서 단돈 2루블(당시 기준 약 50원)에 러시아 정부와 모스크바시에 현지 법인과 공장 지분을 넘기는 계약을 바이백 조건을 달아 체결했다.
현대차는 2년 안에 이 공장을 다시 인수(바이백)할 수 있는 조건을 달았다. 러시아 정부 방침에 따라 현대차가 공장을 되사기로 결정하면 인수 금액은 바이백 시점의 시장 가격이 된다.
러시아는 현대차가 ‘뚝심’을 갖고 지켜온 시장이었다. 2014년 미국의 러시아 경제 제재와 고유가 등으로 GM을 비롯한 여러 완성차 업체가 러시아에서 철수했을 때도 현대차는 생산량을 줄이기는커녕 신차 투입을 오히려 늘렸다. 그 결과 연 23만 대 이상 판매하며 현지 점유율 2위까지 올랐다. 2020년엔 옛 GM 공장을 인수하며 추가 투자도 불사했다. 이런 매몰비용도 현대차가 쉽사리 러시아에서 발을 빼지 못한 이유였다.
하지만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더는 버티기 어려워졌다는 분석이다. 증권업계에선 현대차가 지난해 러시아 공장을 돌리지 못해 부담한 고정비 손실만 55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했다. 가동 중단이 길어질수록 고정비용은 불어날 수밖에 없다.
현대차는 2년 내 러시아 시장 재진입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현대차의 생산 중단 이후 러시아 토종 브랜드와 중국 업체들이 빠르게 점유율을 늘리고 있어 복귀가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작년 1분기만 해도 26.5%(현대차·기아 합산)에 달하던 시장 점유율은 제로(0) 수준으로 떨어졌다.
현대차는 다른 해외 생산 기지를 통해 러시아 공장의 공백을 메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차는 유럽 내 유일한 전기차 생산 기지인 체코 노쇼비체 공장의 전기차 생산량을 현재의 두 배 이상으로 늘리기 위해 최대 수천억원 규모의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인도에서도 신규 공장 인수와 추가 설비 투자를 통해 연 생산 능력을 25만 대 이상 늘릴 계획이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
○단돈 1만루블에 매각
현대차는 19일 임시이사회를 열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 ‘현대자동차 러시아 생산법인(HMMR)’의 지분 전체를 매각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매각 자산에는 연 23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과 같은 도시에 있는 연산 10만 대 규모의 옛 제너럴모터스(GM) 공장 부지도 포함됐다. 현대차 관계자는 “최적의 방안으로 러시아 공장을 매각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왔다”며 “지금이 가장 적절한 시점이라고 보고 매각을 결정했다”고 말했다.인수 기업은 러시아에 대규모 딜러 네트워크를 보유한 자동차 판매업체 아트파이낸스다. 이 회사는 지난해 러시아에서 철수한 폭스바겐그룹의 칼루가 공장과 현지 사업 부문을 사들이기도 했다.
매각 금액은 단돈 1만루블로 알려졌다. 매각 자산의 장부 가치만 2873억원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현대차로서는 회계상 막대한 손실이 불가피하다. 앞서 러시아 시장 점유율 1위였던 르노그룹 역시 지난해 5월 러시아를 떠나면서 단돈 2루블(당시 기준 약 50원)에 러시아 정부와 모스크바시에 현지 법인과 공장 지분을 넘기는 계약을 바이백 조건을 달아 체결했다.
현대차는 2년 안에 이 공장을 다시 인수(바이백)할 수 있는 조건을 달았다. 러시아 정부 방침에 따라 현대차가 공장을 되사기로 결정하면 인수 금액은 바이백 시점의 시장 가격이 된다.
○전쟁 장기화·고정비 부담에 못 버텨
현대차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현지 생산 중단 이후 1년9개월을 버틴 끝에야 이번 공장 매각 결정을 내렸다. 도요타와 르노, 폭스바겐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지난해 일찌감치 러시아 시장을 포기한 것과 대조적이다.러시아는 현대차가 ‘뚝심’을 갖고 지켜온 시장이었다. 2014년 미국의 러시아 경제 제재와 고유가 등으로 GM을 비롯한 여러 완성차 업체가 러시아에서 철수했을 때도 현대차는 생산량을 줄이기는커녕 신차 투입을 오히려 늘렸다. 그 결과 연 23만 대 이상 판매하며 현지 점유율 2위까지 올랐다. 2020년엔 옛 GM 공장을 인수하며 추가 투자도 불사했다. 이런 매몰비용도 현대차가 쉽사리 러시아에서 발을 빼지 못한 이유였다.
하지만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더는 버티기 어려워졌다는 분석이다. 증권업계에선 현대차가 지난해 러시아 공장을 돌리지 못해 부담한 고정비 손실만 55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했다. 가동 중단이 길어질수록 고정비용은 불어날 수밖에 없다.
현대차는 2년 내 러시아 시장 재진입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현대차의 생산 중단 이후 러시아 토종 브랜드와 중국 업체들이 빠르게 점유율을 늘리고 있어 복귀가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작년 1분기만 해도 26.5%(현대차·기아 합산)에 달하던 시장 점유율은 제로(0) 수준으로 떨어졌다.
현대차는 다른 해외 생산 기지를 통해 러시아 공장의 공백을 메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차는 유럽 내 유일한 전기차 생산 기지인 체코 노쇼비체 공장의 전기차 생산량을 현재의 두 배 이상으로 늘리기 위해 최대 수천억원 규모의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인도에서도 신규 공장 인수와 추가 설비 투자를 통해 연 생산 능력을 25만 대 이상 늘릴 계획이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