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군 당국이 19일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체계를 가동했다.

국방부는 이날 “한·미·일 3국은 19일 오전 9시부터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공유 체계를 정식 가동했다”며 “사전 점검 결과를 통해 완전 운용능력이 검증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3국 정상회의 당시 공유 체계 구축에 합의한 이후 1년1개월여 만이다.

군 당국은 이를 통해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한 탐지 사각지대가 사라져 실시간 대응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북한 미사일 관련 정보를 미국을 거쳐 서로 공유해온 한국과 일본의 대응 신속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줄 전망이다. 한국은 미사일 발사 초기 단계를 빨리 탐지할 수 있지만 둥근 지구가 자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곡률로 인해 발사된 미사일을 추적·탐지하는 역량은 부족하다. 반대로 일본은 발사 이후 단계 탐지에 강점이 있어 한국과 상호 보완적 관계다.

내년부터는 10여 기의 미국 적외선 탐지 조기경보위성이 수집하는 정보도 실시간으로 공유하게 된다. 미 위성은 적외선 탐지기로 지상을 감시해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때 분출하는 고열을 탐지한다.

군 고위 관계자는 “앞으로 우리 군이 미국 조기경보위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받게 되면 고도화된 북한 미사일에 대한 탐지 및 대응 능력이 더욱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한·미·일이 공유하는 정보는 발사 추정 지점, 비행 궤적, 예상 탄착 지점 등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로 한정된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 등 사전 정보나 각국 탐지·추적 자산의 종류 및 위치 등의 정보는 공유하지 않는다. 3국 미사일 정보 체계 가동이 한국의 미국 미사일방어체계(MD) 편입 논란으로 이어지면 중국의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