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건설·시행업계 파국 막아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진수 건설부동산 부장
“올해 생존해서 다행이지만 내년이 더 걱정입니다.”
요즘 건설업계 송년 분위기는 예전과 사뭇 다르다. 덕담은 온데간데없다. 이구동성으로 내년에 대한 걱정이 태산이다. 그나마 다행인 건 미국이 내년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민간이 국내 전체 주택 공급의 80%가량을 담당하고 있다. 민간 공급의 두 축인 건설사와 시행사(개발업체)가 붕괴 직전이다. 금융당국이 지난해 9월 말 레고랜드 사태 이후 부동산 금융시장을 ‘관리’하는 바람에 시장 기능이 작동하지 않은 데다 아파트 미분양이 누적돼 부실만 눈덩이처럼 커졌기 때문이다. 나름 튼실했던 건설사와 개발 사업지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시장이 꽉 막혀 생존 기로에 놓였다.
하지만 업계에선 대부분 건설사가 A건설과 비슷한 상황이라는 게 공공연한 비밀이다. 부동산 경기 10년 호황 뒤 지난해 아파트값이 빠지는 등 시장은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여기에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원자재값 급등과 인건비 상승이 맞물려 공사비가 30% 이상 급등했다. 2021년 연 0.5%였던 기준금리는 열 차례 뛰며 지난 1월 연 3.5%까지 급등한 뒤 동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공사비와 금리 상승 속에 신규 단지가 미분양 늪에 허덕이면서 건설사들이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올해 대우산업개발, HN(옛 현대BS&C), 신일, 대창기업 등 중견 건설사가 부도 난 이유다.
시공능력평가 30위 내 부채 비율이 200%를 웃도는 건설사도 수두룩하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안전 비용은 다락같이 치솟았고, 미분양으로 공사비 조달이 힘들어지면서 공사 기간이 연장되는 단지도 증가세다. 지방 미분양에 대한 세제 혜택 등 특단의 조치가 없으면 자력 생존이 불가능한 처지다.
내년 4월 총선 때까지 브리지론(토지비와 일부 사업비 대출) 연장만 하고, 본PF(인허가 후 토지비와 공사비 일부 조달) 시장을 묶어둔다면 그나마 사업성이 있는 프로젝트도 모조리 망가질 수밖에 없다. ‘옥석 가리기’를 서두르지 않으면 이미 기반이 흔들린 업계 전반의 붕괴를 막을 수 없다. 더 큰 사회적 비용이 투입되기 전에 금융당국이 선제적으로 나서야 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축은행 PF 사태 처리 과정을 되돌아볼 시점이다.
요즘 건설업계 송년 분위기는 예전과 사뭇 다르다. 덕담은 온데간데없다. 이구동성으로 내년에 대한 걱정이 태산이다. 그나마 다행인 건 미국이 내년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민간이 국내 전체 주택 공급의 80%가량을 담당하고 있다. 민간 공급의 두 축인 건설사와 시행사(개발업체)가 붕괴 직전이다. 금융당국이 지난해 9월 말 레고랜드 사태 이후 부동산 금융시장을 ‘관리’하는 바람에 시장 기능이 작동하지 않은 데다 아파트 미분양이 누적돼 부실만 눈덩이처럼 커졌기 때문이다. 나름 튼실했던 건설사와 개발 사업지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시장이 꽉 막혀 생존 기로에 놓였다.
중소 건설사 고사 위기
최근 중견 건설사 A건설이 유동성 위기로 부도설에 휩싸였다. 부동산 PF 대출 규모가 컸던 이 회사는 법정관리를 신청한다는 루머가 돌며 주가가 급락했다. 하지만 광주에 있는 한 중소형 건설사가 도래한 어음을 막지 못해 최종 부도 처리되면서 A건설에 대한 루머는 해프닝(?)으로 일단락됐다.하지만 업계에선 대부분 건설사가 A건설과 비슷한 상황이라는 게 공공연한 비밀이다. 부동산 경기 10년 호황 뒤 지난해 아파트값이 빠지는 등 시장은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여기에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원자재값 급등과 인건비 상승이 맞물려 공사비가 30% 이상 급등했다. 2021년 연 0.5%였던 기준금리는 열 차례 뛰며 지난 1월 연 3.5%까지 급등한 뒤 동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공사비와 금리 상승 속에 신규 단지가 미분양 늪에 허덕이면서 건설사들이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올해 대우산업개발, HN(옛 현대BS&C), 신일, 대창기업 등 중견 건설사가 부도 난 이유다.
시공능력평가 30위 내 부채 비율이 200%를 웃도는 건설사도 수두룩하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안전 비용은 다락같이 치솟았고, 미분양으로 공사비 조달이 힘들어지면서 공사 기간이 연장되는 단지도 증가세다. 지방 미분양에 대한 세제 혜택 등 특단의 조치가 없으면 자력 생존이 불가능한 처지다.
PF 프로젝트 옥석 가려야
멈춰선 PF 시장이 부동산 시장 위기의 근원지로 꼽힌다. 금융당국이 올 초 시중은행과 보험회사에 PF 대출 자제령을 내리면서 증권사 저축은행 캐피털 자산운용사 수협 등 제2금융권이 PF 시장을 지탱해 왔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 침체와 금리 인상이 직격탄이 됐다. 실제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이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지난 9월 말 2.42%로 6월 말(2.17%)보다 0.25%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말(1.19%)과 비교해 1.23%포인트 올랐다. 이 중 저축은행의 PF 연체율은 5.56%로 2분기보다 0.95%포인트 올랐다.내년 4월 총선 때까지 브리지론(토지비와 일부 사업비 대출) 연장만 하고, 본PF(인허가 후 토지비와 공사비 일부 조달) 시장을 묶어둔다면 그나마 사업성이 있는 프로젝트도 모조리 망가질 수밖에 없다. ‘옥석 가리기’를 서두르지 않으면 이미 기반이 흔들린 업계 전반의 붕괴를 막을 수 없다. 더 큰 사회적 비용이 투입되기 전에 금융당국이 선제적으로 나서야 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축은행 PF 사태 처리 과정을 되돌아볼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