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자들의 악보가 몰려드는 뉴욕의 보물섬 같은 가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rte] 김동민의 뉴욕의 동네 음악가
‘빛 색깔 공기’는 투병 중이던 아버지 고(故) 김치영 목사와 4개월 동안 병상에서 아들 김동건 교수가 나눈 대화를 정리한 책이다. 유별나다 싶을 정도로 책에 애착심을 갖는 아버지의 모습을 그려낸 이 책에는 김목사가 평생 수집한 책으로 꾸며진 서재를 성스러운 공간처럼 묘사했다. 교수 아들조차 함부로 손댈 수 없을 만큼.
김 목사처럼 그럴싸한 서재를 가지고 있을 것 같은 작가 김훈의 경우는 의외로 정 반대이다. 그는 필요한 책만 구해서 본 후 바로 없애버린다. 그나마 집에 가지고 있는 책들은 더 이상 읽지 않아도 될 만큼 완전히 소화를 시킨 것들 뿐이다. 갱도에서 일하는 광부에게는 전등과 곡괭이면 충분하다고 그는 말한다. 유학 시설 책을 많이 읽었다. 그리고 가장 치열하게 살았던 기간이기도 했다. 독서는 일상의 탈출구 같았다. 그래서 책 읽기 대한 원칙을 세웠다. 가방 안에 전공과 관련 없는 책을 항상 가지고 다닐 것. 그리고 자투리 시간이 생기면 단 1분이라도 책을 꺼내 들을 것. 단순한 두 가지 원칙은 일상 속 찰나의 순간들을 지속적으로 압박했고, 덕택에 소설, 수필, 사회과학, 인문학, 종교, 미술, 건축 관련 서적까지 관심의 지평을 넓혀나갈 수 있었다. 지금처럼 스마트폰이 대중화되었던 때였다면 어땠을까 싶지만, 밑줄을 그었고, 책의 구석에 메모를 남기며 치열하게, 그렇지만 행복하게 읽었다. 뉴욕이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이유는 스트랜드 서점 같은 곳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1927년 미국 이민자에 의해 세워진 이 서점은 총 29킬로미터에 달하는 책장에 230만여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중고서점으로 다양한 장르의 책과 희귀 악보들을 찾을 수 있는 곳이다. 스트랜드 서점에 들를 때마다 헌책 더미들 속에서 쓸만한 악보들이 가끔씩 등장한다. 연주는커녕, 들어본 적도 없는 시마노프스키 교향곡 2번이라니. 누렇게 빛바랜 표지에서 세월이 읽혔다. 유학 시절 애용했던 단골 악보가게 아르스 노바는 중고 악보와 음반들을 취급한 보물섬 같은 곳이었다. 신기한 악보를 만날 수 있었던 것도 좋았지만,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을 해결해 주던 서점 주인 폴 아저씨와 대화를 나눌 수 있었던 점도 유익했다. 폴을 통해 알게 된 중고 매물의 출처는 단순했다. 은퇴하는 현역들이 처분을 하거나, 유가족을 통해 들어온다는 것. 앞으로도 쓸 것 같지 않은 악보를 골라내는 것도 쉽지 않은데, 공부하고 기록하며 연주했던 분신들을 떠나보내는 마음은 쉽게 상상하기 어렵다. 십 수년 전 모차르트 오페라 마술피리를 지휘했던 적이 있다. 이 악보에는 작품을 처음 공부하던 시절부터 쌓아온 중요한 내용들이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었다. 원어 가사와 대사의 뜻을 깨알 글씨로 옮겼고, 음악회를 준비하면서 중요한 부분들을 표시한 보물 같은 악보였다. 몇 년 후, 같은 곡을 필라델피아에서 지휘할 기회가 생겼다. 반가운 악보를 다시 꺼내 가방에 넣고 다니며 짬짬이 공부를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 날 가방을 분실하고 말았다. 도둑은 가방 속 랩탑이 쓸만해 보였겠지만, 진짜 보물은 그게 아니었다. 찾을 수만 있다면, 그래서 악보를 돌려받을 수만 있다면 새 랩탑을 사주고서라도 가방을 돌려받고 싶었다. 악보야 새로 사면 그만이겠지만, 손때 묻은 기록의 상실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이다. 불문학자였던 황현산 교수도 비슷한 말을 했듯이, 음악가는 악보를 통해 작곡가들과 대화한다. 방 한쪽 벽에 빽빽하게 들어찬 악보를 통해 역사 속의 인물을 오늘로 불러낸다. 이 영감의 장에서 논쟁이 타오르고, 호소와 설득을 지나 거룩한 타협에 도착하면 새로운 내가 된다. 이곳은 성소이다.
김 목사처럼 그럴싸한 서재를 가지고 있을 것 같은 작가 김훈의 경우는 의외로 정 반대이다. 그는 필요한 책만 구해서 본 후 바로 없애버린다. 그나마 집에 가지고 있는 책들은 더 이상 읽지 않아도 될 만큼 완전히 소화를 시킨 것들 뿐이다. 갱도에서 일하는 광부에게는 전등과 곡괭이면 충분하다고 그는 말한다. 유학 시설 책을 많이 읽었다. 그리고 가장 치열하게 살았던 기간이기도 했다. 독서는 일상의 탈출구 같았다. 그래서 책 읽기 대한 원칙을 세웠다. 가방 안에 전공과 관련 없는 책을 항상 가지고 다닐 것. 그리고 자투리 시간이 생기면 단 1분이라도 책을 꺼내 들을 것. 단순한 두 가지 원칙은 일상 속 찰나의 순간들을 지속적으로 압박했고, 덕택에 소설, 수필, 사회과학, 인문학, 종교, 미술, 건축 관련 서적까지 관심의 지평을 넓혀나갈 수 있었다. 지금처럼 스마트폰이 대중화되었던 때였다면 어땠을까 싶지만, 밑줄을 그었고, 책의 구석에 메모를 남기며 치열하게, 그렇지만 행복하게 읽었다. 뉴욕이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이유는 스트랜드 서점 같은 곳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1927년 미국 이민자에 의해 세워진 이 서점은 총 29킬로미터에 달하는 책장에 230만여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중고서점으로 다양한 장르의 책과 희귀 악보들을 찾을 수 있는 곳이다. 스트랜드 서점에 들를 때마다 헌책 더미들 속에서 쓸만한 악보들이 가끔씩 등장한다. 연주는커녕, 들어본 적도 없는 시마노프스키 교향곡 2번이라니. 누렇게 빛바랜 표지에서 세월이 읽혔다. 유학 시절 애용했던 단골 악보가게 아르스 노바는 중고 악보와 음반들을 취급한 보물섬 같은 곳이었다. 신기한 악보를 만날 수 있었던 것도 좋았지만,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을 해결해 주던 서점 주인 폴 아저씨와 대화를 나눌 수 있었던 점도 유익했다. 폴을 통해 알게 된 중고 매물의 출처는 단순했다. 은퇴하는 현역들이 처분을 하거나, 유가족을 통해 들어온다는 것. 앞으로도 쓸 것 같지 않은 악보를 골라내는 것도 쉽지 않은데, 공부하고 기록하며 연주했던 분신들을 떠나보내는 마음은 쉽게 상상하기 어렵다. 십 수년 전 모차르트 오페라 마술피리를 지휘했던 적이 있다. 이 악보에는 작품을 처음 공부하던 시절부터 쌓아온 중요한 내용들이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었다. 원어 가사와 대사의 뜻을 깨알 글씨로 옮겼고, 음악회를 준비하면서 중요한 부분들을 표시한 보물 같은 악보였다. 몇 년 후, 같은 곡을 필라델피아에서 지휘할 기회가 생겼다. 반가운 악보를 다시 꺼내 가방에 넣고 다니며 짬짬이 공부를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 날 가방을 분실하고 말았다. 도둑은 가방 속 랩탑이 쓸만해 보였겠지만, 진짜 보물은 그게 아니었다. 찾을 수만 있다면, 그래서 악보를 돌려받을 수만 있다면 새 랩탑을 사주고서라도 가방을 돌려받고 싶었다. 악보야 새로 사면 그만이겠지만, 손때 묻은 기록의 상실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이다. 불문학자였던 황현산 교수도 비슷한 말을 했듯이, 음악가는 악보를 통해 작곡가들과 대화한다. 방 한쪽 벽에 빽빽하게 들어찬 악보를 통해 역사 속의 인물을 오늘로 불러낸다. 이 영감의 장에서 논쟁이 타오르고, 호소와 설득을 지나 거룩한 타협에 도착하면 새로운 내가 된다. 이곳은 성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