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작 '광인'으로 돌아온 이혁진…"인간 욕망 증류하면 사랑만 남을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설가 이혁진은 '월급 스릴러'의 대가였다. 과거형이다. 조선소를 배경으로 기업의 모순과 부조리를 그린 <누운 배>, 은행원들 간의 사내연애를 통해 회사 내 계급과 이해관계를 다루며 동명의 드라마로 제작된 <사랑의 이해>, 공사 현장을 배경으로 직업인의 윤리를 묻는 <관리자들>까지. 월급을 둘러싼 직장인의 분투와 지질한 인간관계를 긴장감 있게 그려왔다.
그런 그가 새로운 얼굴로 돌아왔다. 광기 어린 사랑을 다룬 신작 장편소설 <광인>을 출간한 이 작가를 지난 22일 연희동에서 만났다. 네 번째 장편소설을 세상에 내놓은 그는 "지금껏 쓴 작품들 중 가장 잘 쓰고 싶었고,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이라고 자평했다. <광인>은 세 남녀의 사랑과 욕망을 치열하게 파고든다. 위스키 만드는 여자 '하진'과 그녀를 사랑하는 두 남자, 음악가 '준연'과 주식쟁이 '해원'. 세 사람의 긴장 관계를 중심으로 술과 음악, 돈에 대한 집요한 묘사와 파국으로 치닫는 서사가 진득한 위스키 향처럼 펼쳐진다.
하지만 이 작가와 마주 앉자 분량 얘기부터 꺼내지 않을 수 없었다. 쇼츠 시대에 나온 소설인데 680쪽에 달한다. 분량을 줄일 고민은 안 했을까. 이 작가는 "전혀 안 했다"고 잘라 말했다. "짧고 즉각적인 콘텐츠는 책이 아니더라도 많지 않나요? 제가 동경했던 문학들처럼, 두껍지만 두꺼운 줄 모르고 읽게 되는 소설을 쓰고 싶었습니다." 그는 한국 문단에서 흔치 않은 '장편형 소설가'다. 보통 소설가들이 단편소설로 등단해 소설집 내고 장편소설로 넘어가는 것과 달리, 등단도 장편소설로 했고 이후 낸 작품들도 모두 장편이다.
위스키는 작품 속에서 주요 모티프로 등장한다. 하진의 업이고, '내가 사랑한 것이 나를 망치는' 사랑에 대한 상징으로, '현실에서 진실을 증류한' 예술의 정수로 묘사된다. 이 작가는 "2~3년 전부터 위스키에 빠지면서 '증류'라는 키워드에 대해 고민했다"며 "인간의 삶과 욕망을 증류하면 결국 사랑이 남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소설 속 준연은 해원에게 이렇게 말한다. "음악이든 그림이든 영화든 소설이든 그게 제대로 된 작품이라면 체험을 만들어내야 해요. 그게 아니라면 뭘 제대로 만든 게 아닌 거죠." 저자는 이 소설을 통해 독자들이 어떤 체험을 하기를 꿈꿀까.
"독자들이 지독한 사랑, 그리고 그 사랑의 실패를 체험할 수 있기를 바라면서 썼어요. 소설 속에서는 언제든, 얼마든지 실패해도 괜찮잖아요. 이야기가 우리를 매혹할 수밖에 없는 이유죠. 그리고 우리는 그 체험을 통해 비로소 삶의 진실을 익히고 타인을 이해하는 데 성공할 수 있어요."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그런 그가 새로운 얼굴로 돌아왔다. 광기 어린 사랑을 다룬 신작 장편소설 <광인>을 출간한 이 작가를 지난 22일 연희동에서 만났다. 네 번째 장편소설을 세상에 내놓은 그는 "지금껏 쓴 작품들 중 가장 잘 쓰고 싶었고,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이라고 자평했다. <광인>은 세 남녀의 사랑과 욕망을 치열하게 파고든다. 위스키 만드는 여자 '하진'과 그녀를 사랑하는 두 남자, 음악가 '준연'과 주식쟁이 '해원'. 세 사람의 긴장 관계를 중심으로 술과 음악, 돈에 대한 집요한 묘사와 파국으로 치닫는 서사가 진득한 위스키 향처럼 펼쳐진다.
하지만 이 작가와 마주 앉자 분량 얘기부터 꺼내지 않을 수 없었다. 쇼츠 시대에 나온 소설인데 680쪽에 달한다. 분량을 줄일 고민은 안 했을까. 이 작가는 "전혀 안 했다"고 잘라 말했다. "짧고 즉각적인 콘텐츠는 책이 아니더라도 많지 않나요? 제가 동경했던 문학들처럼, 두껍지만 두꺼운 줄 모르고 읽게 되는 소설을 쓰고 싶었습니다." 그는 한국 문단에서 흔치 않은 '장편형 소설가'다. 보통 소설가들이 단편소설로 등단해 소설집 내고 장편소설로 넘어가는 것과 달리, 등단도 장편소설로 했고 이후 낸 작품들도 모두 장편이다.
위스키는 작품 속에서 주요 모티프로 등장한다. 하진의 업이고, '내가 사랑한 것이 나를 망치는' 사랑에 대한 상징으로, '현실에서 진실을 증류한' 예술의 정수로 묘사된다. 이 작가는 "2~3년 전부터 위스키에 빠지면서 '증류'라는 키워드에 대해 고민했다"며 "인간의 삶과 욕망을 증류하면 결국 사랑이 남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소설 속 준연은 해원에게 이렇게 말한다. "음악이든 그림이든 영화든 소설이든 그게 제대로 된 작품이라면 체험을 만들어내야 해요. 그게 아니라면 뭘 제대로 만든 게 아닌 거죠." 저자는 이 소설을 통해 독자들이 어떤 체험을 하기를 꿈꿀까.
"독자들이 지독한 사랑, 그리고 그 사랑의 실패를 체험할 수 있기를 바라면서 썼어요. 소설 속에서는 언제든, 얼마든지 실패해도 괜찮잖아요. 이야기가 우리를 매혹할 수밖에 없는 이유죠. 그리고 우리는 그 체험을 통해 비로소 삶의 진실을 익히고 타인을 이해하는 데 성공할 수 있어요."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