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비 월 40.1만원 vs 13.7만원…"이러니 대기업 가려고 하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이솔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01.35177270.1.jpg)
근로자 1인당 월 복지비 40.1만원 vs 13.7만원
![삼성·SK·현대차·LG그룹 사옥. 사진=한국경제신문](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AD.33991986.1.jpg)
법정 외 복지비용엔 기업체가 직원들의 식사비, 교통·통신비, 건강·보건비용, 자녀 학비 보조, 사내근로복지, 주거비용, 보험료 지원금, 휴양·문화·체육 등의 명목으로 쓰는 비용이 포함된다. 이 복지비용과 퇴직급여, 법정 노동비용(4대 보험료 회사 부담분), 교육·훈련비용 등이 간접 노동비용에 해당된다. 이를 임금, 상여금, 성과급 등 직접 노동비용과 합치면 기업체가 근로자 1명을 고용하는 데 드는 총 비용인 노동비용이 나온다.
복지비용은 기업체 규모별로 격차가 컸다. 지난해 말 기준 300인 미만 기업체의 복지비용은 근로자 1인당 월 13만6900원으로, 300인 이상 기업체 40만900원의 34.1%에 그쳤다.
세부적으로 10∼29인 기업 11만9400원, 30∼99인 13만7600원, 100∼299인 15만8700원, 300∼499인 22만8900원, 500∼999인 20만6300원, 1000인 이상 48만9300원이었다. 특히 격차가 큰 것은 자녀 학비 보조비용과 건강·보건비용으로, 300인 미만 기업의 자녀 학비 보조 비용(월 4900원)은 300인 이상(3만6200원)의 13.5%에 그쳤고, 건강 보조 비용도 14.7% 수준이었다.
월 8만7500원→26만4000원…10년새 더 커진 복지격차
![경기도 성남시 판교테크노밸리 일대 모습. 사진=김범준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AA.33002093.1.jpg)
300인 이상 기업의 근로자 1인당 법정 외 복지비용은 2012년 이후 10년간 60% 증가한 반면 300인 미만 기업의 복지비용은 16만3000원에서 13만7000원으로 오히려 16% 줄었다.
같은 기간 임금 등 직접노동비용의 기업 규모별 격차는 제자리거나 소폭 개선됐다. 2012년의 경우 300인 미만 기업의 1인당 직접노동비용은 월 284만7000원으로, 300인 이상 426만6000원의 66.7% 수준이었는데, 지난해의 경우 397만5000원 대 582만3000원으로 68.3%이다.
직간접 노동비용을 합친 총 노동비용도 10년간 300인 이하 기업이 300인 이상 기업의 63% 수준에서 소폭 등락해왔다. 임금 격차보다 복지 격차가 추세적으로도 더욱 악화한 셈이다.
![판교테크노밸리 일대 모습. 사진=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AA.33002091.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