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산관리공사, 가계·기업 취약 부분 신속 지원…소상공인·자영업자 부담 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자산관리공사, 가계·기업 취약 부분 신속 지원…소상공인·자영업자 부담 던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AA.35400065.1.jpg)
![한국자산관리공사, 가계·기업 취약 부분 신속 지원…소상공인·자영업자 부담 던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AA.35400064.1.jpg)
캠코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장기연체 등 이미 부실이 발생한 사람들에 대해 상환능력에 맞게 채무조정을 지원하고 있다. 장기 연체되지 않았더라도 부실이 우려되는 사람들에게는 금리와 상환 기간을 조정해 영업회복에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지난 11월 말 기준 새출발기금 채무조정 신청자는 4만3668명으로, 채권액 기준으로는 6조9216억원에 달한다. 이중 매입형 채무조정을 통해 총 1만4423명의 채무자의 채무액 1조1140억원에 대해 채무조정 약정을 체결해 약 70%의 채무원금 감면을 도왔다. 중개형 채무조정을 통해선 1만2314명 채무자(채무액 7944억원)의 채무조정을 확정해 평균 이자율 약 4.5%포인트 감면을 지원했다.
최근 부실 우려가 제기되는 부동산PF에 대한 대응도 강화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금융권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2.42%로, 작년 말(1.19%)의 두 배 수준으로 상승했다. 이에 당국은 지난 1월 부실PF자산과 부실우려 PF자산을 매입하는 펀드 조성을 발표했다. 3월에는 부동산 관련 금융 리스크 관리 강화 조치를 발표해 PF 대주단 협약 개정을 통해 민간 자율 사업 재구조화를 지원하는 등 부동산 시장 악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캠코는 부동산PF 잠재 리스크가 전이되지 않도록 부실 PF사업장 정상화를 돕는 ‘PF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를 만들었다. 캠코가 앵커(핵심) 투자자로 나서 자체자금 5000억원을 기반으로 펀드 운영을 맡을 위탁운용사 5곳을 선정했다. 운용사는 민간자금을 유치해 지난 9월 1조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 완료했다.
펀드는 PF채권을 인수·결집한 후 권리관계 조정과 사업·재무구조 재편, 사업비 자금대여 등을 통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PF사업장의 신속한 정상화를 지원한다. 올해 펀드 조성과 동시에 서울 소재 사업장에 대한 1건의 투자를 완료했다.
권남주 캠코 사장은 “앞으로도 캠코는 정부의 든든한 정책 파트너로서 취약 가계·기업 부문의 성공적 재기를 돕는 조력자이자 국가적 경제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경제 소방수로서 역할을 톡톡히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