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 국가전력망 적기건설에 역량집중…주민과 소통 통해 지원·보상 강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러한 한전의 노력과 함께 이해관계자 간 복잡하게 얽힌 갈등을 해소하고 원활한 건설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업 시행자(한전) 위주의 대응에서 벗어난 해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다른 국가처럼 특례법 제정 등을 통해 정부 주도의 사업추진 체계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최근 발의된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은 이 같은 인식에서 등장한 법안이다. 이 법안은 국가기간 전력망 구축을 위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범정부 차원의 확충위원회를 신설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확충위원회는 갈등·분쟁 조정 및 중재 등 주요 정책에 대한 심의·의결 권한을 갖는다. 건설사업 추진의 동력을 확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력망 적기 건설을 위해 해외에서도 이를 국가적 아젠다로 설정하고 특례법 제정, 보상 확대 등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일의 경우 인허가는 물론 토지확보, 보상, 민원 등을 정부 주도로 추진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기존 고속도로나 철도 등의 입지에 전력망을 구축하면서 인프라 구축 사업과 연계를 통한 갈등예방에 나서고 있다.
법안이 통과될 경우 한전은 이를 기폭제 삼아 전력망 적기건설에 역량을 쏟을 계획이다.
박한신 기자 p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