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급부상 'CXL 메모리'…삼성, 차세대 반도체 선점 발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용 리눅스 1위 레드햇과
업계 첫 CXL 동작검증 성공
HBM보다 가격부담 적어 매력
업계 첫 CXL 동작검증 성공
HBM보다 가격부담 적어 매력
삼성전자가 차세대 메모리 기술인 CXL(Compute Express Link·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 선점에 나섰다. CXL은 메모리 용량을 유연하게 늘릴 수 있는 연결 기술로, 인공지능(AI)처럼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때 적합하다. 삼성전자는 AI 시대 본격화를 맞아 CXL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공격적 투자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는 27일 업계 최초로 기업용 리눅스 1위 기업 레드햇과 CXL 메모리 동작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의 CXL 기반 메모리가 컴퓨터 운영체제인 리눅스에서 잘 작동했다는 의미다. 데이터센터 고객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변경 없이 삼성 CXL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CXL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AI 시대에 중요한 기술로 꼽힌다. AI용 메모리로 주목받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가 D램 여러 개를 연결해 메모리 성능을 끌어 올리는 데 집중했다면, CXL은 컴퓨터 내부 시스템 전체를 연결하고 합친 것이다. 컴퓨터의 두뇌인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반도체 등 다양한 컴퓨팅 시스템이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통합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이는 식이다.
메모리 용량을 유연하게 늘릴 수 있다는 확장성도 강점이다. 기존에는 서버를 사용하면 메모리 용량과 성능이 고정됐다. 하지만 CXL 기반 메모리는 여러 대의 서버가 메모리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 구조를 바꾸지 않고도 메모리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가령 CPU당 16개의 D램이 평균 최대치라면 CXL 이용 시 메모리 용량을 최소 두 배 이상 늘릴 수 있다.
고객사의 가격 부담도 줄어든다. HBM은 D램보다 7배 이상 비싸지만 CXL을 활용하면 저렴한 DDR5램으로 메모리 용량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HBM 분야에서는 다소 뒤처졌지만, CXL 분야에선 경쟁사보다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1년 5월 세계 최초로 CXL 기반 D램 기술을 개발했고, 지난 4일에는 CXL 관련 4종 상표를 출원하며 상용화에 한발짝 더 다가갔다.
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
삼성전자는 27일 업계 최초로 기업용 리눅스 1위 기업 레드햇과 CXL 메모리 동작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의 CXL 기반 메모리가 컴퓨터 운영체제인 리눅스에서 잘 작동했다는 의미다. 데이터센터 고객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변경 없이 삼성 CXL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CXL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AI 시대에 중요한 기술로 꼽힌다. AI용 메모리로 주목받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가 D램 여러 개를 연결해 메모리 성능을 끌어 올리는 데 집중했다면, CXL은 컴퓨터 내부 시스템 전체를 연결하고 합친 것이다. 컴퓨터의 두뇌인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반도체 등 다양한 컴퓨팅 시스템이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통합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이는 식이다.
메모리 용량을 유연하게 늘릴 수 있다는 확장성도 강점이다. 기존에는 서버를 사용하면 메모리 용량과 성능이 고정됐다. 하지만 CXL 기반 메모리는 여러 대의 서버가 메모리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 구조를 바꾸지 않고도 메모리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가령 CPU당 16개의 D램이 평균 최대치라면 CXL 이용 시 메모리 용량을 최소 두 배 이상 늘릴 수 있다.
고객사의 가격 부담도 줄어든다. HBM은 D램보다 7배 이상 비싸지만 CXL을 활용하면 저렴한 DDR5램으로 메모리 용량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HBM 분야에서는 다소 뒤처졌지만, CXL 분야에선 경쟁사보다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1년 5월 세계 최초로 CXL 기반 D램 기술을 개발했고, 지난 4일에는 CXL 관련 4종 상표를 출원하며 상용화에 한발짝 더 다가갔다.
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