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EU 철강관세 유예 2년 연장…해 넘긴 협상 변수는 '선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8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성명을 통해 유럽에서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의 지정된 물량에 대한 관세 유예 기한을 2025년 12월 31일까지 2년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양측의 철강관세 충돌은 2018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 시작됐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해 국가 안보위험을 이유로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수입산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동맹인 EU도 예외는 아니었다. 반발한 EU는 할리 데이비슨 오토바이와 버번 위스키, 오렌지 주스 등 전방위 수입품에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맞대응했다.
바이든 대통령 취임한 2021년 미 정부는 무역확장법 적용은 유지한 채 관세할당제도(TRQ)를 통해 EU산 철강 330만t과 알루미늄 38만4000t의 무관세 수입을 올해 말까지 허용하기로 EU와 합의했다. EU도 이에 호응해 관세 부과를 일시 중단했다. 양측은 이 기간 서로 관세를 철폐하고 중국 등 과잉 생산되는 제3국산 철강에 관세를 부과해 철강산업의 탈탄소화를 추구하는 ‘지속 가능한 글로벌 철강 및 알루미늄 협정(GSA)’ 체결을 논의해왔다.
관세가 보류된 2025년은 미국과 유럽 양쪽에서 선거가 끝난 시기다. EU는 내년 6월 유럽의회 선거와 EU 집행위원회 교체를 앞두고 있다. 미국은 내년 11월 대통령 선거를 치른다.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 성공 여부에 따라 협상의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 공화당 주요 대선 후보로 꼽히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모든 수입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무역 상대국에 대해 “눈에는 눈”으로 관세를 매기겠다고 예고하고 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