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을 비추는 사랑·달빛의 노래로 거듭난 '월인천강지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립극장 ‘세종의 노래 : 월인천강지곡' 리뷰
세종의 찬불가가 독특한 가무악극으로 재탄생
박범훈·손진책·국수호 합작···대규모 무대 눈길
세종의 찬불가가 독특한 가무악극으로 재탄생
박범훈·손진책·국수호 합작···대규모 무대 눈길
“일천 강에 어리는 달빛을 보아요. 한 그루 조선 소나무 같은 그리운 달빛의 노래. 당신이 불러주는 사랑의 노래를 들어요.”
“일천 강에 비치는 달 보고 또 보며, 당신께서 불러주는 사랑의 노래 들었어요. 물소리 들리는 그림 보듯 당신의 노래 보며 오늘을 살아요.”
지난 29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막이 오른 ‘세종의 노래 : 월인천강지곡’에서 세종(김수인 분)의 부인 소헌왕후(이소연)가 공연의 시작과 끝에 부르는 노래의 가사 일부다.
577년 전 세종이 먼저 세상을 떠난 소헌왕후(1395~1446)의 명복을 빌기 위해 한글로 지은 찬불가(讚佛歌) ‘월인천강지곡’이 새롭게 태어났다. 세종이 옆에 함께 있는 소헌왕후에게 불러주고 보여주는 가무악극 형식의 ‘오늘을 비추는 사랑과 달빛의 노래’로 말이다. 이 공연은 1950년 창립된 국립극장이 1973년 서울 명동에서 남산 장충동으로 이전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무대다. ‘남산 이전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국립극장 공연의 산 역사이자 산 증인’인 박범훈(작곡·지휘)과 손진책(연출), 국수호(안무)가 창작진으로 뭉쳤다.
막이 오르면 커다란 반지 모양의 기울어진 원형 무대가 한눈에 들어오고, 무대 중앙에 박범훈이 지휘하는 관현악단이 자리한다. 무대 배경으로 양쪽에 현대 사회의 빌딩 숲을 연상시키는 직사각형 구조물이 놓이고, 그사이에 커다란 보름달이 떠 있다. 원형 무대와 직사각형 구조물 사이에 합창단이 앉고, 바로 앞에 원형 무대 중앙에 들어가지 못한, 부피가 큰 악기 연주자들이 자리했다. 공연 내내 무대를 떠나지 않고, 앉아서 연주하고 노래하는 관현악단과 합창단 숫자만 약 240명에 이른다. 극의 서사는 원형무대를 들락날락하는 국립창극단원(11명)과 국립무용단원(31명)들이 이끈다. 이들을 합쳐 이번 무대에 총 280여 명이 올랐다. 국립극장에 따르면 당초 예정된 313명에서 무대의 크기와 설치물 등을 고려해 합창단과 관현악단 숫자가 다소 줄었지만, 출연진 숫자만 놓고 보면 초대형 무대다.
‘달(부처의 자비와 공덕)이 천 개의 강(중생)을 비춘다’는 의미를 노래한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은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 직후 한글로 지은 찬불가로, 석가모니의 전 생애를 담았다. 하지만 악보는 남아있지 않고, 가사도 3분의 1가량만 전해진다.
이번 공연의 바탕이 된 ‘월인천강지곡’은 시인이자 작가인 박해진이 원곡의 의미를 담아 쉬운 현대말로 풀어 지은 가사를 바탕으로 박범훈이 약 2년간 독창과 중창, 합창에 관현악이 반주하는 대형 칸타타(교성곡)로 완성한 미발표곡이다. 박범훈은 국립극장의 의뢰를 받고 단순히 ‘들려주는 소리’가 아니라 ‘보여주는 소리’의 공연으로 만들고 싶어 친구들인 연출가 손진책과 안무가 국수호를 끌어들였다. 공연은 처음을 여는 ‘서장’과 끝을 닫는 ‘종장’을 빼면 석가모니(세존)의 생애를 그린 9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서두에 ‘세종이 불러주고 보여주는 음악극’이라 소개했지만, 세종은 서장과 종장에만 등장한다. 극을 주도하는 인물은 세존 역의 김준수와 판소리·창극의 도창 역할을 하는 민은경과 류태평양이다.
9개 장의 제목에 본 공연의 내용이 압축돼 있다. ‘1장 흰 코끼리 타고 오신 세존, 2장 마야부인의 죽음, 3장 세존의 고뇌, 4장 고행의 길로 들다. 5장 세존으로 가는 길, 6장 고뇌의 마지막이 되리라, 7장 세존이 되다, 8장 법의 수레바퀴를 굴리다. 9장 세존, 열반에 들다’
결과물은 칸타타 형식을 지닌 참신한 가무악극(歌舞樂劇)이라고 할 만하다. 형식뿐 아니라 내용도 독특하다. 국립극장과 3개 전속단체인 국립창극단·무용단·국악관현악단 공연의 모토라 할 만한 ‘전통과 현대가 조화된 공연’, ‘한국 전통 예술을 서양 공연 양식에 창의적으로 접목하는 공연’의 확장판이라 할만하다. 칸타타의 독창이나 중창에 해당하는 부분은 창극단원들이 창(唱) 형식으로, 합창은 메트·불음꽃·슈리말라·상월청년 등 4개 민간 합창단원들이 서양 성악창법으로 부른다. 종종 창과 성악창법이 어우러진다. 이전에 보지 못했던 어울림으로 확성기를 타고 나오는 독창과 마이크 없이 부르는 합창이 그런대로 조화를 이룬다.
연주도 국립국악관현악단(54명)과 서양 오케스트라인 랑코르 캄머 필하모닉(34명)이 함께한다. 국악관현악의 주 선율악기인 해금과 서양의 바이올린이 어우러지는 소리가 신선하다. 특히 호른 트롬본 트럼펫 등 금관악기 독주가 해금 아쟁 등 국악관현악의 화음 반주를 타고 극중 인물의 내면을 표현하는 대목들은 주목할 만하다.
국수호가 안무한 국립무용단원들의 전통적이고 창의적인 몸짓이 ‘보여지는 소리’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1장 ‘흰 코끼리 타고 오신 세존’에선 남녀도창과 합창단의 노래가 국립무용단원들의 군무로 형상화된다. 무대에 흰 코끼리나 세존은 등장하지 않지만 이를 표현하는 무용이 극의 내용을 그럴듯하게 형상화한다.
3장 ‘세존의 고뇌’에서 세존과 석가모니의 아내 아쇼다라(김수정), 아버지 정반왕(최호성)이 각각 홀로 노래 부를 때 배역마다 별도의 무용수가 독무를 추는 장면도 인상적이다. 각 인물의 심정과 내면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예술적으로 보여준다. 국립창극단의 간판스타인 세존 역의 김준수와 도창 비중이 높은 민은경의 가창과 안무를 곁들인 동작 연기도 높이 평가할 만했다. 창극 공연 등 가사와 대사가 있는 국립극장 기획공연에는 으레 따라붙던 한글·영어 자막이 없는 점은 호불호가 갈릴 듯하다. 무대 집중력은 높아졌지만, 쉬운 현대말로 풀어놨다고 해도 불교 용어와 일상적으로 쓰지 않는 단어들의 사용 빈도가 높아 관객이 이해하지 못할 가사가 많았다.특히 합창단이 성악창법으로 부르는 노래들은 한번 들어서는 알아듣기 힘들다. 주역을 맡은 창극단원들의 노래는 분명한 발음과 발성으로 비교적 알아듣기 쉽지만 어려운 특정 용어들은 노래 가사로 한 번 듣고 이해하기가 여전히 어려웠다. 예를 들어 세존이 노래하는 “나의 카르마의 아버지시여"나 도창이 부르는 “정각(正覺)을 이루어 샛별이 되셨네”에 나오는 ‘카르마’나 ‘정각’이란 말은 알아듣기도 힘들뿐더러 단어를 알아챘더라도 짧은 순간 의미의 맥락을 정확히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공연장에서 판매하는 프로그램 북에 창극 공연 등엔 대부분 실려 있는 전체 가사와 대사가 나오지 않는 점도 아쉬웠다. 공연은 31일까지.
송태형 문화선임기자
“일천 강에 비치는 달 보고 또 보며, 당신께서 불러주는 사랑의 노래 들었어요. 물소리 들리는 그림 보듯 당신의 노래 보며 오늘을 살아요.”
지난 29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막이 오른 ‘세종의 노래 : 월인천강지곡’에서 세종(김수인 분)의 부인 소헌왕후(이소연)가 공연의 시작과 끝에 부르는 노래의 가사 일부다.
577년 전 세종이 먼저 세상을 떠난 소헌왕후(1395~1446)의 명복을 빌기 위해 한글로 지은 찬불가(讚佛歌) ‘월인천강지곡’이 새롭게 태어났다. 세종이 옆에 함께 있는 소헌왕후에게 불러주고 보여주는 가무악극 형식의 ‘오늘을 비추는 사랑과 달빛의 노래’로 말이다. 이 공연은 1950년 창립된 국립극장이 1973년 서울 명동에서 남산 장충동으로 이전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무대다. ‘남산 이전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국립극장 공연의 산 역사이자 산 증인’인 박범훈(작곡·지휘)과 손진책(연출), 국수호(안무)가 창작진으로 뭉쳤다.
막이 오르면 커다란 반지 모양의 기울어진 원형 무대가 한눈에 들어오고, 무대 중앙에 박범훈이 지휘하는 관현악단이 자리한다. 무대 배경으로 양쪽에 현대 사회의 빌딩 숲을 연상시키는 직사각형 구조물이 놓이고, 그사이에 커다란 보름달이 떠 있다. 원형 무대와 직사각형 구조물 사이에 합창단이 앉고, 바로 앞에 원형 무대 중앙에 들어가지 못한, 부피가 큰 악기 연주자들이 자리했다. 공연 내내 무대를 떠나지 않고, 앉아서 연주하고 노래하는 관현악단과 합창단 숫자만 약 240명에 이른다. 극의 서사는 원형무대를 들락날락하는 국립창극단원(11명)과 국립무용단원(31명)들이 이끈다. 이들을 합쳐 이번 무대에 총 280여 명이 올랐다. 국립극장에 따르면 당초 예정된 313명에서 무대의 크기와 설치물 등을 고려해 합창단과 관현악단 숫자가 다소 줄었지만, 출연진 숫자만 놓고 보면 초대형 무대다.
‘달(부처의 자비와 공덕)이 천 개의 강(중생)을 비춘다’는 의미를 노래한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은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 직후 한글로 지은 찬불가로, 석가모니의 전 생애를 담았다. 하지만 악보는 남아있지 않고, 가사도 3분의 1가량만 전해진다.
이번 공연의 바탕이 된 ‘월인천강지곡’은 시인이자 작가인 박해진이 원곡의 의미를 담아 쉬운 현대말로 풀어 지은 가사를 바탕으로 박범훈이 약 2년간 독창과 중창, 합창에 관현악이 반주하는 대형 칸타타(교성곡)로 완성한 미발표곡이다. 박범훈은 국립극장의 의뢰를 받고 단순히 ‘들려주는 소리’가 아니라 ‘보여주는 소리’의 공연으로 만들고 싶어 친구들인 연출가 손진책과 안무가 국수호를 끌어들였다. 공연은 처음을 여는 ‘서장’과 끝을 닫는 ‘종장’을 빼면 석가모니(세존)의 생애를 그린 9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서두에 ‘세종이 불러주고 보여주는 음악극’이라 소개했지만, 세종은 서장과 종장에만 등장한다. 극을 주도하는 인물은 세존 역의 김준수와 판소리·창극의 도창 역할을 하는 민은경과 류태평양이다.
9개 장의 제목에 본 공연의 내용이 압축돼 있다. ‘1장 흰 코끼리 타고 오신 세존, 2장 마야부인의 죽음, 3장 세존의 고뇌, 4장 고행의 길로 들다. 5장 세존으로 가는 길, 6장 고뇌의 마지막이 되리라, 7장 세존이 되다, 8장 법의 수레바퀴를 굴리다. 9장 세존, 열반에 들다’
결과물은 칸타타 형식을 지닌 참신한 가무악극(歌舞樂劇)이라고 할 만하다. 형식뿐 아니라 내용도 독특하다. 국립극장과 3개 전속단체인 국립창극단·무용단·국악관현악단 공연의 모토라 할 만한 ‘전통과 현대가 조화된 공연’, ‘한국 전통 예술을 서양 공연 양식에 창의적으로 접목하는 공연’의 확장판이라 할만하다. 칸타타의 독창이나 중창에 해당하는 부분은 창극단원들이 창(唱) 형식으로, 합창은 메트·불음꽃·슈리말라·상월청년 등 4개 민간 합창단원들이 서양 성악창법으로 부른다. 종종 창과 성악창법이 어우러진다. 이전에 보지 못했던 어울림으로 확성기를 타고 나오는 독창과 마이크 없이 부르는 합창이 그런대로 조화를 이룬다.
연주도 국립국악관현악단(54명)과 서양 오케스트라인 랑코르 캄머 필하모닉(34명)이 함께한다. 국악관현악의 주 선율악기인 해금과 서양의 바이올린이 어우러지는 소리가 신선하다. 특히 호른 트롬본 트럼펫 등 금관악기 독주가 해금 아쟁 등 국악관현악의 화음 반주를 타고 극중 인물의 내면을 표현하는 대목들은 주목할 만하다.
국수호가 안무한 국립무용단원들의 전통적이고 창의적인 몸짓이 ‘보여지는 소리’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1장 ‘흰 코끼리 타고 오신 세존’에선 남녀도창과 합창단의 노래가 국립무용단원들의 군무로 형상화된다. 무대에 흰 코끼리나 세존은 등장하지 않지만 이를 표현하는 무용이 극의 내용을 그럴듯하게 형상화한다.
3장 ‘세존의 고뇌’에서 세존과 석가모니의 아내 아쇼다라(김수정), 아버지 정반왕(최호성)이 각각 홀로 노래 부를 때 배역마다 별도의 무용수가 독무를 추는 장면도 인상적이다. 각 인물의 심정과 내면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예술적으로 보여준다. 국립창극단의 간판스타인 세존 역의 김준수와 도창 비중이 높은 민은경의 가창과 안무를 곁들인 동작 연기도 높이 평가할 만했다. 창극 공연 등 가사와 대사가 있는 국립극장 기획공연에는 으레 따라붙던 한글·영어 자막이 없는 점은 호불호가 갈릴 듯하다. 무대 집중력은 높아졌지만, 쉬운 현대말로 풀어놨다고 해도 불교 용어와 일상적으로 쓰지 않는 단어들의 사용 빈도가 높아 관객이 이해하지 못할 가사가 많았다.특히 합창단이 성악창법으로 부르는 노래들은 한번 들어서는 알아듣기 힘들다. 주역을 맡은 창극단원들의 노래는 분명한 발음과 발성으로 비교적 알아듣기 쉽지만 어려운 특정 용어들은 노래 가사로 한 번 듣고 이해하기가 여전히 어려웠다. 예를 들어 세존이 노래하는 “나의 카르마의 아버지시여"나 도창이 부르는 “정각(正覺)을 이루어 샛별이 되셨네”에 나오는 ‘카르마’나 ‘정각’이란 말은 알아듣기도 힘들뿐더러 단어를 알아챘더라도 짧은 순간 의미의 맥락을 정확히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공연장에서 판매하는 프로그램 북에 창극 공연 등엔 대부분 실려 있는 전체 가사와 대사가 나오지 않는 점도 아쉬웠다. 공연은 31일까지.
송태형 문화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