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설지만 눈에 확 들어오는 '호두까기 인형'의 정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메가박스에서 만난 로열발레단 '호두까기 인형'
국내 발레단과 다른 안무 '눈길'
세계적 명성에 맞는 퍼포먼스
극장 영상·음향으로도 즐길만
국내 발레단과 다른 안무 '눈길'
세계적 명성에 맞는 퍼포먼스
극장 영상·음향으로도 즐길만

바실리 바이노넨, 조지 발란신, 유리 그리고로비치, 존 크랑코 등 탁월한 안무가들이 차이콥스키 음악은 그대로 살리면서 드라마를 보강한 버전들을 지난 연말 무대에 올렸다. 국내에서도 국립발레단, 유니버설발레단 등이 각자 매만진 ‘호두까기 인형’을 선보였다.
메가박스 상영분은 로열 오페라하우스의 2023~2024시즌 작품으로 로열발레단이 24일까지 공연하는 ‘호두까기 인형’ 중 지난달 12일 생중계한 공연 실황이다. 사탕 요정 역에 안나 로즈 오설리반, 과자나라 왕자 역에 마르셀리노 삼베, 드로셀 아이어 역에 토머스 화이트헤드, 클라라 역에 소피 올내트, 한스-피터(호두까기 인형) 역에 레오 디슨이 출연했다. 세계적인 명성의 로열발레단에서도 특별히 선별한 무용수들인 만큼 뛰어난 퍼포먼스와 연기를 펼친다.
다른 버전과 달리 주역 커플이 두 쌍 등장하는 게 특징이다. 1892년 이바노프 초연 버전이 받은 혹평 중 하나는 서사 중심의 1막에서 활약하는 클라라와 호두까기 인형이 춤의 향연이 펼쳐지는 2막에선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이를 의식했는지 피터 라이트 버전에서는 클라라와 호두까기 인형이 1막에서 제법 긴 파드되(2인무)를 여러 번 추고, 2막에 여러 민속춤을 추는 디베르스티망(줄거리와 상관없이 나오는 일련의 춤)에 간간이 주역으로 등장한다. 이에 따라 클라라와 호두까기 인형의 비중은 높아졌을지 몰라도 다채롭고 색다른 디베르스티망 특유의 재미는 줄어들었다.
1막에 등장하는 아역들의 군무도 눈여겨볼 만하다. 영화 ‘빌리 엘리어트’의 주인공이 오디션을 통해 들어가는 로열발레학교 학생들이 활약한다. 앤드루 리튼이 지휘하는 로열 오페라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연주도 영화관의 입체적인 음향으로 충분히 즐길 만하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