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세수 286조 더 걷히려면…"전 세계 '컴플라이언스 괴물' 돼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달부터 한국 등서 글로벌 최저한세 시행
OECD, 연간 최대 2200억불 추가세수 전망
보조금 등 회피 수단 여전…예외 규정도 多
OECD, 연간 최대 2200억불 추가세수 전망
보조금 등 회피 수단 여전…예외 규정도 多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EU), 영국, 캐나다, 노르웨이, 호주 등의 글로벌 기업들은 1일(현지시간)부터 글로벌 최저한세를 적용받기 시작한다. 최저한세율을 15%로 두고, 이보다 낮은 실효세율이 적용되는 경우 해당 기업이 사업장을 낸 다른 국가에 추가 과세권을 부여하는 게 골자다.
글로벌 최저한세 도입을 주도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이 제도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거둬들이는 세수 규모가 9% 늘어날 것으로 추산한다.
파스칼 생-아만스 전 OECD 조세정책센터 국장은 “필라2(글로벌 최저한세) 이행을 위해선 임계 수준 이상의 국가들만 있으면 된다”며 “그 누구도 빠져나갈 구멍을 찾아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OECD가 추진해 온 국제 조세 개편은 두 개의 축으로 구성돼 있다. 다국적 기업의 본사가 속한 국가뿐 아니라 실제 매출이 나오는 사업장이 있는 국가에도 세금을 내도록 하는 필라1(디지털세)은 도입 시점이 2025년으로 연기됐다.

마날 코윈 OECD 조세정책 책임자는 이와 관련해 “초기 단계의 추가 세수 유입분은 국제 조세 개혁의 짧은 단면(snapshot)에 불과하다”며 “(세수 흐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할 것이며, 시스템상 왜곡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경제 활동이 실제로 이뤄지는 곳에서 더 많은 세금이 걷히는 구조가 정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미국 지사의 윌 모리스 글로벌 조세 정책 담당자는 “새로 걷힌 세금은 다른 정부 기관을 통해 기업에 도로 환원될 가능성이 크다”며 “세금 경쟁은 보조금과 세액 공제의 형태로 바뀌어 계속될 것”이라고 짚었다. 그는 “많은 국가가 OECD의 예상보다 적은 세금을 거둬들이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면서 되려 기업들이 비난의 대상에 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