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전공자가 아닌 분들의 교회 특송을 들을 때, 실력으론 턱없이 부족하지만 정성스레 호흡을 실어 입을 모아 부르는 노래를 듣고 있으면 그 어떤 대가의 음악보다 감동을 받는 순간이 있다. 평가가 불가능한 음악.

학기 말마다 있는 전공 실기 시험 심사를 마치고 나오면 학생들이 마치 하나같이 두 손을 모으고 멋쩍은 웃음과 함께 각자 자신의 지도교수님들을 기다리고 있다. 한 학기 동안 준비한 음악이 어땠는지, 지난 학기보다 나아졌는지, 고음은 멋졌는지, 표현은 과하지 않았는지 등 자신의 연주에 대한 피드백이 궁금하면서도 가르침대로 노래하지 못한 것 같아 죄송하다고까지 말하는 학생들도 있다.

나 역시 학창 시절 실기시험을 보고는 항상 만족하지 못하고 맘처럼 되지 않는 노래에 망연자실하며 등수로 나뉘어지는 성적에 다시 한 번 상처를 받기도 했었다.

우리는 음악마저도 1등부터 꼴등까지 줄을 세워야 하는가
성적이 올라가서 기뻐하는 학생, 반대로 성적이 내려가 눈물까지 보이는 학생들을 보며 우리나라 음악 교육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을 해보게 된다.
분야를 막론하고 예나 지금이나 일류 대학이 인생의 목표이다 보니 교육과정은 더욱 기형적으로 바뀌고 창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열린 사고는 더욱 어려워지게 되었다. 음악 역시 주입식 교육으로 오직 입시를 위한 레슨을 받고 치열한 경쟁을 어려서부터 경험하며 우월의식 또는 패배 의식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기본기를 다지기에 주입식 교육은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음악은 정답이 없다. 당연히 듣기 좋고 아름다운 음악은 있을 수 있지만 1+1=2 와 같이 정해진 답이 있는 학문이 아니다.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 있으며 음악에선 자신만의 색깔을 낼 줄 아는 것도 매우 중요한 소양인데 모두가 그저 큰 소리, 높고 화려한 음역대를 보여주기 위한 공부에만 너무 집중이 되어있는 것이 아쉬운 점이다. 현실이 이렇다보니 입시에서 아주 어려운 레퍼토리를 잘 부르던 학생을 입학 후 만나보면 아주 쉬운 곡도 어떻게 악보를 보고 혼자 연습을 해야 하는지 모르는 학생들이 너무나도 많아서 놀란 적이 여러 번이다.

나의 독일 유학 시절을 떠올려보니 입학 시험을 제외하고는 졸업 연주까지 시험이라는 제도하에 학생들의 음악을 등수로 평가하는 일이 없었다. 매 학기 각 지도교수 클래스 연주로 학생들의 기량을 보여주는 연주가 있었을 뿐 등수를 위한 음악 공부는 없었다.

엉덩이를 오래 붙히고 연습하면 당연히 연주 실력이 늘겠지만 그렇다고 꼭 그 시간에 비례해 연주 실력이 성장하는 것은 아니기에 음악이란 참 어려운 분야이다.

특히 성악은 신체 조건, 성량, 음역대, 소리의 질감 등 타고난 각각의 악기에서부터 이미 큰 차이가 날 수 있고 그런 조건과 더불어 타고난 음악성, 가사의 적절한 표현 등이 올바른 발성과 함께 요구된다. 발성에 대한 고민과 연구 그리고 연습은 당연한 숙제이나 소리에 대한 깨달음을 얻기란 말처럼 쉽지가 않은 것이다. 한마디로 득음, 즉 소리가 트이는 때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인내가 필요하다. 어느 날 무릎을 탁 치게 하는 소리의 길을 찾았다 하더라도 방심하는 순간 다시 잃게 될 수 있어 끝없는 연습과 탐구가 필요하다.

GettyImages
GettyImages
세계적으로 활동하는 한국 음악가들의 수는 물론이며 글로벌한 음악 교육을 받고 한국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선생님들도 많아진 가운데 과연 우리나라 음악 교육은 얼마나 성장해 있는걸까? 독일, 프랑스, 미국, 영국, 일본, 한국의 음악 교육에 대한 논문을 보니 유럽권 나라들은 인격 형성과 집중력, 사회성을 기르는 데에 음악 교육의 목적이 있고 역사와 더불어 교육을 하고 있는 반면 미국, 일본, 한국은 음악적 능력과 감성교육에 치중된 경향이 있다고 한다.

또한 음악 교육 목표를 우리나라는 학년에 구분 없이 한가지로 정리를 해놓은 반면 다른 나라들은 몇 개의 단계로, 또는 학년별로 구분되어 정리가 되어 있었다. 외국에서는 학생들의 성장에 따른 구체적인 음악과 목표를 제시하고 있었다.

이렇듯 우리나라는 아주 기초적인 음악 교육의 시작부터 다른 나라와 비교해 짜임새 없이 음악적 능력을 키우는 틀에 박힌 공부를 하고 있는 것이다.

GettyImages
GettyImages
나는 내가 지도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어떤 무대든 성의있게 최선을 다해 준비하고 무대 등장부터 퇴장까지가 음악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또 ‘시험’이라는 이름으로 노래를 할지라도 ‘연주’라 생각하고 무대에 임하길 바라며 시험 잘 보라는 말 대신 좋은 연주를 들려주길 바란다고 응원한다.

한국의 교육 시스템을 한 순간에 바꾸긴 매우 어렵겠지만 음악적 능력을 일등부터 꼴등까지 나열하는 음악 교육이 아닌 음악의 가치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심미적 교육으로 성장하길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