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별에게로의 망명·루브르에서 쇼팽을 듣다
▲ 별에게로의 망명 = 고원영 지음.
1941년 5월 24일 미국 미네소타주에서 태어난 로버트는 가수를 꿈꿨지만, 그의 목소리는 금속의 뾰족한 끝부분 같았다.

로버트가 학예회 때 부른 노래는 절규에 가까웠고 학부모들은 경악했다.

하지만 포크 음악을 미국에 정착시킨 우디 거스리는 청년이 된 로버트가 부족한 기타 실력과 목소리의 결함을 걱정하자 "너만의 노래를 불러라"라고 평생 기억할 잠언을 남긴다.

우디 거스리가 용기를 불어넣은 청년은 바로 밥 딜런이다.

밥 딜런, 존 바에즈, 닐 영, 제니스 조플린, 짐 모리슨, 레너드 코헨, 김정미 등은 1960·1970년대 록의 전성기를 장식했다.

[신간] 별에게로의 망명·루브르에서 쇼팽을 듣다
록은 저항과 자유에 대한 갈망과 함께 세계의 젊은이들을 매료시켰고 음악은 1970년대 암울한 한국 사회에도 위로를 건넸다.

서울 곳곳에 음악다방이 들어섰고 신청곡이 적힌 담배 은박지가 DJ에게 전달되곤 했다.

심지어 1988년 교도소 이감 중 탈출해 도피 생활을 하다 가정집에서 권총을 들고 인질극을 벌이는 장면이 TV로 생중계됐던 지강헌(1954∼1988)도 경찰에게 신청곡을 건넸다.

그가 죽음을 앞두고 들은 음악은 비지스의 '홀리데이'였다.

[신간] 별에게로의 망명·루브르에서 쇼팽을 듣다
신간 '별에게로의 망명'은 시대를 풍미했던 뮤지션이나 이들과 직간접적으로 얽힌 사건을 매개로 록의 황금기를 조명한다.

책은 록의 황금기에 청소년기를 보낸 저자의 자전적 소설과 그가 제안하는 음악 감상법을 함께 소개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구성됐다.

지유서사. 324쪽.

▲ 루브르에서 쇼팽을 듣다 = 안인모 지음.
클래식 음악을 들으면서 그림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이다.

피아니스트이면서 클래식 연구가인 저자는 일과 꿈, 성장, 사랑과 이별, 인간관계, 휴식과 위로, 아픔과 소멸 등 가지 주제로 그림과 클래식을 함께 소개한다.

[신간] 별에게로의 망명·루브르에서 쇼팽을 듣다
예를 들면 프랑스 작곡가 다리우스 미요의 모음곡 '스카라무슈'(1937)와 프랑스 화가 에두아르 마네가 19세기 말에 그린 것으로 알려진 작품 '카페 콩세르의 한구석'을 묶어 시원한 맥주 한잔을 권한다.

'카페 콩세르의 한구석'에는 공연을 즐기는 손님들 사이로 맥주가 담긴 큰 잔을 들고 이동하는 종업원의 모습이 담겨 있다.

큐알코드를 이용해 각 장에 실린 곡을 유튜브로 들을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지식서재. 396쪽.
[신간] 별에게로의 망명·루브르에서 쇼팽을 듣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