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근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8개 전기로 제강사들의 고철(철스크랩) 재고 감소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철근의 원재료인 고철 가격마저 연중 최저점을 기록한 가운데 가격 반등을 전망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제강사 고철, 재고바닥권 90만t 뚫렸다…"가격 반등 조짐"
4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12월 넷째 주 기준 8개 제강사의 철스크랩(고철) 보유 재고 총량은 88만4000t으로 1달 전보다 12만5000t, 12.7% 적게 집계됐다. 업계의 고철 재고의 ‘심리지표’로 여겨지는 90만t이 뚫리면서 제강사들의 고철 매입 ‘눈치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고철값 반등의 신호탄이 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제강사들은 업계 평균 90만t 재고가 초과하면 고철을 더 살 필요 있다고 인지한다”며 “현재 고철 납품업체가 가격을 우후죽순으로 올려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제강사 고철, 재고바닥권 90만t 뚫렸다…"가격 반등 조짐"
제강사들의 고철 가격마저 저점에 가까워 고철값을 부채질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023년 고철 평균 가격 (영남지역 중량 A 기준)은 연초 50만원 선에서 8월 들어 45만원 선이 뚫리더니 12월 40만원 선까지 빠지며 2023년 연중 최저점을 찍었다. 연초인 1~2월은 3월 본격적인 건설 착공 물량 대응을 위해 구매량을 늘리는 시점이다. 또 올해 현대제철은 충남 당진 열연공장에서 150t 전기로 가동을 앞두고 있어 고철값이 상승 전환이 전망된다.

국내 고철 자급률이 충분하지 않은 점도 변수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고철 자급률은 80% 안팎인데 지난 몇 년 사이 들어 점점 줄어드는 추세”라며 “일본과 미국 등 수입 고철도 각국의 수출제한 조치로 고철이 갈수록 귀한 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강미선 기자 misunn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