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드라마 ‘고독한 미식가’의 원작자인 구스미 마사유키가 최근 도쿄 기치조지에서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일본 드라마 ‘고독한 미식가’의 원작자인 구스미 마사유키가 최근 도쿄 기치조지에서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고독한 미식가’ 주인공의 원래 모델은 여성이었어요. 하지만 남성으로 바꿀 수밖에 없었죠. 원작을 처음 그릴 때(1994년)만 해도 여성이 혼밥하는 시대가 아니었으니까요.”

윤석열 대통령이 “꼭 챙겨 본다”고 말해 화제가 된 일본 드라마 ‘고독한 미식가’. 드라마의 원작자인 구스미 마사유키는 최근 도쿄 기치조지에서 한국경제신문과 한 인터뷰에서 “작품을 만들면서 사회적인 의미를 생각하지 않고 오직 재미만 추구한다”고 했다.

하지만 그가 그린 배경과 인물 설정, 대사 한 줄, 인터뷰에서의 답변 한마디 한마디에는 지난 30년간 일본이 경험한 사회·경제적 서사가 진하게 녹아 있었다. 구스미 작가도 인터뷰 내내 “그러고 보니 그렇네요”를 연발했다.

▷한국에선 중년 남성의 혼밥이 생소했습니다.

“일본은 거꾸로 중년 남성이니까 혼밥을 합니다. ‘고독한 미식가’를 처음 그릴 때 일본은 여성의 혼밥이 확실히 없었어요. 소바나 라멘, 규동 집은 여자 혼자 가는 데가 아니었죠.”(일본 최초의 규동 체인인 요시노야에 따르면 10년 전 매장 고객은 거의 100% 남성이었다. 현재는 고객의 30%가 여성이다.)

▷일본인은 주인공과 달리 적게 먹는데요.

“그건 출연한 가게의 요리를 다양하게 소개하기 위한 드라마상의 설정이죠. 거꾸로 한국에 가보니 양이 많아서 정말 놀랐어요. 이건 이노가시라 고로(‘고독한 미식가’의 주인공)라도 먹을 수 있는 양이 아니던데요. 게다가 반찬 등이 얼마든지 리필이 되잖아요.”

▷주인공이 직장인치고 밥값을 많이 씁니다.

“대신 술을 안 마시잖아요. 그 점을 감안하면 점심값으로 3000~4000엔(약 2만7600~3만6800원) 정도는 괜찮죠. 주인공은 먹는 양이 적은 저의 동경을 투영한 인물이에요. 대신 대식가지만 술은 못 마시는 약점을 부여했습니다.”

▷주량이 어떻게 됩니까.

“마감하고 생맥주 한 잔 정도입니다. 물론 소주도 마시지만 마감이 끝나면 밤이 늦어서 그렇게 많이 마시지 못해요. 대신 여행 가면 꽤 마십니다. 얼마 전에도 도야마현에 가서 혀가 꼬이도록 마셨어요.”

▷SNS로 연결된 현대인이 오히려 혼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그건 유행의 측면이 크다고 봅니다. 전 거창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한 프랑스 미디어는 인터뷰에서 드라마 장면을 들며 ‘여기서 혼자서 우동을 먹는 게 왜 맛있나요. 자신과 마주해서입니까’라고 묻더라고요. ‘아니요, 저는 우동과 마주하고 우동을 먹고 있는데요’라고 답할 수밖에요.”

▷거품 경제 붕괴 때 맛집을 찾는 붐이 생겼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고독한 미식가’를 처음 썼을 때가 일본에서 처음 맛집 붐이 일어났을 때이긴 해요. 그래도 전 그런 조류와 관계가 없었어요. 맛집, 여자친구에게 점수 따는 레스토랑 같은 거 전혀 몰랐어요.”

▷경기와 혼밥은 비례관계인 걸까요.

“요코초(작은 술집·식당이 밀집한 좁은 골목길)는 싸니까 경기가 나빠지면 번성할 수 있겠네요. 경기가 엉망이면 서민 식당을 가게 되지, 비싸고 근사한 데 돈을 쓸 수 없잖아요.”

▷주인공이 ‘맛집이 어딨는지 모를 때는 강변으로 가라’고 했습니다.

“저의 맛집 찾는 요령이나 법칙이라기보다 일종의 감이에요. 도쿄 아카바네는 큰 강을 사이에 두고 사이타마현과 경계를 이루는데요. 이런 접점 같은 곳에 흥미로운 마을이 있죠. 다리가 없던 시절 큰 비로 발이 묶인 사람들이 모이면 자연스럽게 가게가 생기고, 그 가게들이 노포(老鋪)가 되니까요.”

▷윤 대통령의 언급으로 화제가 됐습니다.

“깜짝 놀랐습니다. 대식가답게(지난해 3월 한·일 정상회담을 위해) 일본에 오셔서도 엄청 많이 드셨더라고요.”

▷한·일 관계 개선에 공헌했습니다.

“맛있는 거 먹으면서 싸우는 사람은 없지 않나요. 상대국의 맛있는 요리를 먹으면서 그 나라 험담하려는 생각은 안 들잖아요.”

▷작년 한국을 방문했습니다. 한국의 혼밥 사정은 어땠습니까.

“혼자 앉을 수 있는 카운터석이 별로 없더라고요. 단골 이자카야에서 친해진 한국인 학생은 서울의 식당에서 ‘혼밥 손님은 매출에 도움이 안 돼’라는 소리를 듣는 게 정말 싫었다더군요. 만화가 허영만 화백도 혼자 식당에 갔을 때 ‘2인분부터 주문 받습니다’라는 소리를 듣는 게 싫다더군요.”

▷혼밥을 못 먹는 한국인이 많습니다.

“머릿속으로 이노가시라 고로가 됐다고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직장 상사 등에게서 ‘고로가 돼 거기 가서 먹어보고 와’라는 명령을 받은 셈 치고요. 가게 주인한테 혼나더라도 그거대로 좋은 체험이겠죠.”

▷본인은 혼밥을 먹을 때 어땠습니까.

“처음 혼밥을 한 19세 때는 저도 무서웠어요. 하지만 가게 주인도 가게 문을 열고 누가 들어올지 모르니 무섭긴 마찬가지예요. 그렇게 생각하면 혼술, 혼밥에 대한 생각이 바뀌게 됩니다.”

▷일본의 중년 남성 관광객이 한국에서 혼밥에 도전할 수 있을까요.

“스마트폰 번역기가 있잖아요. 요즘엔 한국도 가게 밖에 요리 사진과 가격을 붙여 놔서 어떤 가게인지 알기 쉬워졌어요. 1985년 처음 한국에 갔을 때 ‘맥주’라는 단어만 알고 가게에 들어갔어요. 메뉴판에서 읽을 수 있는 게 없으니 정말 용기를 내야 했지만 매우 즐거웠어요.”

▷‘고독한 미식가’가 현지의 명물 요리를 소개하지 않는다는 아쉬움도 있습니다.

“그럴 땐 넘쳐나는 맛집 프로그램을 보면 되죠. ‘고독한 미식가’는 맛집 소개에서 가장 멀어져야 할 드라마입니다.”

▷서울 부산 전주의 식당들이 ‘고독한 미식가’에 등장했습니다. 또 다른 한국 지역이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까.

“있습니다. 아직 어디일지는 몰라도요. 여전히 모르는 도시와 현지 문화, 먹거리가 가득 있으니까요.”
‘고독한 미식가’의 주인공 이노가시라 고로 역의 마쓰시게 유타카가 식사하는 장면.
‘고독한 미식가’의 주인공 이노가시라 고로 역의 마쓰시게 유타카가 식사하는 장면.

"술·안주 먹는 순서도 정반대…韓·日 요리문화 차이 커 재밌다"

구스미 마사유키는 “한국과 일본은 이웃 나라인데도 의외로 요리 문화의 차이가 크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한국인의 채소 섭취량을 놀라워했다.

구스미는 “한국 요리는 고기, 생선 가릴 것 없이 채소를 가득 곁들여 먹는 게 정말 부럽다”고 했다. 홍어나 오징어 제육볶음같이 해산물과 육류, 야채를 한 번에 먹는 한국 식문화에 대해서도 “일본은 통상 회와 고기를 같이 먹지 않는다”고 했다.

복어 요리도 한국과 일본 간 차이가 큰 사례로 소개했다. 구스미는 “서울 무교동의 한 복집에서는 큼직한 복어껍질을 구워 먹는다”며 “일본은 복어껍질 무침은 먹어도 복어껍질을 정식 메뉴로 먹진 않는다”고 했다. 그는 “에도시대부터 복어 독 없애는 기술을 터득한 이시카와현은 일본에서 유일하게 독성이 가장 강한 난소를 맛볼 수 있는 곳”이라고 말했다.

주류 문화의 차이도 언급했다. 한국은 술을 먹고 안주를, 일본은 안주부터 먹고 술을 곁들이는 문화에 대해 “일본은 독주를 마시는 습관이 없기 때문인 것 같다”고 말했다.

구스미 마사유키는…작가·음악가 '팔방미인'

1958년 일본 도쿄도 미타카시에서 태어나 옆 동네인 기치조지에서 평생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노가시라 고로’라는 ‘고독한 미식가’의 주인공 이름도 원작을 그릴 때 살던 집 주소 ‘기치조지 이노가시라 5번지(일본어로 고로)’에서 땄다.

호세이대 사회학부를 졸업한 뒤 1981년 단편만화 ‘야행’으로 데뷔했다. ‘고독한 미식가’는 1994~1996년 연재한 작품이다. 원작이 10년이 지나 다시 인기를 끌면서 2012년 드라마로도 제작됐다.

에세이 작가와 책 디자이너, 음악가이기도 하다. 18세 때 결성한 밴드 스크린톤스에서 지금까지 활동하고 있다. ‘고독한 미식가’에 매 시즌 40~50곡씩 사용되는 배경음악은 모두 스크린톤스의 곡이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