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조주완 "올해 10조 투입해 '한계 돌파'…질적 성장 가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라스베이거스서 기자간담회…한계 돌파 전략 밝혀
'2030 미래비전' 가속화…경쟁력 강화에 연간 10조 투입
'2030 미래비전' 가속화…경쟁력 강화에 연간 10조 투입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는 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경영방침으로 '한계 돌파'를 제시했다. '2030 미래비전' 가속화를 위한 사업 전략을 소개하고 올해 경쟁력 강화를 위해 10조원의 재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조 CEO는 "시장·공급망 불확실성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나 △탈탄소화(Electrification) △서비스화(Servitization) △디지털화(Digitalization) 등의 변곡점 또한 명확해지고 있어 기회와 위기가 공존하는 상황”이라며 “어려운 상황도 반드시 이겨 나가는 성공정신(Winning Spirit)을 기반으로 실질적 성과를 만들어 과정을 증명하는 고성과 조직으로의 변화를 통해 사업의 한계를 돌파하고 질(質)적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가 새로운 변화와 도약을 위한 방향타 설정을 완료한 해였다면, 2024년은 본격 ‘엑셀러레이터(가속 페달)’를 밟아 나가겠다"며 "2030 미래비전은 단순 구호가 아니라 시장과 고객들과의 약속인 만큼 전 구성원들의 힘을 모아 반드시 달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전자의 '2030 미래비전'은 홈, 커머셜, 모빌리티, 가상공간 등 사용자의 삶이 있는 다양한 공간에서 경험을 연결, 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변화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우선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전략적 우선순위에 기반해 투자를 확대, 미래 성장동력을 극대화해 나간다. 신규투자는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늘린다. 올해 신규투자와 연구개발비용을 더한 미래 경쟁력 강화 투입액은 10조원이 예상된다.
투자는 주로 전장, HVAC(냉난방공조), 빌트인, 사이니지 등 B2B 사업이나 웹(web)OS 플랫폼 사업과 같이 고성장·고수익 핵심 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전기차 충전, 로봇 등 규모감 있는 사업으로 육성이 가능한 유망 영역에도 투자를 이어간다. LG전자는 포트폴리오 전환과 사업의 질적 성장을 위해 2030년까지 50조원 이상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내부 성장동력에 기인한 전략 외에도 인수합병(M&A), 파트너십 등 외부 성장(Inorganic)의 기회 또한 적극 모색한다. 최근 조직개편에서 신설한 해외영업본부 또한 한계 돌파를 위한 복안이다. 해외영업본부는 LG전자 전체 매출의 3분의 2가량을 책임진다. 지역과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특화 전략을 수립해 실행하며 해외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해외 사업역량을 강화하고 상향 평준화시켜 이기는 성장을 주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지난해 LG전자는 B2B 사업 성장에 힘입어 펜트업(Pent-Up·위축된 경제활동이 해소됨) 당시에 버금가는 경영실적을 기록했다. 최근 5년간 B2B 사업 연평균성장률(CAGR)은 두 자릿수를 넘어섰다. 같은 기간 전체 매출 연평균성장률은 8%대 수준이다.
전장 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는 사업 10년 만에 연간 매출액 10조 원을 달성하며 LG전자 주력 사업으로 부상했다. 향후 VS사업본부 성장동력인 전기차 전환 및 고부가 전장부품 수요 증가 또한 지속 기대된다.
LG전자는 모터, 컴프레서 등 핵심부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제품 라인업을 적극 확대한다. 미국 알래스카 히트펌프 연구소에 이어 올해는 유럽 연구개발기지 구축에도 나선다. 실외공기전담공조시스템(DOAS: Dedicated Outdoor Air System) 등 공조 제품 기반 인접 영역으로 사업 확대도 적극 추진한다.
성숙사업으로 평가받던 제품 중심 가전, TV 사업에 콘텐츠·서비스, 구독 등 Non-HW 영역을 결합하는 사업모델 혁신에도 속도를 낸다. HE사업본부가 지향점을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플랫폼 기업으로 하고 스마트 TV 운영체제 webOS 플랫폼 사업을 가속화한다. LG전자는 외부 TV 업체뿐 아니라 스마트모니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등으로 webOS 생태계를 확장해 플랫폼 사업의 모수(母數)를 빠르게 늘린다. webOS 플랫폼 사업은 올해 조(兆) 단위 매출액의 규모감 있는 사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생활가전 사업 또한 서비스·구독의 신규 영역을 결합한 스마트 홈 솔루션 사업을 펼쳐 나가고 있다. 가전제품이 제공하는 기능 영역만으로는 커버하기 어려웠던 ‘가사해방을 통한 삶의 가치 제고(Zero Labor Home, Makes Quality Time)’가 최종 목표다.
제품과 생활서비스를 결합한 구독 사업은 지난해 냉장고, TV 등 대형 가전으로 품목을 본격 확장하고 있다. 기존 소형 가전 위주였던 국내 구독사업에서 대형 가전이 매출 기준 30%를 돌파했다. 국내 가전 매출에서 구독 사업의 비중은 15%를 넘어섰다. 아시아 국가를 시작으로 구독 사업의 해외 확대도 본격화해 나간다.
조 CEO는 임직원들과 소통시 미국의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의 격언 ‘Culture eats strategy for breakfast(문화는 아침식사로 전략을 먹는다)’를 언급하곤 한다. 좋은 전략을 성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강력한 조직문화가 필수적이라는 신념에서다.
최근 임직원 대상 신년사에서 강조한 고성과 조직으로 변화도 이와 궤를 같이한다. 조 CEO는 신년 메시지에서 목표는 명확하고, 실행 속도는 빠르고, 과정은 완벽하며, 성과에 따른 보상과 어려운 상황도 이겨 나가는 성공정신(Winning Spirit)을 갖춘 조직으로의 변화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브랜드 슬로건인 ‘Life’s Good’ 메시지를 기반으로 마케팅, ESG, CSR 등 다양한 통합 브랜드 활동 또한 올해부터 본격 확대해 나간다. 라이프스 굿(Life’s Good)의 가치와 철학을 알리고 브랜드에 젊음과 역동성을 강화한다. 조 CEO는 지난해 임직원 소통 행사에서 "과감한 도전과 끊임없이 혁신을 만들어가는 '담대한 낙관주의자(Brave Optimist)'가 되자"고 강조한 바 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조 CEO는 "시장·공급망 불확실성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나 △탈탄소화(Electrification) △서비스화(Servitization) △디지털화(Digitalization) 등의 변곡점 또한 명확해지고 있어 기회와 위기가 공존하는 상황”이라며 “어려운 상황도 반드시 이겨 나가는 성공정신(Winning Spirit)을 기반으로 실질적 성과를 만들어 과정을 증명하는 고성과 조직으로의 변화를 통해 사업의 한계를 돌파하고 질(質)적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가 새로운 변화와 도약을 위한 방향타 설정을 완료한 해였다면, 2024년은 본격 ‘엑셀러레이터(가속 페달)’를 밟아 나가겠다"며 "2030 미래비전은 단순 구호가 아니라 시장과 고객들과의 약속인 만큼 전 구성원들의 힘을 모아 반드시 달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전자의 '2030 미래비전'은 홈, 커머셜, 모빌리티, 가상공간 등 사용자의 삶이 있는 다양한 공간에서 경험을 연결, 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변화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미래 경쟁력 강화에 연 10조 투입…신규투자 2배 확대
LG전자는 올해 경영방침의 키워드로 ‘한계 돌파’를 내세운다. ‘Where to Play(전략)’ 관점에서 기업간거래(B2B), 비하드웨어(Non-HW) 사업, 신사업 육성 등 세 가지 중점 영역 설정을 완료한 만큼, 올해는 ‘How to Win(실행)’ 관점에서 사업 잠재력 극대화한다.우선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전략적 우선순위에 기반해 투자를 확대, 미래 성장동력을 극대화해 나간다. 신규투자는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늘린다. 올해 신규투자와 연구개발비용을 더한 미래 경쟁력 강화 투입액은 10조원이 예상된다.
투자는 주로 전장, HVAC(냉난방공조), 빌트인, 사이니지 등 B2B 사업이나 웹(web)OS 플랫폼 사업과 같이 고성장·고수익 핵심 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전기차 충전, 로봇 등 규모감 있는 사업으로 육성이 가능한 유망 영역에도 투자를 이어간다. LG전자는 포트폴리오 전환과 사업의 질적 성장을 위해 2030년까지 50조원 이상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내부 성장동력에 기인한 전략 외에도 인수합병(M&A), 파트너십 등 외부 성장(Inorganic)의 기회 또한 적극 모색한다. 최근 조직개편에서 신설한 해외영업본부 또한 한계 돌파를 위한 복안이다. 해외영업본부는 LG전자 전체 매출의 3분의 2가량을 책임진다. 지역과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특화 전략을 수립해 실행하며 해외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해외 사업역량을 강화하고 상향 평준화시켜 이기는 성장을 주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연평균 성장률 7%' '영업이익률 7%' '기업가치 7배' 목표
LG전자는 △B2B(성장 주도) △Non-HW 사업모델(고수익 사업 구축) △신사업(기업가치 제고)을 중점 추진하며 ‘트리플 7(CAGR 및 영업이익률 7%, 기업가치 7배)’ 달성을 목표로 한다.지난해 LG전자는 B2B 사업 성장에 힘입어 펜트업(Pent-Up·위축된 경제활동이 해소됨) 당시에 버금가는 경영실적을 기록했다. 최근 5년간 B2B 사업 연평균성장률(CAGR)은 두 자릿수를 넘어섰다. 같은 기간 전체 매출 연평균성장률은 8%대 수준이다.
전장 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는 사업 10년 만에 연간 매출액 10조 원을 달성하며 LG전자 주력 사업으로 부상했다. 향후 VS사업본부 성장동력인 전기차 전환 및 고부가 전장부품 수요 증가 또한 지속 기대된다.
LG전자는 모터, 컴프레서 등 핵심부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제품 라인업을 적극 확대한다. 미국 알래스카 히트펌프 연구소에 이어 올해는 유럽 연구개발기지 구축에도 나선다. 실외공기전담공조시스템(DOAS: Dedicated Outdoor Air System) 등 공조 제품 기반 인접 영역으로 사업 확대도 적극 추진한다.
성숙사업으로 평가받던 제품 중심 가전, TV 사업에 콘텐츠·서비스, 구독 등 Non-HW 영역을 결합하는 사업모델 혁신에도 속도를 낸다. HE사업본부가 지향점을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플랫폼 기업으로 하고 스마트 TV 운영체제 webOS 플랫폼 사업을 가속화한다. LG전자는 외부 TV 업체뿐 아니라 스마트모니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등으로 webOS 생태계를 확장해 플랫폼 사업의 모수(母數)를 빠르게 늘린다. webOS 플랫폼 사업은 올해 조(兆) 단위 매출액의 규모감 있는 사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생활가전 사업 또한 서비스·구독의 신규 영역을 결합한 스마트 홈 솔루션 사업을 펼쳐 나가고 있다. 가전제품이 제공하는 기능 영역만으로는 커버하기 어려웠던 ‘가사해방을 통한 삶의 가치 제고(Zero Labor Home, Makes Quality Time)’가 최종 목표다.
제품과 생활서비스를 결합한 구독 사업은 지난해 냉장고, TV 등 대형 가전으로 품목을 본격 확장하고 있다. 기존 소형 가전 위주였던 국내 구독사업에서 대형 가전이 매출 기준 30%를 돌파했다. 국내 가전 매출에서 구독 사업의 비중은 15%를 넘어섰다. 아시아 국가를 시작으로 구독 사업의 해외 확대도 본격화해 나간다.
'고객 중심 경영' 체계 고도화…DX 전환도 가속화
LG전자는 소비자들에게 F.U.N.(First, Unique, New) 경험을 제공하고 이를 경영성과로 연결해 나가는 ‘고객 중심 경영체계’를 더욱 고도화한다. 일부 전문조직이 중심으로 실행해 온 디지털전환(DX)을 모든 조직과 구성원을 대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대규모 정보기술(IT) 투자도 단행한다. 회사는 전사 업무프로세스 및 시스템을 통합, 연계하는 전사자원관리(ERP)의 차세대 ‘N-ERP(Next ERP)를 구축하고 있다. 소비자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플랫폼인 ‘IC 360(Intellytics Customer 360)’도 올해부터 글로벌 전 지역으로 확대한다. LG전자가 지난해 각 밸류체인에 DX를 접목해 개선해 낸 생산성과 효율성은 금액으로 환산시 3000억원에 이른다.조 CEO는 임직원들과 소통시 미국의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의 격언 ‘Culture eats strategy for breakfast(문화는 아침식사로 전략을 먹는다)’를 언급하곤 한다. 좋은 전략을 성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강력한 조직문화가 필수적이라는 신념에서다.
최근 임직원 대상 신년사에서 강조한 고성과 조직으로 변화도 이와 궤를 같이한다. 조 CEO는 신년 메시지에서 목표는 명확하고, 실행 속도는 빠르고, 과정은 완벽하며, 성과에 따른 보상과 어려운 상황도 이겨 나가는 성공정신(Winning Spirit)을 갖춘 조직으로의 변화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브랜드 슬로건인 ‘Life’s Good’ 메시지를 기반으로 마케팅, ESG, CSR 등 다양한 통합 브랜드 활동 또한 올해부터 본격 확대해 나간다. 라이프스 굿(Life’s Good)의 가치와 철학을 알리고 브랜드에 젊음과 역동성을 강화한다. 조 CEO는 지난해 임직원 소통 행사에서 "과감한 도전과 끊임없이 혁신을 만들어가는 '담대한 낙관주의자(Brave Optimist)'가 되자"고 강조한 바 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