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 업종 대출 연체율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자산 건전성이 취약한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상당 기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5일 한국은행이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금융업권별 건설·부동산업 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비은행권(저축은행·보험사·여신전문금융회사·새마을금고 제외 상호금융조합 합산)의 부동산 대출 잔액은 193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년 전(155조원)보다 24.9% 급증했다. 비은행권의 건설 대출 잔액은 지난해 3분기 62조1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24.2% 늘었다.

문제는 부동산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비은행권의 대출 건전성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기준 각각 5.51%, 3.99%를 기록했다. 2015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가장 높았다. 지난해 3분기(1.77%, 1.55%)와 비교하면 1년 새 각각 3.1배, 2.6배 뛰었다. 비은행권의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각각 7.34%, 5.97%에 달했다.

금융권에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위기가 비은행권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한은은 작년 말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건설·부동산업 연체가 꾸준히 발생하면서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며 “연체율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경고했다. 한은은 금융안정 보고서에서도 “부실자산 상각·매각 등을 통한 관리에 소극적으로 임하면 부실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태영건설이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을 시작하면서 당장 큰불은 껐지만 부동산 PF 구조조정을 더 이상 미뤄선 안 된다는 지적이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건설사가 연쇄 도산하면 이들에 대출해준 금융회사도 위기에 처할 수 있다”며 “브리지론에서 본PF로 넘어가지 못한 사업장은 토지 경·공매를 통해 옥석 가리기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