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부산이전 10년] ② '경제 안전판' 한국자산관리공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4년 부산으로 이전…법정 자본금 7조원, 투자규모 1조원
부산 인재 채용비율 최고 38%…청년과 공유하는 사택도 건립
[※ 편집자 주 = 2014년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준공과 함께 이뤄진 금융기관들의 부산 이전이 올해로 10년째가 됩니다.
연합뉴스는 2005년부터 부산에 먼저 자리를 잡아 금융기관 이전의 선도모델이 된 한국거래소와 함께 2014년 부산으로 이전한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예탁결제원 등의 역할과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루는 기사를 5편으로 나눠 송고합니다.
]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캠코)는 1962년 국내 최초 부실채권 전문관리기관으로 출범했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국제적인 경제위기마다 공적기금이나 배드뱅크 운영으로 위기를 돌파하는 특급 소방수 역할을 해왔다.
가계 부문에서 부실채권 적기 인수와 채무조정 지원으로 금융회사의 건전성 제고와 취약층의 경제적 재기를 돕는다.
기업 부문에서는 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에서 투자매칭 지원, 기업지원 펀드와 부실채권(NPL) 펀드 참여 등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는 중소·회생기업의 재기를 지원한다.
또 국·공유 재산의 관리와 개발을 맡는 등 법정 자본금 7조원, 투자규모 1조원 이상인 정책금융기관으로 국민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한다.
특히 지난해부터 새출발기금, 기업구조혁신펀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 등 정부 정책사업의 파트너가 되고 있다.
지난해 부산, 울산, 경남지역 금융취약계층의 재기를 돕기 위해 26개 금융기관에서 부실채권 7천28억원을 인수하고, 7천200여명의 금융소외자와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2천500억원이 넘는 채무 감면 또는 조정을 지원했다.
부울경 중소·회생기업에 적기에 자금을 공급하고 해운업계의 재무구조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약 5천700억원을 지원하기도 했다.
2014년 12월 부산으로 이전한 캠코의 본사 직원은 598명에서 807명으로 늘었다.
부산지역본부 직원을 포함하면 부산에 근무하는 임직원은 903명이다.
캠코는 매년 정부가 정한 비율 이상으로 부산지역 인재를 채용하고 있는데 2022년과 지난해에는 지역인재 채용 비율이 각각 38.4%와 34.2%를 기록했다.
또 매년 체험형 인턴과 일경험 프로그램인 현장실습생 제도를 운용해 지역 인재의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BNK부산은행과는 지역 대학생들의 교류와 경제지식, 취업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지역특화 산학협력 프로젝트 '버프(BUFF)'를 운영하고, 지역 대학과 대학생 연구협력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캠코는 2020년 부산 연제구 옛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을 나라키움 부산통합청사로 개발했고, 옛 동남지방통계청 건물을 리모델링해 정보통신기술(ICT) 스타트업의 창업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옛 부산 남부경찰서 부지에 캠코 신규 채용 직원과 부산지역 청년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사택 '캠코 청년 공유형 사택'을 건립해 25실을 지역 대학생 등 청년 주거 공간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지난해 12월에는 부산시와 부산여성플라자 위탁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캠코는 또 안전한 통학로 만들기와 다문화학교 지원, 청소년 직장체험 프로그램 등 교육복지 성과를 인정받아 9년 연속 부산 교육 메세나탑을 수상하기도 했다.
캠코 관계자는 16일 "부산 이전 10주년을 맞는 캠코는 위기 가계와 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국민 편익 증대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으로 부산 경제 활성화를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부산 인재 채용비율 최고 38%…청년과 공유하는 사택도 건립
[※ 편집자 주 = 2014년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준공과 함께 이뤄진 금융기관들의 부산 이전이 올해로 10년째가 됩니다.
연합뉴스는 2005년부터 부산에 먼저 자리를 잡아 금융기관 이전의 선도모델이 된 한국거래소와 함께 2014년 부산으로 이전한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예탁결제원 등의 역할과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루는 기사를 5편으로 나눠 송고합니다.
]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캠코)는 1962년 국내 최초 부실채권 전문관리기관으로 출범했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국제적인 경제위기마다 공적기금이나 배드뱅크 운영으로 위기를 돌파하는 특급 소방수 역할을 해왔다.
가계 부문에서 부실채권 적기 인수와 채무조정 지원으로 금융회사의 건전성 제고와 취약층의 경제적 재기를 돕는다.
기업 부문에서는 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에서 투자매칭 지원, 기업지원 펀드와 부실채권(NPL) 펀드 참여 등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는 중소·회생기업의 재기를 지원한다.
또 국·공유 재산의 관리와 개발을 맡는 등 법정 자본금 7조원, 투자규모 1조원 이상인 정책금융기관으로 국민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한다.
특히 지난해부터 새출발기금, 기업구조혁신펀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 등 정부 정책사업의 파트너가 되고 있다.
지난해 부산, 울산, 경남지역 금융취약계층의 재기를 돕기 위해 26개 금융기관에서 부실채권 7천28억원을 인수하고, 7천200여명의 금융소외자와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2천500억원이 넘는 채무 감면 또는 조정을 지원했다.
부울경 중소·회생기업에 적기에 자금을 공급하고 해운업계의 재무구조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약 5천700억원을 지원하기도 했다.
2014년 12월 부산으로 이전한 캠코의 본사 직원은 598명에서 807명으로 늘었다.
부산지역본부 직원을 포함하면 부산에 근무하는 임직원은 903명이다.
캠코는 매년 정부가 정한 비율 이상으로 부산지역 인재를 채용하고 있는데 2022년과 지난해에는 지역인재 채용 비율이 각각 38.4%와 34.2%를 기록했다.
또 매년 체험형 인턴과 일경험 프로그램인 현장실습생 제도를 운용해 지역 인재의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BNK부산은행과는 지역 대학생들의 교류와 경제지식, 취업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지역특화 산학협력 프로젝트 '버프(BUFF)'를 운영하고, 지역 대학과 대학생 연구협력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캠코는 2020년 부산 연제구 옛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을 나라키움 부산통합청사로 개발했고, 옛 동남지방통계청 건물을 리모델링해 정보통신기술(ICT) 스타트업의 창업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옛 부산 남부경찰서 부지에 캠코 신규 채용 직원과 부산지역 청년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사택 '캠코 청년 공유형 사택'을 건립해 25실을 지역 대학생 등 청년 주거 공간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지난해 12월에는 부산시와 부산여성플라자 위탁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캠코는 또 안전한 통학로 만들기와 다문화학교 지원, 청소년 직장체험 프로그램 등 교육복지 성과를 인정받아 9년 연속 부산 교육 메세나탑을 수상하기도 했다.
캠코 관계자는 16일 "부산 이전 10주년을 맞는 캠코는 위기 가계와 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국민 편익 증대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으로 부산 경제 활성화를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