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보다 금리 인상 시작 늦었던 유로존은 '아직'
IMF 부총재 "미 금리 인상 효과 75% 나타나…연착륙 가능성↑"
기준금리 인상 효과가 실제 나타나기까지 걸리는 시차가 정책 결정 시 주요 고려 요소로 꼽히는 가운데, 미국의 금리 인상 효과가 이미 75%가량 경제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는 국제통화기금(IMF) 평가가 나왔다.

기타 고피나트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부총재는 16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관련 행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경제 회복력이 컸음을 인정해야 한다"면서 "미국의 경우 (금리 인상 효과의) 전달이 75%가량 진행됐고 나머지는 올해에 이뤄질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2022년 초까지만 해도 0.25%였던 기준금리 상단을 지난해 7월 5.5%까지 끌어올렸고, 이 과정에서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지난해 6월 고점인 9.1%에서 지난달 3.4%로 내려왔다.

미국 경제는 당초 침체 우려와 달리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2.6%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며, 지난달 실업률은 3.7%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그는 "노동시장이 둔화하고 있지만 훨씬 더 완만한 속도다.

이 때문에 (침체 없이 물가가 안정되는) 연착륙 시나리오 가능성이 크게 올라갔다"면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경제활동에 큰 손실을 주지 않고 하락했다"고 밝혔다.

고피나트 부총재는 유로존의 경우 미국보다 기준금리 인상 시작 시점이 늦었던 만큼 아직 그동안의 금리 인상 효과가 더 있을 것으로 봤다.

유로존은 2022년 7월 기준금리 인상에 돌입했으며, 미국과 달리 지난해 4분기에 이미 경기침체에 빠진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프랑수아 빌르루아 드갈로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는 이날 정책 효과가 나타나기까지의 시차를 첫 단계인 금리 결정에서 금융 여건까지, 두 번째 단계인 금융 여건에서 실물경제까지로 세분했다.

그는 "첫 번째 시차의 경우 전달이 거의 끝났다고 본다"면서 "유럽에서 핵심은 은행을 통한 전달이다.

유럽에서는 은행을 통한 신용 경로가 3분의 2 혹은 4분의 3으로 미국보다 훨씬 많다"고 말했다.

이어 "두 번째 시차는 더 어렵다.

평가가 훨씬 어렵고 다양한 섹터에 강력히 의존한다"면서 "예를 들어 부동산 부문은 금리에 매우 민감한 만큼 이미 (정책 효과가) 대부분 전달됐다고 보지만 다른 부문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