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635억달러, 2024년 6787억달러….’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가트너가 집계 및 추정한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 규모다. 올해 클라우드 시장이 작년보다 20% 성장해 6787억달러(약 900조원) 규모로 팽창한다는 것이다. 클라우드는 앱 개발,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 사내 업무 시스템 등 기업 운영에 필요한 업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인터넷상 가상화된 서버에 프로그램을 두고 필요할 때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불러와 사용할 수 있다.

값비싼 서버와 하드웨어, 운영 프로그램을 직접 구매하지 않고 빌려 쓰는 기업이 늘면서 클라우드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다. 가트너는 2027년까지 전 세계 기업의 70% 이상이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이용률이 15%인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시장 규모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빅테크들은 기업에 최적화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앞다퉈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하고 있다. 핵심 키워드는 ‘쉽고, 간편하고, 빠르게’다. 챗봇과 코딩 없이도 나만의 앱을 만들 수 있는 기술, 멀티모달 기능 등을 클라우드에 추가하고 있다.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이 클라우드 인프라 확충에 집중 투자하면서 진입장벽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AI 후발주자’ 아마존, 가성비 챗봇 출시

생성 AI가 불 지폈다…클라우드 3강, 900조원 시장 놓고 격돌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1위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지난달 초 새 기업용 AI 챗봇 ‘큐(Q)’를 공개했다. 큐는 아마존의 자체 대규모언어모델(LLM)과 오픈AI의 대항마로 꼽히는 앤스로픽의 ‘클로드2’, 메타의 오픈소스 AI인 ‘라마2’ 등을 바탕으로 운영된다.

큐는 문서 요약, 데이터 분석, 자료 생성 등 다른 빅테크들이 클라우드 서비스에도 운영하는 챗봇과 비슷한 기능을 한다.

생성형 AI 열풍에서 한 걸음 뒤처져 있던 아마존이 기업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내세운 전략은 ‘가성비’다. 월 사용료를 1인당 20달러로 책정했다. 1인당 30달러인 MS와 구글의 기업용 AI 챗봇보다 저렴하다.

AWS가 내세운 또 다른 장점은 개방성이다. 애덤 셀립스키 AWS 최고경영자(CEO)는 “‘MS 365’ ‘구글 드라이브’ 등 40개 이상의 기업 제품에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GPT 부스터’ 장착한 MS 애저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2위인 MS 애저는 동맹관계인 오픈AI의 LLM GPT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AI 서비스 ‘MS 365 코파일럿’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MS 365는 워드와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과 팀즈 등으로 구성된 MS의 사무용 소프트웨어다. MS 애저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기업과 사용자들은 코파일럿을 통해 이메일 처리, 문서 초안 작성, 데이터 분석, 마케팅 문구 작성, 회의 진행 등 다양한 업무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MS는 최근 오픈AI의 최신 모델인 ‘GPT-4 터보’를 적용해 경쟁력을 높였다. GPT-4 터보를 활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면 300쪽짜리 책 한 권을 프롬프트에 한 번에 입력할 수 있다. AI가 소설책 한 권을 통째로 읽고 분석해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거나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GPT-4 터보의 또 다른 특징은 멀티모달 기능이다. 문서뿐 아니라 이미지도 분석해 사진 설명을 생성할 수 있고, 그림이 포함된 문서도 처리할 수 있다.

오픈AI는 이미지 생성 모델인 ‘달리3’도 운영 중인데, GPT-4 터보에선 달리3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검색 기능을 다른 데이터와 결합해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켓 발사 사진을 보여주면 단순한 사진 설명을 넘어 로켓의 모델명과 발사 날짜도 찾을 수 있다.

○멀티모달로 격차 좁히기 나선 구글

구글은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3위에 올라 있다. 검색 부문에선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구글이 클라우드 시장에선 10%대에 머물며 좀처럼 점유율을 높이지 못하는 모양새다.

이에 구글은 지난해 8월 자사의 장점인 생성 AI를 대거 적용한 기업용 AI 서비스 ‘듀엣 AI’를 내놨다. 구글의 소프트웨어 도구인 구글 미트와 구글 챗·닥스·시트, 지메일 등에서 생성 A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듀엣 AI를 통해 회의 내용을 메모, 요약하고 이미지 생성도 할 수 있다. 다양한 언어로 번역도 해준다.

구글 클라우드는 기업 고객이 LLM을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버텍스 AI’ 기능도 강화했다. 기업이 버텍스 AI에서 총 100여 종의 LLM 중 적합한 모델을 활용해 맞춤형 앱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글은 최근 추격의 고삐를 바짝 당기고 나섰다. 지난달 초 멀티모달 성능을 한층 강화한 차세대 LLM ‘제미나이’를 공개하고 오픈AI GPT-4 터보와 본격 경쟁을 시작했다. 제미나이는 이미지와 영상, 음성 등을 인식하고 추론하는 기능을 선보이며 ‘생성 AI 2.0’ 시대가 본격화했음을 알렸다.

○“구름 위에 모든 걸 얹는다”…한국은?

빅테크의 클라우드 경쟁력 강화 전략은 ‘오픈과 집약’이다. 다양한 AI 제품을 자사 클라우드에 탑재하고, 경쟁사 서비스에 대한 호환성도 갖춰 한곳에서 모든 업무를 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런 전략 덕분에 AWS, MS 애저, 구글 클라우드 등 3사의 클라우드 점유율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2020년 61%였던 3사 점유율은 지난해 2분기 65%로 상승했다.

국내에선 네이버 클라우드, KT 클라우드, NHN 클라우드 3사가 시장을 이끌고 있다. 국내 클라우드산업이 성장하면서 이들 업체의 매출도 매년 두 자릿수로 늘고 있다. 생성 AI 기술 개발도 이뤄지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해 8월 생성 AI ‘하이퍼클로바X’를 내놨고, KT도 초거대 AI ‘믿음’을 선보였다.

하지만 이들 AI 기술을 클라우드 서비스에 접목하는 건 초기 단계다. 실제로 국내 민간 클라우드 시장은 대부분 AWS, MS 애저, 구글 클라우드가 점유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술 경쟁력 강화와 함께 타사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한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리콘밸리=최진석 특파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