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미취업 고령층 급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7일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분석한 '중고령자의 주된 일자리 은퇴 후 경제활동 변화와 특성'에 따르면 국내 55∼64세 중고령자 인구 중 자신의 생애 주된 일자리(임금·비임금근로 모두 포함)에서 퇴직하고 '현재 미취업 상태'인 비율은 2014년 27.9%에서 2022년 38.8%로 크게 늘었다.
반면 '생애 주된 일자리를 유지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같은 기간 34.6%에서 29.2%로 5.4%포인트 줄었다. 이직해서 현재 재취업 상태인 비율도 29.8%에서 29.3%로 소폭 줄었다.
연구진은 "아직은 생계를 위한 경제활동이 필요한 55∼64세의 시기에 적절한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중고령자의 비중이 지속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권고사직·명예퇴직·정리해고에 따른 퇴직 평균 연령은 약 52세였다. 중·고령층 임금근로자의 약 30%는 이같은 회사요구로 인해 비자발적으로 자신의 주된 일자리를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55∼64세 중·고령자들이 주 일자리 퇴직 후 재취업한 사례를 살펴보면 임금근로자로 재취업한 경우가 자영업, 고용주 등 비임금근로자가 된 경우보다 많았다. 임금을 받던 근로자가 퇴직 후 자영업자로 전환한 경우는 2014년 9.9%에서 2022년 7.4%로 꾸준히 감소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재취업 일자리 중 단순노무직인 경우가 33.1%로 가장 많았지만, 비중은 9년간 10.0%포인트 줄었다. 대신 사무직이 6.3%→8.1%, 서비스직이 12.0%→17.0%로 증가했다.
연구진은 "베이비붐 세대를 포함한 주된 일자리 은퇴 고령층을 위해 '취업형 노인일자리'를 확충해야 한다"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소득 보충이 가능한 취업형 일자리 수요 증가에 대비해 이에 집중한 (일자리) 확충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기존 취업형 노인일자리 사업은 여전히 대부분의 일자리가 경비, 청소 등 단순노무 직종에 집중돼 있다"며 "분석 결과와 같이 최근 들어 단순노무로 재취업하는 비율은 줄고 서비스직, 전문직으로 재취업하는 경우가 증가해 향후 다양하고 전문성 있는 일자리를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료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반면 '생애 주된 일자리를 유지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같은 기간 34.6%에서 29.2%로 5.4%포인트 줄었다. 이직해서 현재 재취업 상태인 비율도 29.8%에서 29.3%로 소폭 줄었다.
연구진은 "아직은 생계를 위한 경제활동이 필요한 55∼64세의 시기에 적절한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중고령자의 비중이 지속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권고사직·명예퇴직·정리해고에 따른 퇴직 평균 연령은 약 52세였다. 중·고령층 임금근로자의 약 30%는 이같은 회사요구로 인해 비자발적으로 자신의 주된 일자리를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55∼64세 중·고령자들이 주 일자리 퇴직 후 재취업한 사례를 살펴보면 임금근로자로 재취업한 경우가 자영업, 고용주 등 비임금근로자가 된 경우보다 많았다. 임금을 받던 근로자가 퇴직 후 자영업자로 전환한 경우는 2014년 9.9%에서 2022년 7.4%로 꾸준히 감소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재취업 일자리 중 단순노무직인 경우가 33.1%로 가장 많았지만, 비중은 9년간 10.0%포인트 줄었다. 대신 사무직이 6.3%→8.1%, 서비스직이 12.0%→17.0%로 증가했다.
연구진은 "베이비붐 세대를 포함한 주된 일자리 은퇴 고령층을 위해 '취업형 노인일자리'를 확충해야 한다"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소득 보충이 가능한 취업형 일자리 수요 증가에 대비해 이에 집중한 (일자리) 확충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기존 취업형 노인일자리 사업은 여전히 대부분의 일자리가 경비, 청소 등 단순노무 직종에 집중돼 있다"며 "분석 결과와 같이 최근 들어 단순노무로 재취업하는 비율은 줄고 서비스직, 전문직으로 재취업하는 경우가 증가해 향후 다양하고 전문성 있는 일자리를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료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