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애플을 중심으로 한 기술주의 강세에도 혼조세를 보였다.

18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10시 28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8.06포인트(0.10%) 하락한 37,228.61을 기록 중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8.30포인트(0.39%) 오른 4,757.51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38.68포인트(0.93%) 상승한 14,994.30을 나타냈다.

투자자들은 애플의 주가 반등, 국채금리 움직임,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3월 금리인하 기대 등을 주시하고 있다.

애플의 주가가 개장 초부터 2% 이상 오르면서 기술주에 대한 투자 심리가 개선됐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이날 애플에 대해 투자 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했다.

목표가는 208달러에서 225달러로 높여 잡았다.

아이폰 업그레이드 수요가 더 강해질 가능성과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한 수요가 새로운 장비 수요로 이어져 결국 기관 투자자들의 포지션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애플 주가는 현재 2% 이상 오르고 있다.

대만 TSMC의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은 반도체 관련주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AMD와 엔비디아의 주가가 모두 2% 이상 오르고 있다.

미국의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2022년 9월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는 소식에 국채금리는 오름세를 보였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월 13일로 끝난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직전 주보다 1만6천명 감소한 18만7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20만8천명도 밑돌았다.

그만큼 고용 시장이 탄탄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경제가 예상만큼 빠르게 둔화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전날 미국의 소매판매도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도 조정되고 있다.

미 금리선물시장에서 트레이더들은 연준이 3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57%가량으로 반영했다.

1주일 전에 70%를 웃돌던 데서 낮아진 것이다.

10년물 국채금리는 4.1066%로 4.1%를 웃도는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S&P500지수 내 유틸리티, 헬스, 에너지 관련주가 하락하고, 기술, 산업, 통신 관련주는 오르고 있다.

유럽증시는 일제히 오르고 있다.

독일 DAX지수는 전장보다 0.74% 오르고, 영국 FTSE지수는 0.10% 상승하고 있다.

프랑스 CAC 지수는 1.04% 오르고, 범유럽지수인 STOXX600 지수는 0.52% 상승하고 있다.

국제 유가도 반등 중이다.

2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0.59% 오른 배럴당 72.99달러에, 3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전장보다 0.42% 상승한 배럴당 78.21달러를 기록했다.

뉴욕증시, 기술주 상승 속에 혼조세로 출발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