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벅 '이 음료' 270만잔 팔리더니…中 1위 제품도 한국 온다 [오정민의 유통한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밀크티 1위 브랜드 '헤이티' 한국 진출
압구정 로데오거리에 1호점
'커피공화국'의 차 시장 성장 가능성 주목
압구정 로데오거리에 1호점
'커피공화국'의 차 시장 성장 가능성 주목
![자료=헤이티 홈페이지, 인스타그램 캡쳐](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617481.1.jpg)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밀크티 브랜드 강자로 꼽히는 헤이티가 압구정로데오역 인근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국내 1호점을 열 예정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밀크티 브랜드 강자로 꼽히는 헤이티가 압구정로데오역 인근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국내 1호점을 열 예정이다. 사진은 헤이티 1호점 매장 전경. 사진=오정민 한경닷컴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626524.1.jpg)
헤이티는 최근 해외 공략에 박차를 가해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등에 진출했다. 지난달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에 매장을 연 데 이어 아시아 지역 신규 점포로 한국 1호점을 내는 분위기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스타그램에 한국 계정을 열어 점포 개점 준비 중임을 알리고 있다.
!['런던베이글뮤지엄' 도산점 앞 풍경. 사진=오정민 한경닷컴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626523.1.jpg)
우선 인기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 도산점이 바로 길 건너에 있다. 런던베이글뮤지엄은 예약 애플리케이션(앱) 캐치테이블이 지난해 웨이팅(대기)이 가장 많았던 브랜드로 선정한 인기 빵집이다. 안국점이 본점이지만 도산점 역시 연일 문전성시를 이루는 매장으로 약 30m 거리다. 도넛 유행을 주도한 브랜드 '노티드 도넛'을 운영하는 GFFG가 선보인 츄러스 브랜드 '미뉴트 빠삐용' 역시 약 100m만 이동하면 도착한다. 노티드 도넛 청담점 역시 도보로 5분 만에 갈 수 있다.
업계에서는 신규 브랜드 론칭과 함께 다시 한번 차 관련 붐이 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은 '커피공화국'으로 불릴 정도로 커피산업이 활황이지만 차 산업의 입지는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과거 대만 버블티(쩐쭈나이차) 유행으로 다수의 밀크티 브랜드가 성행했으나 유행이 꺼지며 입지가 줄어들었다.
그나마 국내에서 입지를 굳힌 밀크티 브랜드 중 대표주자로 꼽히는 공차의 점포수는 최근 3년간 꾸준히 증가, 2020년 683개에서 지난해 901개로 늘었지만 여전히 1000개를 밑돌고 있다. 반면 토종 커피 프랜차이즈 이디야커피는 지난해 3800호점을 열며 국내 최다 가맹점 기록을 자체 경신했다.
![사진=스타벅스커피 코리아](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627126.1.jpg)
![사진=신세계백화점](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627135.1.jpg)
1979년 녹차사업을 시작해 전통차 문화에 힘을 쏟고 있는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오설록' 역시 최근 매출이 증가세다. 2021년 650억원이던 매출은 2022년 25.2% 증가한 814억원으로 불어났다. 지난해에는 840억원대 매출을 거둬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유안타증권은 추산한다.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며 오프라인 점포뿐 아니라 이커머스(전자상거래) 매출을 키우는 데 힘쓴 결과다. 오설록 관계자는 "2021년 이후 온라인 매출 비중이 50%를 넘어섰다"며 "'카카오 선물하기'와 쿠팡 전용 선물 세트 운영, 네이버 풀필먼트 입점 등을 통해 매출이 늘었다"고 소개했다.
국내 다류의 60%가량을 차지한 (2021년 생산액 비중 61.9%·매출 비중 57%) 액상차 역시 꾸준히 성장세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액상차 소매시장 규모는 2021년 3179억원으로 2020년보다 6%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aT 측은 "코로나19 사태 후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가정 내 체류 시간이 늘어나면서 커피 대신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해 집에서 쉽게 마실 수 있는 액상차류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며 "향후 다류 시장은 현재의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