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방자치단체 간 갈등으로 번진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 문제를 놓고 인천 검단신도시 우회 역을 2개만 설치하는 쪽으로 중재안을 마련했다. 인천시가 요구한 ‘4개 역’에서 축소한 것이다. 인천시와 김포시 경계에 예정됐던 역도 인천 불로동이 아니라 김포 감정동으로 옮겼다. 사실상 김포시 손을 들어주는 조정안을 내놨다는 평가가 나온다.

19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가 발표한 ‘서울 5호선 연장사업 조정안’에 따르면 연장 노선은 총 25.56㎞로, 인천 검단신도시 2개 역을 경유해 김포 한강2신도시까지 이어진다. 전체 정거장은 10개다. 김포 7개, 인천 2개, 서울 1개 등이다.

정부가 김포시에 유리한 내용의 중재안을 내놓은 것은 김포의 서울 편입을 담은 특별법이 폐기될 위기에 놓여 악화하는 민심을 달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해석된다. 대광위 관계자는 “중재안의 원칙은 이동 수요와 환승 체계, 경제성”이라며 “감정동으로 정거장을 변경한 것도 감정동의 이동 수요가 불로동보다 1.5배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을 포함한 5호선 연장 총사업비는 3조700억원 수준으로 계산했다. 각 지역에 필요한 사업비 비율만큼 김포시와 인천시가 각각 2조2648억원, 6714억원을 분담하는 방안이다.

5호선 연장은 김포와 인천 내 신도시 주민의 출퇴근난 해결을 위해 2017년부터 추진해 왔다. 그러나 통과 노선과 정차역을 두고 김포시와 인천시 간 대립이 격화하면서 사전타당성 조사가 중단된 상태다. 대광위는 지난해 1월부터 중재에 나섰고, 일부 공감대를 형성해 중재안을 내놨다.

정부는 다음달부터 지역 주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올 상반기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할 방침이다. 예정대로 사업을 진행하면 9년 뒤인 2033년 연장선 운행이 가능할 전망이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