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차 징크스' 극복한 아트SG…"亞 미술허브 노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 2회째…동남아 최대 아트페어
구성·흥행 모두 작년보다 나아
요즘 뜨는 작가 작품 전진배치
국제·가나 등 국내 갤러리도 참가
글로벌 미술시장 싱가포르 주목
"슈퍼리치 매력적 대안으로 부상"
구성·흥행 모두 작년보다 나아
요즘 뜨는 작가 작품 전진배치
국제·가나 등 국내 갤러리도 참가
글로벌 미술시장 싱가포르 주목
"슈퍼리치 매력적 대안으로 부상"
“아트SG가 올해 ‘2년차 징크스’를 비껴갈지가 관건이다.”
미국 아트뉴스는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 컨벤션센터에서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열린 ‘제2회 아트SG’를 앞두고 18일 이렇게 보도했다. ‘동남아시아 최대 아트페어’ 아트SG에 대한 관심이 데뷔 첫해인 작년에 비해 줄어들며 부진할 것을 염두에 둔 지적이었다.
올해 행사에서는 작년 35개국, 164개 갤러리보다 30%가량 줄어든 114개 갤러리가 부스를 차렸다. 빅토리아 미로, 데이비드 즈워너 등 해외 명문 갤러리들이 줄줄이 발을 뺐다.
올해 아트SG의 화두는 ‘아시아계 컨템퍼러리’였다. 중국과 동남아시아 컬렉터를 타깃으로 요즘 뜨는 작가들을 내세운 것이다. 전시장 입구부터 중국의 인기 작가 아이웨이웨이가 레고로 만든 모나리자 작품이 걸렸다. 아시아아트센터는 대만 조각가 리첸과 주밍의 작품을 가져왔고 커다란 잉어, 호랑이를 그린 그림이나 마오쩌둥의 점묘화 앞은 가격을 문의하는 중국인 컬렉터로 북적였다. 국제갤러리, 가나아트, 조현화랑, 더컬럼스 등 국내 주요 갤러리도 아트SG에 부스를 차렸다.
이번 행사의 중심은 값비싼 ‘마스터피스’보단 잠재적 투자가치를 고려한 젊은 작가들의 작품이 차지했다. 발길이 쉽게 닿는 컨벤션센터 1층에 신진 작가 작품 위주로 전시하고, 상대적으로 가격대가 높은 작품은 지하 1층에 배치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페레스 프로젝트는 1990년대생 작가 마크 파데우와 안톤 무나르의 회화를, 가이카이키키는 일본의 네오팝 아티스트 미스터(Mr.)의 작품을 선보였다.
주민영 조현갤러리 이사는 “키아프-프리즈 서울이 ‘하이앤드’를 찾는 컬렉터를 중심으로 형성됐다면 아트SG는 상대적으로 가격대가 낮은 대신 구매 빈도가 높은 ‘알짜배기’ 시장인 셈”이라고 말했다. 일본 화이트스톤 갤러리 관계자는 “1만5000달러(약 2000만원) 수준의 교헤이 고모리의 회화에 대한 문의가 빗발쳤고, 개당 2500달러(약 330만원)인 리 웨이&리우 지인의 조각은 동났다”고 했다.
행사장에서 만난 한 미국인 컬렉터는 “한국은 북한이라는 위협이, 일본은 자연재해라는 변수가 존재한다”며 “아시아 미술시장의 전통 강호인 홍콩마저 중국의 규제로 시들해진 지금, 싱가포르야말로 슈퍼리치들의 매력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초고액 자산가에게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싱가포르 패밀리오피스가 2016년 70여 개에서 7년 사이 1000여 개로 급증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본격적인 아트허브로 떠오르기 전 현지 시장을 선점하려는 갤러리도 증가하는 모양새다. 아시아 최대 화랑 중 하나인 탕컨템퍼러리의 박혜연 지사장은 “오는 6월 싱가포르에 분점을 연다”며 “당장의 로컬 시장 규모는 작지만 싱가포르 국민의 잠재적 구매력과 동남아 주변 국가와의 인접성을 높이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한국 미술계도 싱가포르를 주목하고 있다. 행사장을 찾은 이현숙 국제갤러리 회장은 “싱가포르는 동남아 시장의 미술 트렌드를 배우기 위한 테스트베드가 될 것”이라고 했다. 황달성 한국화랑협회장은 “싱가포르는 해외 진출을 계획 중인 키아프 서울의 유력한 후보지 중 하나”라고 했다. 아트SG를 공동 창립한 매그너스 랜프루는 “홍콩이나 서울을 라이벌로 보기보다는 미술시장의 공동 성장을 위한 선의의 경쟁 상대로 생각하고 있다”며 “아시아 지역의 급증하는 미술 수요를 고려할 때 모든 아트페어가 상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싱가포르=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
미국 아트뉴스는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 컨벤션센터에서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열린 ‘제2회 아트SG’를 앞두고 18일 이렇게 보도했다. ‘동남아시아 최대 아트페어’ 아트SG에 대한 관심이 데뷔 첫해인 작년에 비해 줄어들며 부진할 것을 염두에 둔 지적이었다.
올해 행사에서는 작년 35개국, 164개 갤러리보다 30%가량 줄어든 114개 갤러리가 부스를 차렸다. 빅토리아 미로, 데이비드 즈워너 등 해외 명문 갤러리들이 줄줄이 발을 뺐다.
“모든 면에서 작년보다 나았다”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작년에 비해 흥행과 전시 구성 모두 한발 앞서갔다’는 평가가 많았다. 19~21일 아트SG 행사장에서 만난 국내외 미술계 관계자들은 “참가한 갤러리는 줄었지만 지갑을 여는 컬렉터는 늘었다”고 입을 모았다. 코로나19로 인한 여행 통제가 완화되자 중국과 인도네시아, 인도 등지의 ‘큰손’들이 싱가포르로 몰려왔다는 분석이다.올해 아트SG의 화두는 ‘아시아계 컨템퍼러리’였다. 중국과 동남아시아 컬렉터를 타깃으로 요즘 뜨는 작가들을 내세운 것이다. 전시장 입구부터 중국의 인기 작가 아이웨이웨이가 레고로 만든 모나리자 작품이 걸렸다. 아시아아트센터는 대만 조각가 리첸과 주밍의 작품을 가져왔고 커다란 잉어, 호랑이를 그린 그림이나 마오쩌둥의 점묘화 앞은 가격을 문의하는 중국인 컬렉터로 북적였다. 국제갤러리, 가나아트, 조현화랑, 더컬럼스 등 국내 주요 갤러리도 아트SG에 부스를 차렸다.
이번 행사의 중심은 값비싼 ‘마스터피스’보단 잠재적 투자가치를 고려한 젊은 작가들의 작품이 차지했다. 발길이 쉽게 닿는 컨벤션센터 1층에 신진 작가 작품 위주로 전시하고, 상대적으로 가격대가 높은 작품은 지하 1층에 배치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페레스 프로젝트는 1990년대생 작가 마크 파데우와 안톤 무나르의 회화를, 가이카이키키는 일본의 네오팝 아티스트 미스터(Mr.)의 작품을 선보였다.
주민영 조현갤러리 이사는 “키아프-프리즈 서울이 ‘하이앤드’를 찾는 컬렉터를 중심으로 형성됐다면 아트SG는 상대적으로 가격대가 낮은 대신 구매 빈도가 높은 ‘알짜배기’ 시장인 셈”이라고 말했다. 일본 화이트스톤 갤러리 관계자는 “1만5000달러(약 2000만원) 수준의 교헤이 고모리의 회화에 대한 문의가 빗발쳤고, 개당 2500달러(약 330만원)인 리 웨이&리우 지인의 조각은 동났다”고 했다.
동남아 ‘미술 허브’로 주목
싱가포르가 글로벌 미술시장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데는 여러 이유가 있다. 싱가포르는 동남아와 오세아니아, 인도양과 태평양을 잇는 해양 실크로드의 요충지다. 또 미술 시장은 돈의 흐름이 집중되는 곳에 형성되는데, 싱가포르는 아시아 금융허브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행사장에서 만난 한 미국인 컬렉터는 “한국은 북한이라는 위협이, 일본은 자연재해라는 변수가 존재한다”며 “아시아 미술시장의 전통 강호인 홍콩마저 중국의 규제로 시들해진 지금, 싱가포르야말로 슈퍼리치들의 매력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초고액 자산가에게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싱가포르 패밀리오피스가 2016년 70여 개에서 7년 사이 1000여 개로 급증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본격적인 아트허브로 떠오르기 전 현지 시장을 선점하려는 갤러리도 증가하는 모양새다. 아시아 최대 화랑 중 하나인 탕컨템퍼러리의 박혜연 지사장은 “오는 6월 싱가포르에 분점을 연다”며 “당장의 로컬 시장 규모는 작지만 싱가포르 국민의 잠재적 구매력과 동남아 주변 국가와의 인접성을 높이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한국 미술계도 싱가포르를 주목하고 있다. 행사장을 찾은 이현숙 국제갤러리 회장은 “싱가포르는 동남아 시장의 미술 트렌드를 배우기 위한 테스트베드가 될 것”이라고 했다. 황달성 한국화랑협회장은 “싱가포르는 해외 진출을 계획 중인 키아프 서울의 유력한 후보지 중 하나”라고 했다. 아트SG를 공동 창립한 매그너스 랜프루는 “홍콩이나 서울을 라이벌로 보기보다는 미술시장의 공동 성장을 위한 선의의 경쟁 상대로 생각하고 있다”며 “아시아 지역의 급증하는 미술 수요를 고려할 때 모든 아트페어가 상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싱가포르=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