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스·노보노디스크…백년기업 토대는 '공익재단 상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징벌적 상속제도의 덫
(3) '효과적인 기업승계 도구' 공익재단 설립
발렌베리 등 유럽 장수기업들
공익재단 통해 경영권 이어가
美 파타고니아, 차등의결권 활용
경영참여·사회환원 '두 토끼'
상속세 줄고 기업 영속성 유지
수익 일부 연구개발 등에 투자
(3) '효과적인 기업승계 도구' 공익재단 설립
발렌베리 등 유럽 장수기업들
공익재단 통해 경영권 이어가
美 파타고니아, 차등의결권 활용
경영참여·사회환원 '두 토끼'
상속세 줄고 기업 영속성 유지
수익 일부 연구개발 등에 투자
세계 최고 광학업체 자이스는 영국의 산업혁명이 유럽으로 확산하던 1846년 설립됐다. 178년의 긴 역사에도 창업주 후손과 회사 관계자들이 설립한 칼자이스재단이 회사를 100% 소유하고 있다. 첨단 반도체 미세공정을 좌우하는 극자외선(EUV) 노광장비의 광학 렌즈를 세계에서 유일하게 만들 수 있다.
독일 자이스와 덴마크 노보노디스크처럼 안정적 지배구조와 지속적 혁신을 통해 창업주의 기업가정신을 이어가는 ‘백년기업’이 탄생할 수 있는 것은 주요 선진국이 원활한 경영권 상속을 위해 각국 현실에 맞는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익재단, 신탁 등 경영과 소유를 분리하는 제도, 의결권 분산을 막을 수 있는 차등의결권 주식 등이 대표적이다. 경영권 할증까지 더해 최대 60%에 이르는 상속세를 내야 하고 공익재단 등을 활용한 상속도 사실상 막아 놓은 한국과 대조된다.
자이스 최대주주는 칼자이스재단이다. 창업주인 칼 자이스가 타계하자 사업 파트너인 에른스트 아베 예나대 교수는 칼자이스재단을 세워 보유 주식을 모두 출연했고 창업자 아들을 설득해 잔여 지분을 전부 출연했다. 동독과 서독으로 분할되고 다시 합쳐지는 과정에서 우여곡절을 겪긴 했지만 현재도 칼자이스재단은 자이스 주식을 100% 보유하고 있다.
스웨덴 발렌베리 가문이 5대에 걸쳐 160여 년간 이끌고 있는 발렌베리그룹도 재단과 차등의결권을 활용해 경영권을 이어가고 있다. 화학업체 머크,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 자동차부품업체 보쉬 등 유럽계 그룹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은 공익 목적의 사업을 영위하지 않는 재단엔 상속세 감면 혜택을 주지 않는다. 대신 차등의결권, 신탁 제도를 활용해 소유 구조 분산을 최소화하고 있다. 친환경기업으로 널리 알려진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가 대표적인 사례로 거론된다. 이본 쉬나드 파타고니아 회장은 2022년 전체 주식 중 98%(4조2000억원)에 해당하는 의결권 없는 주식을 환경단체에 기부한다고 밝혔다. 나머지 2%인 의결권 있는 주식은 ‘파타고니아 목적 신탁’에 출연했다. 기업이 창출하는 수익의 대부분을 사회 공헌에 쓰도록 하겠다는 창업 이념이 반영됐다.
대신 쉬나드 회장은 의결권 주식을 통해 최고경영자(CEO)를 뽑고 관리하는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미국에선 포드·록펠러·카네기재단 등이 차등의결권과 재단을 통해 경영권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 정부는 재단에 각종 혜택을 주는 대신 공익재단이 투자자산의 5% 이상을 매년 공익목적지출(적격배분)에 써야 한다는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
반도체·바이오 혁신 견인하는 백년기업
21일 경제계에 따르면 백년기업을 뒷받침하는 주요국 상속제도의 가장 큰 장점은 안정적 지배구조를 마련해 기업 혁신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창업한 지 178년 된 자이스는 ‘세계 최초’ 타이틀이 수두룩하다. 1969년 인류가 처음으로 달에 새긴 발자국을 사진으로 남긴 것도 자이스의 렌즈였다. 첨단 반도체 미세공정 기술을 좌우하는 극자외선(EUV) 노광장비에도 자이스의 렌즈 기술이 쓰인다.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은 2022년 자이스를 방문한 뒤 “우리(삼성전자)는 ‘록인’과 ‘해자’ 기술을 얼마나 갖고 있는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록인(충성고객을 만드는 자물쇠 효과)과 해자(경쟁사를 압도하는 진입장벽)는 초격차 기술력을 뜻하는 표현이다.자이스 최대주주는 칼자이스재단이다. 창업주인 칼 자이스가 타계하자 사업 파트너인 에른스트 아베 예나대 교수는 칼자이스재단을 세워 보유 주식을 모두 출연했고 창업자 아들을 설득해 잔여 지분을 전부 출연했다. 동독과 서독으로 분할되고 다시 합쳐지는 과정에서 우여곡절을 겪긴 했지만 현재도 칼자이스재단은 자이스 주식을 100% 보유하고 있다.
경영권 안정과 사회공헌 동시 달성
재단을 통한 경영권 승계를 지원하기 위해 차등의결권을 허용하는 나라도 있다. 비만치료제 위고비로 세계 1위 바이오 혁신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덴마크의 노보노디스크가 대표적인 사례다. 1923년 설립된 이 회사 최대주주는 창업자 부부가 세운 노보노디스크재단이다. 이 재단은 전체 주식의 28%를 보유하고 있지만 의결권은 77%를 행사한다.스웨덴 발렌베리 가문이 5대에 걸쳐 160여 년간 이끌고 있는 발렌베리그룹도 재단과 차등의결권을 활용해 경영권을 이어가고 있다. 화학업체 머크,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 자동차부품업체 보쉬 등 유럽계 그룹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은 공익 목적의 사업을 영위하지 않는 재단엔 상속세 감면 혜택을 주지 않는다. 대신 차등의결권, 신탁 제도를 활용해 소유 구조 분산을 최소화하고 있다. 친환경기업으로 널리 알려진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가 대표적인 사례로 거론된다. 이본 쉬나드 파타고니아 회장은 2022년 전체 주식 중 98%(4조2000억원)에 해당하는 의결권 없는 주식을 환경단체에 기부한다고 밝혔다. 나머지 2%인 의결권 있는 주식은 ‘파타고니아 목적 신탁’에 출연했다. 기업이 창출하는 수익의 대부분을 사회 공헌에 쓰도록 하겠다는 창업 이념이 반영됐다.
대신 쉬나드 회장은 의결권 주식을 통해 최고경영자(CEO)를 뽑고 관리하는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미국에선 포드·록펠러·카네기재단 등이 차등의결권과 재단을 통해 경영권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 정부는 재단에 각종 혜택을 주는 대신 공익재단이 투자자산의 5% 이상을 매년 공익목적지출(적격배분)에 써야 한다는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