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매매 100건 중 신고가는 3건…'역대 최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직방, 국토부 아파트 실거래가 분석
매매 신고가 비중, 2023년 4%, 2024년 3.9% 기록
매매 신고가 비중, 2023년 4%, 2024년 3.9% 기록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2024년 전국 아파트 매매 신고가 거래 비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직방은 아파트 단지 내 동일 면적 타입이 과거 최고가격보다 높은 매매가로 얼마나 거래됐는지 ‘신고가’ 거래 건수와 비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2021년 23.4%까지 올랐던 신고가 비율은 2022년 11.7%, 2023년 4%로 점차 낮아졌다. 2024년 1월(14일 집계 기준)은 2006년 이후 역대 최저치인 3.9%를 기록했다.
2006년 주택 실거래 신고가 도입된 이후 신고가 비율이 5% 이하로 붕괴한 적은 없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을 받았던 2009년도 6.6%에 그쳤다. 지난해부터 급격히 낮아진 신고가 비율에 대해 직방은 고금리 충격과 경기 위축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집값 전망으로 인해 고가 매입에 대한 심리적 저항감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2024년 신고가 매매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21.1%를 기록한 제주특별자치도다. 그 뒤를 서울(9.1%), 강원(4.8%), 전남(4.6%), 부산(4.4%), 충남(4.4%), 인천(4.4%), 경북(4.3%), 전북(3.9%), 광주(3.3%), 대전(3.3%), 충북(3.3%), 경남(3.1%), 세종(2.9%), 경기(2.8%), 울산(2.6%), 대구(1.3%) 등이 뒤따르고 있다. 추이는 2023년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인다.
특히 부산(4.4%), 대구(2.3%), 대전(3.3%), 강원(4.8%) 등 전국 17개 지자체 중 4개 지역은 2024년 신고가 매매 비율이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고, 울산(2.3%), 충남(2.6%), 전남(3.9%), 경남(2.6%) 지역은 2023년 관련 비율이 가장 낮았다.
한편 전국 집값을 주도하고 있는 서울시도 2023년 아파트 매매 신고가 거래량은 3084건에 그쳤다. 2022년의 3295건보다 211건 감소했다. 전체 거래에서 신고가 거래 비중이 2023년 9.1%에 그치며 2022년 27.5%보다 18.4%포인트(p) 줄었다. 2024년 1월 현재도 관련 비율은 전년과 비슷한 9.1%를 기록 중이다. 서울은 2020년(45.2%)과 2021년(52.6%)엔 매해 2만~3만여 건씩 신고가가 거래가 속출하면서 전체 거래 중 과반 정도가 신고가 거래일만큼 활황을 나타낸 시절도 있었다. 하지만 2022년 하반기 본격화한 고금리 현상이 집값 상승의 기대를 꺾으며 신고가 거래 증가도 막을 내렸다. 주택 시장 흐름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는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이 2022년과 2023년 모두 3천여 건의 신고가 흐름에 머물며 매수자의 보수적 가격접근이 현실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공격적 투자수요가 줄고 향후 높은 매입가에 대한 거부감이 커진 상태"라며 "손해를 회피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에만 소비자들이 반응하고 있다"고 시장 상황을 진단했다. 이어 "거래 활력 저하로 매도자 열위, 매수자 우위의 시장이 이어진다면 아파트 매매의 신고가 총량도 평년보다 낮은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직방은 아파트 단지 내 동일 면적 타입이 과거 최고가격보다 높은 매매가로 얼마나 거래됐는지 ‘신고가’ 거래 건수와 비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2021년 23.4%까지 올랐던 신고가 비율은 2022년 11.7%, 2023년 4%로 점차 낮아졌다. 2024년 1월(14일 집계 기준)은 2006년 이후 역대 최저치인 3.9%를 기록했다.
2006년 주택 실거래 신고가 도입된 이후 신고가 비율이 5% 이하로 붕괴한 적은 없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을 받았던 2009년도 6.6%에 그쳤다. 지난해부터 급격히 낮아진 신고가 비율에 대해 직방은 고금리 충격과 경기 위축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집값 전망으로 인해 고가 매입에 대한 심리적 저항감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2024년 신고가 매매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21.1%를 기록한 제주특별자치도다. 그 뒤를 서울(9.1%), 강원(4.8%), 전남(4.6%), 부산(4.4%), 충남(4.4%), 인천(4.4%), 경북(4.3%), 전북(3.9%), 광주(3.3%), 대전(3.3%), 충북(3.3%), 경남(3.1%), 세종(2.9%), 경기(2.8%), 울산(2.6%), 대구(1.3%) 등이 뒤따르고 있다. 추이는 2023년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인다.
특히 부산(4.4%), 대구(2.3%), 대전(3.3%), 강원(4.8%) 등 전국 17개 지자체 중 4개 지역은 2024년 신고가 매매 비율이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고, 울산(2.3%), 충남(2.6%), 전남(3.9%), 경남(2.6%) 지역은 2023년 관련 비율이 가장 낮았다.
한편 전국 집값을 주도하고 있는 서울시도 2023년 아파트 매매 신고가 거래량은 3084건에 그쳤다. 2022년의 3295건보다 211건 감소했다. 전체 거래에서 신고가 거래 비중이 2023년 9.1%에 그치며 2022년 27.5%보다 18.4%포인트(p) 줄었다. 2024년 1월 현재도 관련 비율은 전년과 비슷한 9.1%를 기록 중이다. 서울은 2020년(45.2%)과 2021년(52.6%)엔 매해 2만~3만여 건씩 신고가가 거래가 속출하면서 전체 거래 중 과반 정도가 신고가 거래일만큼 활황을 나타낸 시절도 있었다. 하지만 2022년 하반기 본격화한 고금리 현상이 집값 상승의 기대를 꺾으며 신고가 거래 증가도 막을 내렸다. 주택 시장 흐름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는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이 2022년과 2023년 모두 3천여 건의 신고가 흐름에 머물며 매수자의 보수적 가격접근이 현실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공격적 투자수요가 줄고 향후 높은 매입가에 대한 거부감이 커진 상태"라며 "손해를 회피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에만 소비자들이 반응하고 있다"고 시장 상황을 진단했다. 이어 "거래 활력 저하로 매도자 열위, 매수자 우위의 시장이 이어진다면 아파트 매매의 신고가 총량도 평년보다 낮은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