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LLM '라마1·2' 연달아 눌렀다…AI 선도국 된 아부다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3년 11월 파이살 알 반나이 아부다비첨단기술연구위원회(ATRC) 사무총장이 세인트 레지스 사디야트 아일랜드 아부다비에서 AI기업 'AI71'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출처=아부다비 미디어 오피스(ADMO)](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638557.1.jpg)
11일 아부다비에서 만난 파이살 알 반나이 ARTC(아부다비첨단기술연위원회) 사무총장은 ATRC 산하의 연구센터 TII가 개발한 생성형 AI '팰컨 시리즈'를 오픈소스로 공개한 배경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다. 세계 최대 AI 플랫폼 허깅페이스에 따르면 이들이 작년 5월 출시한 생성형 AI 팰컨 시리즈의 첫 모델인 팰컨 40B는 이용률 기준 3개월 전 메타(옛 페이스북)가 선보였던 라마1을 금세 제쳤다.
![2023년 11월 셰이크 칼리드 빈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부다비 왕세자(오른쪽)와 파이살 알 반나이 아부다비 첨단기술연구위원회(ATRC) 사무총장(왼쪽)이 세인트 레지스 사디야트 아일랜드 아부다비에서 열린 AI기업 AI71 출범 행사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출처=아부다비 미디어 오피스(ADMO)](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638584.1.jpg)
출시 초기 팰컨40B는 1200만건 이상 다운로드되며 오픈소스 LLM 분야에서 1위 모델이 됐다. 이후 같은해 7월 메타도 성능을 보완한 라마2를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강수를 뒀지만, ATRC가 2개월여만에 내놓은 팰컨180B에 또 다시 밀리는 양상을 보였다. 파이살 총장은 PPT 화면 속 그래프를 가리키며 "현재 팰컨180B는 폐쇄형 소스인 PaLM2(구글)에 필적하고 챗GPT4(오픈AI)의 뒤를 바짝 좇고 있다"며 "여러 국가 및 기업과 이야기를 해 보았을 때 자신들의 정보를 내어주지 않아도 된다는 것에 대한 강한 선호도가 있다는 걸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ATRC는 작년 11월엔 무료 서비스인 팰컨 시리즈를 기반으로 유료 플랫폼을 구축하는 AI71를 설립했다. 보건, 교육 등 국가 데이터를 이용해 팰컨 모델을 개선해 특화된 인터페이스를 만고 이를 구독 서비스로 제공해 수익을 창출한다는 구상에서다. AI71에서 만든 의료 특화 플랫폼 라지(RAZI)71이 대표적이다. 의사가 환자의 의료 기록과 증상 등에 대해 입력하면 라지71은 이를 바탕으로 병명 진단 및 치료법 등에 대해 답을 내놓는다. 파이살 총장은 "라지71은 최근 미국과 UAE의 의사시험을 통과할 정도로 성능이 개선됐다"고 강조했다.
![2023년 9월 출시된 ARTC(아부다비첨단기술연위원회)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팰컨 180B가 메타(옛 페이스북)의 라마2 등 다른 모델들보다 앞서 있다. 출처=ARTC(아부다비첨단기술연위원회)](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638623.1.png)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