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 얼굴에도 박물관이..." 가정법 과거완료와 축적의 콜라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rte] 김현호의 바벨의 도서관
가정법 과거완료
“~했다면, ~했을 텐데” 정도로 해석되는 영문법 ‘가정법 과거완료’는 지나간 일을 후회할 때마다 사용하게 되는 표현입니다. 특히, 영어를 영문법책에 집중해 배웠던 세대에게 ‘가정법 과거완료’의 세가지 묶음, 그 시절 줄기차게 되뇌던 "우드, 슈드, 쿠드+해브+피피"는, 마주하자마자 자연스레 ‘후회와 미련’을 떠올리게 만듭니다.특유의 아쉬움을 담은 이 표현법은 예술에서도 참 자주 인용됩니다. 일루미네이션의 애니메이션 '씽(Sing, 2016)' 의 주인공 ‘버스터 문’은 아버지의 희생을 통해 물려 받은 극장이 무너져버릴 정도의 절망적인 상황에 놓이는데요. 우여곡절 끝에 성공적인 공연을 마치며 관객들로부터 기립박수를 받자 이렇게 말합니다.
“오, 아버지가 이걸 보셨다면 …(Oh, dad, I wish you could've seen this!)”
제게 ‘가정법 과거완료’는 ‘후회와 미련’ 대신 ‘그리움’을 더 강하게 안겨주는 문법입니다. 예를 들면, 제 탄생부터 성장을 바라보며 응원과 격려를 아끼지 않으셨던 이모와 삼촌이 연이어 떠난 이후, 종종 ‘아, 이 모습을 보셨으면 좋았을텐데 …’라는 생각에 눈물을 흘리곤 했습니다.
안중근 의사 가문의 후손이자 기념사업회 활동에 열심이셨던 처가 어른 ‘호주 이모부’가 떠났을 땐 ‘아, 『하얼빈』을 주제로 이야길 나눴어야 했는데’하며 그리워했습니다.
아버지를 향한 그리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때때로 작은 성취와 감동을 경험할 때마다 ‘아, 아버지가 이 장면을 보셨어야 했는데 …’ 라는 생각이 스치며 그리움은 쌓여갔습니다. 함께 거닐었던 장소를 지날 때, 유난히 자주 공유했던 음악을 들을 때, 연필깎이나 지우개처럼 추억이 담긴 물건을 볼 때마다 ‘아’ 하고 짧게 탄식하거나 ‘그래야만 했는데 …’ 하고 꾸준히 그리워하게 됩니다. 그렇게 ‘다시는 만날 수 없다는 것은 참 견디기 힘든 일이구나’하는 생각을 자주 하며 가정법 과거 완료의 세계에 빠져있던 중 마법 같은 책과 음악을 만났습니다.
여기, 우리가 만나는 곳
존 버거의 소설 <여기, 지금 우리가 만나는 곳>은 미술평론가로서 그의 대표작인 <다른 방식으로 보기(Way of seeing)> 보다 더욱 흥미로운 작품입니다. 작가는 단 한번도 친절한 설명을 곁들이지 않지만, 문장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알 수 있습니다. ‘지금 소설 속 화자가 망자와 대화를 이어가고 있구나’ 하고 말입니다. 주인공이 환각에 시달리거나 시간 여행을 하는 것이 아니라 천연덕스럽게 망자와 산책하고 장소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는데, 이 모습이 공포스럽기는커녕 ‘굉장한 상상이다’라고 감탄하게 됩니다. 이 자전적 소설에서 더 이상 ‘가정법 과거완료’라는 문법은 필요치 않습니다. 그저‘이런 방법이 있었구나’하고 공감했는데요. 망자를 그리워하는 일마저 힘들어지면, ‘곁에 있다’고 상상해내는 편이 위로를 줄 수도 있다는 것이죠.부고 여러 편을 엮은 책도 마찬가지로 심심한 위로를 줍니다. ‘다시는 만날 수 없었던’존재를 ‘언제든 추억할 수 있게’안내하기 때문입니다. 망자에 관한 이야기를 본격적으로 다루는 신문의 글을 ‘부고(訃告)’라고 하는데요.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 개정판이 검토되고 있을 <뉴욕타임즈 부고 모음집>은 역사 속 위인과 악인, 각 분야 천재의 삶을 조명합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나 토마스 에디슨, 넬슨 만델라처럼 인류를 위해 위대한 업적을 남겼거나 이오시프 스탈린과 아돌프 히틀러처럼 수 백 년에 한번 등장할까 말까 싶은 악인의 부고를 차별 없이 (하지만 평가는 냉정하게) 담아낸 이 책은 ‘(물리적으로는) 떠났어도 (마음 속에) 사라지지 않는다’는 쉬운 명제를 사유하게끔 해줍니다.
물론 꼭 위인이나 악인이어야만 부고로 기록되는 것은 아닙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의 부고 전문기자인 제임스 R. 해커티의 <그렇게 인생은 이야기가 된다>는 상대적으로 덜 유명하거나 평범한 이들의 부고를 엮은 책입니다. 평범한 사람들의 죽음과 인생도 얼마든지 기술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 고마운 책입니다.
비록 부고 모음집은 아니지만, 1차 세계 대전 이전의 평온했던 벨 에포크 시대를 생중계하듯이 들려주는 책 <1913 세기의 여름>은 은근한 위로를 줍니다. 역사 속 인물들이 바로 오늘 아침까지 존재했던 것 마냥 책 안에서 생생하게 움직이는데, 프란츠 카프카의 고뇌와 <변신>에 이르는 길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고민인 것만 같습니다. ‘작가 연혁’에 나열된 딱딱한 사실들을 1913년이라는 특정한 시간대에 압축해 이야기를 구성했을 뿐인데 말이죠.
음악으로 쓴 부고
종이신문을 1면부터 시작해, 마치 한 장 한 장 넘기듯 장면을 구성한 웨스 앤더슨 감독의 영화 '프렌치 디스패치(2023)' 속에는 알렉상드르 데스플라가 작곡한 오리지널 스코어(영화 음악) ‘오비추어리(Obituary)’가 담겨 있습니다. 신문의 ‘부고’를 뜻하는 이 곡은 유난히 밝은 분위기로 영화를 유쾌하게 만들어 줍니다. 마치 우리에게‘부고가 꼭 슬프고 엄숙해야만 하는 소식은 아니다’라고 말하는 듯합니다.![영화 '프렌치 디스패치'](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703345.1.jpg)
![영화 '프렌치 디스패치'](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703344.1.jpg)
우연한 위로의 문장
“거울을 볼 때 당신은 자기 얼굴뿐 아니라 하나의 박물관을 보고 있는 셈이다. 얼굴은 자신의 것이지만 한편으론 당신의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그리고 그 위의 선조들로부터 물려받은 특성의 콜라주로 이루어져 있다. (중략) 그들은 개인으로서는 이미 죽은지 오래일지 몰라도 당신의 일부로서 여전히 살아 있다”언어를 중심으로 인류의 대역사를 조명한 문화인류학책 <말, 바퀴, 언어>를 읽은 지 한참이 흘렀지만 또렷하게 기억나는 첫 문장입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나만의 것’이라 여겼던 고유의 화법과 언어적 습관, 특정 상황에서의 표정과 행동, 걸음걸이와 같은 신체적 특성이 사실은 수 만년 동안의 정보가 축적된 결과물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우연이라고 하기에는 매우 구체적인 닮음을 만들어내는 ‘축적의 콜라주’를 깨닫게 되어 큰 위로를 받기도 했습니다.
제 경우를 예로 들면 달리거나 걸을 때 오른팔을 왼팔에 비해 좀 더 크게 휘젓거나, 전기장판을 켠 채 이불을 덮을 정도로 차가운 날씨 속에서도 발은 밖으로 내놓고 자는 습관처럼 달리 설명할 방법이 없는 닮음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닮음이 아버지로부터 제 아이들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있으니 ‘콜라주’라는 표현에 더욱 공감하게 됩니다.
한편으로는 조상들의 유전자를 다양하게 물려받았으니, 책임감을 갖고 정해진 구간을 성실히 뛰어야만 하는 이어달리기의 최종주자가 된 기분도 듭니다. ‘이왕 이렇게 되었으니 무슨 일이 있더라도 잘 살아내야 하겠구나’ 정도의 다짐이 생겼다고 할까요?
박물관으로부터 온 편지·시간의 연결
박물관에 전시된 주먹도끼와 석탑, 백자와 청자를 보며 감동할 수 있는 까닭은 예술적인 완성도와 심미성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수천에서 수만 년의 시간을 관통한 이야기가 ‘지금 이 순간’에 편지처럼 도달했기 때문입니다.![중랑망우공간_한용운 선생](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639523.1.jpg)
![중랑망우공간_권진규 작가](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1.35639524.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