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은행·크레디트스위스 파산 후 유동성 조사 강화
ECB, 일부 은행에 "뱅크런 초기징후 있는지 SNS 살펴봐야"
유럽중앙은행(ECB)이 일부 은행에 뱅크런(현금 대량 인출 사태) 초기 징후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소셜미디어(SNS)를 살펴볼 것을 요구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은행 중역 2명은 유럽 감독 당국이 지난해 3월 실리콘밸리은행과 크레디트스위스 파산 이후 은행 유동성에 대한 조사를 강화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은행은 고객들이 동시에 예금을 빼내는 뱅크런이 발생하면 재정적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SNS가 인출 사태를 한층 악화시키고 있다.

크레디트스위스의 경우 2022년 10월 한 기자의 "거대 국제 투자은행이 위기에 처해있다"는 SNS 글이 뱅크런을 낳았다.

그해 연말까지 은행에서 빠져나간 고객의 돈은 1천억스위스프랑(약 154조5천억원)에 달했다.

인출 속도는 현 규제 하에서 금융기관들이 갑작스러운 유동성 쇼크를 견딜 수 있는지, 새로운 규제가 필요한지에 대한 세계적 논쟁을 촉발했다.

유럽 각국의 은행권을 감독하는 유럽은행감독청(EBA)은 지난해 3월 금융당국에 금융기관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위상을 악화할 수 있는, SNS를 포함한 위험을 평가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일부 금융기관은 대량의 부정적 게시물을 재무부서에 알리는 별도의 팀을 구성해놓은 상태다.

물론 초기에 발견한다고 해서 뱅크런을 막을 수 없지만, 최소한 허를 찔리는 것은 피하겠다는 게 규제 당국과 금융기관들의 생각이다.

ECB는 작년 11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SNS는 정보를 더 빠르게 확산시키지만, 충격을 유발하거나 증폭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ECB는 또 최근 몇 달간 유동성 보고에 대한 조사를 강화해 빈도를 월간 단위에서 주간 단위로 바꿨다.

유럽 당국은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을 계산하는 데 쓰이는 가정(assumptions)을 수정해야 하는지 논쟁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LCR은 상당한 유동성 스트레스 기간을 견디기 위해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는 충분한 자산을 보유하도록 은행에 요구하는 것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도입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