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원순 칼럼] 저출산 문제 닮아가는 '지역 소멸' 걱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도권·지방 격차는 '영광의 상처'
도시화·산업화 성공의 부산물
끝없는 한탄·비관·냉소 도움 안 돼
부울경 '옥상옥 형식 통합' 같은
탁상공론 거대담론 지양하고
베이비부머 움직일 체감 행정 필요
허원순 수석논설위원
도시화·산업화 성공의 부산물
끝없는 한탄·비관·냉소 도움 안 돼
부울경 '옥상옥 형식 통합' 같은
탁상공론 거대담론 지양하고
베이비부머 움직일 체감 행정 필요
허원순 수석논설위원
![[허원순 칼럼] 저출산 문제 닮아가는 '지역 소멸' 걱정](https://img.hankyung.com/photo/202401/07.30347388.1.jpg)
제대로 된 원인 진단은 어디서든 중요하다. 그런데도 요인과 성과는 간과한 채 자칭 전문가들까지 파생적 결과만 놓고 한탄하고 냉소하고 걱정을 부추긴다. 최근의 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또 한 번 그런 한계를 절감했다. 걱정만 하고 문제점만 늘어놓는다고 풀릴 일이 아니다. 서울·수도권이 광역 도쿄, 간사이 오사카, 베이징·상하이 경제권과 치열한 지역 경쟁을 벌이는 시대라는 것까지 함께 봐야 한다.
이전의 노력을 반성적으로 돌아보며 몇 가지 원칙을 제안한다. 무엇보다 거대담론 식의 큰 그림을 짜기보다 실제 개인과 투자가(기업)를 움직일 수 있는 체감형 디테일 행정에 주력할 때다. 정권이 바뀌자마자 물거품 된 문재인 정부의 ‘부울경(부산·울산·경남)특별연합’ 같은 구름 잡는 구상은 내지 않는 게 차라리 낫다. 획기적 조치라고 했던 노무현 정부의 공기업 이전도 껍데기만 남았다. 혁신도시는 밤이면 불이 꺼지고 주말엔 바람만 지나친다. 기업 이주를 전제로 한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도 남은 게 없다. 윤석열 정부의 ‘지방시대 프로젝트’는 달라야 한다. 교육·문화 등을 내건 ‘4대 특구’의 조기 성과 내기가 일단은 관건이다.
실감 행정의 좋은 사례가 최근에 보였다. 인구 감소 지역에서 추가로 집을 사도 1주택자 세제 우대를 계속해주는 것이다. 1·10 부동산대책에 있다. 2주택에 대한 징벌적 중과세에서 이런 예외만 둬도 베이비부머들은 연어처럼 귀향·귀촌을 시도할 것이다. 국토 면적의 40%나 되는 89개 공인 인구 위기 지역에서 5060세대가 ‘5도2촌’(닷새 서울, 이틀 지방)만 해도 절반은 성공이다. 기업의 지방 이주를 유도할 때도 법인세보다 임직원의 개인 소득세를 깎아주는 게 체감형이다. 이런 실감 행정이 실제로 인구를 움직일 것이다.
지역 스스로 변화가 중요하지만 큰 열쇠는 중앙, 정부와 국회에 있다. 그런데도 지역 대표가 다 모인 국회에서도 지역 격차는 주요 관심사가 못 된다. 21대 국회는 더 하다. 어느덧 균형발전 문제도 저출산·고령화나 북한 핵처럼 돼 간다. 모두 잘 안다고 여길 정도로 일상이 됐다. 전문가도 늘었지만 뚜렷한 해결책은 안 보인다. 그렇게 고질병이 돼 양치기 소년의 경고처럼 될까 겁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