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김포골드라인 혼잡도 해결 위해 팔 걷어붙였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교통 분야 민생토론회서 출퇴근 교통환경 조성대책 발표
김포골드라인, 내년까지 열차 11편성 증편
광역버스 40회 증차해 김포발 승객 수송 늘린다
김포골드라인 올해 6편성, 내년 말 5편성 추가 투입
배차 간격 현재 3분7초에서 최종 2분10초까지 단축 목표
출근시간 광역버스 4개 노선 추가해 40회 증차…총 120회 이상
11조원 투입해 3기 신도시 연결 교통망 공사기간 최대 3년 단축
당산역, 양재역에 환승센터 설치…광역버스 급행 노선도 도입
김포골드라인, 내년까지 열차 11편성 증편
광역버스 40회 증차해 김포발 승객 수송 늘린다
김포골드라인 올해 6편성, 내년 말 5편성 추가 투입
배차 간격 현재 3분7초에서 최종 2분10초까지 단축 목표
출근시간 광역버스 4개 노선 추가해 40회 증차…총 120회 이상
11조원 투입해 3기 신도시 연결 교통망 공사기간 최대 3년 단축
당산역, 양재역에 환승센터 설치…광역버스 급행 노선도 도입
정부가 김포골드라인의 심각한 혼잡도를 완화하기 위해 내년까지 열차를 총 11편 추가 편성하고, 출근시간대 김포에서 출발하는 광역버스를 40회 더 늘려 보다 많은 승객을 나르기로 했다. 이와 함께 광역교통 개선대책 사업비 약 11조원을 집중 투입해 수도권 신도시들의 도로 등 광역교통시설의 사업기간 단축을 추진한다. 서울까지 출퇴근 하는 신도시 주민들의 교통 문제를 해결해 삶의 질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국토교통부는 25일 경기 의정부에서 열린 '교통 분야 민생토론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출퇴근 교통 환경 조성 대책을 발표했다. 수도권 신도시를 권역별로 나눠 광역교통 현황을 분석한 뒤 개선대책을 순차적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이날 출퇴근시 최대 혼잡도가 210%에 달하는 김포골드라인 혼잡 완화 대책에 집중했다. 열차를 추가 증편과 광역버스 증차의 두 가지 축으로 이뤄졌다. 현재 골드라인은 2량 경전철 21편성이 운행중이며 현재 앞뒤 열차 사이의 배차 시간 간격인 시격이 현재 3분7초에 이른다. 국토부는 올 6월부터 내년 3월까지 6편성을 추가 투입해 시격을 2분20초까지 줄일 계획이다. 내년 말에 국비 지원을 받아 5편성을 추가로 투입해 2분20초를 2분10초까지 줄여 혼잡도를 완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김포에서 서울로 또다른 출퇴근 수단인 광역버스를 출근시간(오전 6~8시)에 대폭 증차할 계획이다. 현재 14개 노선 총 80회인 광역버스를 4개 노선을 추가해 총 120회 이상으로 늘리겠다는 구상이다. 40명을 나르는 기존 1층 버스 대비 170% 많은 70명을 수송하는 2층 전기버스와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는 전세버스를 집중 투입해 수송력을 끌어올리기로 했다. 한강신도시에서 서울까지 바로 가는 노선에 5호선 발산역과, 9호선 가양역에서 회차하는 2개 노선을 3월에 신설해 환승도 지원한다. 골드라인 걸포북변역과 풍무역, 고촌역 등 서울 강서구와 가까운 지역의 출퇴근 인구를 분산하기 위해 이 지역에서 출발해 상암DMC와 당산역까지 가는 광역버스 노선 2개를 6월에 신설하기할 계획이다.
고양 창릉, 양주 신도시 등 북부권에는 약 1.8조원을 투자한다. 양주시청부터 양주 신도시까지 가는 국도 3호선 확장 공사는 약 3년을 단축해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등 4개 사업의 공사기간을 6개월~3년 단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인천 계약, 부천 대장 등 서부권에는 1조원 투자해 4개 사업의 1~2년 단축하고, 시흥 거모, 평택 고덕 등에는 6000억원을 투자해 사업별로 1년 단축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신도시 주민들의 출퇴근 교통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광역 이동수단 개선 대책도 내놨다. 광역버스의 경우 2층 전기버스를 올해 50대 투입해 출퇴근 시간 집중 배차한다. 환승센터를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 환승역인 당산역에 올 6월 설치하고, 양재역에도 추후 설치할 계획이다. 전용 앱을 이용한 광역버스 좌석 예약제를 올해 상반기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올 6월에는 경로가 긴 3개 노선에 대해 주요 정류장만 정차하는 급행버스도 도입할 계획이다.
수요자들에게 이동수단 선택권도 확대한다. 광역콜버스나 똑버스 등 광역 수요응답형 서비스(DRT)를 현재 시흥, 광주, 화성, 김포, 하남에서 용인, 수원, 고양, 의정부, 양주 등으로 확대 적용한다. 그동안 규제 샌드박스 운영 성과를 감안해 올 6월에 여객차법 시행령을 개정, 광역 DRT 제도화를 추진한다. 또 6월부터는 지자체장이 직접 계약해 전세버스를 탄력적으로 운행하는 것을 허용하기로 했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
국토교통부는 25일 경기 의정부에서 열린 '교통 분야 민생토론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출퇴근 교통 환경 조성 대책을 발표했다. 수도권 신도시를 권역별로 나눠 광역교통 현황을 분석한 뒤 개선대책을 순차적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2층 전기버스 광역버스로 투입
국토부는 이날 출퇴근시 최대 혼잡도가 210%에 달하는 김포골드라인 혼잡 완화 대책에 집중했다. 열차를 추가 증편과 광역버스 증차의 두 가지 축으로 이뤄졌다. 현재 골드라인은 2량 경전철 21편성이 운행중이며 현재 앞뒤 열차 사이의 배차 시간 간격인 시격이 현재 3분7초에 이른다. 국토부는 올 6월부터 내년 3월까지 6편성을 추가 투입해 시격을 2분20초까지 줄일 계획이다. 내년 말에 국비 지원을 받아 5편성을 추가로 투입해 2분20초를 2분10초까지 줄여 혼잡도를 완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김포에서 서울로 또다른 출퇴근 수단인 광역버스를 출근시간(오전 6~8시)에 대폭 증차할 계획이다. 현재 14개 노선 총 80회인 광역버스를 4개 노선을 추가해 총 120회 이상으로 늘리겠다는 구상이다. 40명을 나르는 기존 1층 버스 대비 170% 많은 70명을 수송하는 2층 전기버스와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는 전세버스를 집중 투입해 수송력을 끌어올리기로 했다. 한강신도시에서 서울까지 바로 가는 노선에 5호선 발산역과, 9호선 가양역에서 회차하는 2개 노선을 3월에 신설해 환승도 지원한다. 골드라인 걸포북변역과 풍무역, 고촌역 등 서울 강서구와 가까운 지역의 출퇴근 인구를 분산하기 위해 이 지역에서 출발해 상암DMC와 당산역까지 가는 광역버스 노선 2개를 6월에 신설하기할 계획이다.
11조원 집중 투입해 교통망 확충
국토부는 신도시 교통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광역교통 개선대책 사업비 약 11조원을 집중 투입할 계획이다. 동부, 북부, 서부, 남부 등 4개 권역으로 나눠 연결도로 등 광역교통시설의 공사기간을 단축하겠다는 것이다.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등 동부권에 약 4조원을 투입해 총 7개 사업의 공사기간을 6개월~2년 단축하기로 했다. 대표적으로 하남 교산지구와 강동구를 연결하는 동남로 연결 도로를 2년 정도 단축해 2028년 완공을 추진한다.고양 창릉, 양주 신도시 등 북부권에는 약 1.8조원을 투자한다. 양주시청부터 양주 신도시까지 가는 국도 3호선 확장 공사는 약 3년을 단축해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등 4개 사업의 공사기간을 6개월~3년 단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인천 계약, 부천 대장 등 서부권에는 1조원 투자해 4개 사업의 1~2년 단축하고, 시흥 거모, 평택 고덕 등에는 6000억원을 투자해 사업별로 1년 단축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신도시 주민들의 출퇴근 교통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광역 이동수단 개선 대책도 내놨다. 광역버스의 경우 2층 전기버스를 올해 50대 투입해 출퇴근 시간 집중 배차한다. 환승센터를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 환승역인 당산역에 올 6월 설치하고, 양재역에도 추후 설치할 계획이다. 전용 앱을 이용한 광역버스 좌석 예약제를 올해 상반기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올 6월에는 경로가 긴 3개 노선에 대해 주요 정류장만 정차하는 급행버스도 도입할 계획이다.
수요자들에게 이동수단 선택권도 확대한다. 광역콜버스나 똑버스 등 광역 수요응답형 서비스(DRT)를 현재 시흥, 광주, 화성, 김포, 하남에서 용인, 수원, 고양, 의정부, 양주 등으로 확대 적용한다. 그동안 규제 샌드박스 운영 성과를 감안해 올 6월에 여객차법 시행령을 개정, 광역 DRT 제도화를 추진한다. 또 6월부터는 지자체장이 직접 계약해 전세버스를 탄력적으로 운행하는 것을 허용하기로 했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