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 55명 재산 공개…1위 유인촌 장관은 169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직자윤리위, 26일 관보 공개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지난해 10월 2일부터 11월 1일까지의 기간 동안 신분이 바뀐 고위 공직자가 가진 재산을 26일 관보로 공개했다. 공개 대상자는 신규 임용자 8명, 승진자 15명, 퇴직자 29명을 포함한 총 55명이다.
공개 대상자 가운데 신고한 재산이 가장 많은 현직자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었다. 79억원어치 부동산을 포함해 총 169억9854만원을 신고했다.
유 장관은 본인 명의의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아파트(144.70㎡)와 3300만원 상당의 경기도 여주시 임야, 배우자 명의의 성동구 성수 아파트(152.16㎡)와 5억3000만원 상당의 중구 신당동 상가 등을 보유했다.
공개 대상 현직자 중 신고 재산 2위는 김혁 서울시립대학교 부총장으로 총 115억1210만원의 재산을 보유했다. 김 부총장은 본인 소유의 토지(서울 강남구 역삼동·세곡동, 송파구 거여동 등) 91억2388만원, 본인 명의의 건물(송파구 장지동 상가·강남구 역삼동 근린생활시설 등) 32억5630만원 등의 보유 재산과 채무 사항 등을 신고했다.
현직자 중 3위는 임병숙 전라북도경찰청장(37억1947만원)이었다. 임 청장은 28억30만원의 예금, 6억9900만원 상당의 본인 소유 서울 용산구 보광동 다세대주택 등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자 중 재산 상위자는 순서대로 김영심 국민권익위원회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전 상임위원(45억4865만원), 서유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전 원장(40억581만원), 임해종 한국가스안전공사 전 사장(35억595만원)이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대상자가 되는 고위 공직자의 재산을 공개하고 있다. 정기 공개는 매년 3월 말, 수시 공개는 임용·퇴직 등 상황에 따라 공개 대상자가 있는 경우 재산 신고를 받은 뒤 다음 달에 이뤄진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
공개 대상자 가운데 신고한 재산이 가장 많은 현직자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었다. 79억원어치 부동산을 포함해 총 169억9854만원을 신고했다.
유 장관은 본인 명의의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아파트(144.70㎡)와 3300만원 상당의 경기도 여주시 임야, 배우자 명의의 성동구 성수 아파트(152.16㎡)와 5억3000만원 상당의 중구 신당동 상가 등을 보유했다.
공개 대상 현직자 중 신고 재산 2위는 김혁 서울시립대학교 부총장으로 총 115억1210만원의 재산을 보유했다. 김 부총장은 본인 소유의 토지(서울 강남구 역삼동·세곡동, 송파구 거여동 등) 91억2388만원, 본인 명의의 건물(송파구 장지동 상가·강남구 역삼동 근린생활시설 등) 32억5630만원 등의 보유 재산과 채무 사항 등을 신고했다.
현직자 중 3위는 임병숙 전라북도경찰청장(37억1947만원)이었다. 임 청장은 28억30만원의 예금, 6억9900만원 상당의 본인 소유 서울 용산구 보광동 다세대주택 등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자 중 재산 상위자는 순서대로 김영심 국민권익위원회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전 상임위원(45억4865만원), 서유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전 원장(40억581만원), 임해종 한국가스안전공사 전 사장(35억595만원)이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대상자가 되는 고위 공직자의 재산을 공개하고 있다. 정기 공개는 매년 3월 말, 수시 공개는 임용·퇴직 등 상황에 따라 공개 대상자가 있는 경우 재산 신고를 받은 뒤 다음 달에 이뤄진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