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 이 책] 체제 정당화의 심리학 입력2024.01.26 17:37 수정2024.01.27 01:01 지면A19 글자크기 조절 기사 스크랩 기사 스크랩 공유 공유 댓글 0 댓글 클린뷰 클린뷰 프린트 프린트 존 T 조스트 지음 가난한 사람이 부의 재분배에 반대하는 이유는 뭘까. 저자는 불합리한 체제의 정당화가 사회적 약자들에게 단기적으로 심리적 진통제 역할을 하는 반면 장기적으로는 체제를 공고화하고 그들의 심리적 안녕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신기원 옮김, 에코리브르, 552쪽, 3만5000원) 좋아요 싫어요 후속기사 원해요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구독신청 모바일한경 보기 관련 뉴스 1 "따뜻한 손길이 최고의 행운"…암 극복 의사의 '사회 처방전' “운이 좋았죠. 운이 좋아서 살아남았고, 출세도 했지요.” 김선민 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장(60·사진)의 목소리는 담담했다. 그는 대장암 3기에서 생존했고, 의약 분업에 찬성하며 ... 2 [책마을] 우주정거장 망가뜨린 악당…멸종의 용의자 '곰팡이' 2001년 러시아의 미르 우주정거장이 폐쇄됐다. 인류 최초의 우주정거장으로 수많은 우주선과 도킹하며 전 세계의 우주과학 실험실로 사용된 과학기술 개발의 최전선이었다. 우주에 머물던 미르 우주정거장을 남태평양 바닷속으... 3 [책마을] 항복 선언 두 달 만에 독일의 댄스홀은 불야성을 이뤘다 1945년 5월 8일,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나치 독일이 항복했다. 그 후 우리가 아는 독일 역사는 이렇다. 뉘른베르크 재판이 열려 나치 전범이 처벌받았고, 독일은 평화를 사랑하는 나라로 재탄생했다.현실은 미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