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건강한데 일해야죠”…‘한국식 계속고용’ 찾는다 [계속고용이 답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앵커>
우리나라가 내년부터, 만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노인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노인들의 일자리는 심각한 노인빈곤 문제의 해법이기도 합니다. 부담이 큰 정년연장보다는 기업들이 정년이 끝난 근로자를 계속 고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채영 기자입니다.
<기자>
북적이는 역사 안, 올해로 65살인 박호준씨가 유창한 영어실력으로 외국인들을 응대합니다.
30년 동안 의상 디자이너로 일한 박호준씨는 정년퇴직 후, 관광객들의 여행가방을 보관하고 공항으로 배송하는 물류매니저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박호준(65세)/ 서울역 ‘티-러기지’ 물류매니저 : 정년퇴직을 하고요 제가 봉사할 일이 없을까 찾다가 이게 봉사의 일종일 것 같고. 그동안 배웠던 영어와 일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점이 있고….]
원자력연구소에서 근무했던 정미경씨는 퇴직 후 5년 넘게 노인복지센터 매점판매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정미경(68세)/ 서울노인복지센터 매점 판매원 : 일하는 즐거움도 있고, 건강도 유지되는 것 같고, 또 사회 참여수단도 되는 것 같아서…. 어르신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 것 같아서 그럴 때 보람이 있는 것 같아요.]
지난해 11월 기준 경제활동 노인 인구는 337만명.
전체 65세 이상 인구 10명 중 4명이 취업한 상태거나 구직 중입니다.
고령 근로자가 빠르게 늘자 정부도 2020년부터 기업이 정년을 넘긴 근로자를 계속 고용하면 한 명당 한 달에 30만 원씩 지원하고, 지원 기간도 최대 3년으로 늘렸습니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다음 달 본격화되는 노사정 대화에서 ‘계속고용 확대’를 주요 의제로 다룰 예정입니다.
[김덕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상임위원 : 노동계는 정년 연장을 주장하지만 경영계는 기업 부담이 너무 크다. 그래서 임금체계개편 같은 것이 수반돼야 된다. 또 청년 일자리와의 충돌 문제도 있기 때문에 세대가 모두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임금체계 개편 없는 정년연장은 대기업·공기업 근로자만 혜택을 받고, 이는 청년 취업까지 위축시킬 수 있단 겁니다.
이에 현재로서는 정년연장보다 재고용이 더 현실적이라는 의견이 나옵니다.
실제로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기업 대상 조사 결과 10곳 중 7곳 가까이가 ‘재고용 제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정년연장만이 아닌 한국식 계속고용 해법을 찾아 올해 상반기 계속고용로드맵을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한국경제TV 김채영입니다.
영상촬영: 이성근, 김재원
영상편집: 이가인
CG: 이미주
김채영기자 chaechae@wowtv.co.kr